• Title/Summary/Keyword: 게임공간

Search Result 65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Place of Digital Game Space (디지털 게임 공간의 장소성)

  • OOh, Hyoun 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171-172
    • /
    • 2017
  •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현대 디지털 사회에서의 게임의 공간 문제를 장소론적으로 해석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디지털 게임에서의 공간과 장소성은 인류학적으로 보는 관점과는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탐구하여 게임의 비장소의 공간들이 어떻게 구현되고 장소적 특성을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장소론적 입장에서 게임공간을 연구하였다. 디지털 게임공간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는 디지털게임을 이해하는데 있어 기존의 '매체 지향적 논의'들과 '서사중심'의 파편적인 논의를 통합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다양한 방향으로서의 연구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

  • PDF

언명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

  • Seong, Hae-Gyeong
    • 한국게임학회지
    • /
    • v.6 no.1
    • /
    • pp.55-57
    • /
    • 2009
  • 멀티미디어 정보 표현에 있어서 서로 다른 미디어간의 동기화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멀티미디어 특성이 적용된 게임 개발에 있어서 각각의 시각 객체들이 시간 경과에 따라 공간 영역에서 동시에 움직여야 하므로 게임에서 필요한 멀티미디어적인 게임 요소들을 게임 운용상에 적절히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게임 장면을 통한 시간과 공간 개념의 동기화가 필요하고 게임 객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시공간 특성이 논리적으로 설계되어 게임을 운용시켜야 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혼합된 형태의 미디어로 구성된 데이터의 표현을 위해서는 객체가 나타내는 상대적인 위치와 상대적인 시간을 나타내 주는 공간 합성과 시간 합성을 명시할 수 있는 정형화된 표현 연구가 요구된다. 간(刊)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시간적 동기화와 공간적 동기화 각각에 대한 표현에 많이 치우쳐 있으므로 시간과 공간이 통합된 미디어들의 동기화 표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시공간이 통합되지 않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표현법을 게임 개발에 적용할 때에는 게임에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간의 원활한 동기화 표현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게임 시나리오 스케치에서 나타난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개념이 적절히 표현될 수 있는 정형적 연구가 필요하다. 간(刊)본 논문에서는 시간 개념과 공간 개념이 통합된 형태의 시공간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하여 명세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시간 및 공간 개념을 적절히 변형하여 표현될 수 있도록 시간 및 공간 동기화가 통합된 새로운 표현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게임 요소들의 시간적, 공간적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언명으로 정의하고 시공간 관계성에 대한 확장을 제시한다. 간(刊)본 논문이 제안하는 언명 기반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an Assertion-based Multimedia objects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model : AMSTES)는 시간과 공간 모두에 적용되는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동기화 표현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 생성을 위한 시공간 공식을 제공한다.

  • PDF

Analysis of the Space Layout according to VR Game Environment (VR게임환경에 따른 공간 연출 분석)

  • Gao, LinChao;Choi, Chu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1-422
    • /
    • 2018
  • 가상 현실을 이용한 게임 환경은 하드웨어의 한계로 게임 속의 가상현실 공간에 비해 실제 유저가 활동하는 게임공간은 한정되어져 있다. 이러한 물리적인 한계는 게임의 내용을 제한시키게 되고, 공간 안에서 반복된 패턴을 느끼게 해 게임 레벨 디자인에 한계를 가져오게 된다. 이에 물리적으로 한정된 공간에 대해 게임 속에 다양한 공간 디자인을 설계하고 실험을 통해 통해 공간의 감성적 한계를 극복해보려 하였다.

  • PDF

Spatial Analysis of Mobile Augmented Reality Games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의 공간 분석)

  • Kim, Hyo-Joung;Sung, Jung-Hwa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9 no.4
    • /
    • pp.5-14
    • /
    • 2019
  • This essay analyzes space in augmented reality games, and attempts to offer space analytic standards of mobile augmented reality games in regards to space in existing games. This article proposes categorizing criteria based on the following factors: Analysis of space in existing games, Jason Jerald's Three Virtual Space Horizon Categories, interaction between virtual world and real world, and Lavroff's Three deciding factors of reality perception in virtual reality. It is meaningful that the analysis criteria of the Augmented Reality game space is presented through this analysis.

컴퓨터 게임의 트랩 유형 분석

  • U, Hui-Jeong;Gil, Tae-Suk
    • 한국게임학회지
    • /
    • v.10 no.1
    • /
    • pp.12-2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게임공간의 레벨디자인을 기반으로 3D 공간에서 설계될 수 있는 트랩 유형을 제시하였다. 트랩은 게임 내의 장애물로서 3D 공간에서의 X, Y, Z 축으로의 이동방향, 고정, 운동, 회전, 스케일의 트랩 자체의 상태, 일회성, 반복, 순환의 작동타입 등의 요소를 바탕으로 표현된다. 트랩의 상태를 기준으로 작동 타입과 이동방향의 경우의 수를 조합한 결과 28가지의 트랩 유형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도출해낸 28가지의 트랩 유형이 실질적으로 게임공간에 적용되어 쓰이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발리언트와 트라인 게임을 대상으로 트랩 유형을 살펴보았다.

  • PDF

Structural Analysis of Play Space by Game Level Goals in FPS (FPS게임레벨의 목표에 따른 플레이공간 구조분석)

  • Choi, GyuHyeok;Ting, Wu;Kim, Miji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7 no.5
    • /
    • pp.19-26
    • /
    • 2017
  • A game player experiences gameplay that game designer sets in play space according to goal of a game. Player's experiential behaviors are affected by the space structure of game level and its arrangements.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proces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space structure of game level at the initial stage of game designing. In this paper, we was aimed to analyze the space structure and components of FPS game level based on space theory. To attain the objective, observation was carried out on a total of 204 levels in 3 different kinds of FPS games and the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spatial composition factors by the goal of a game level was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xperiential behaviors in the play space show a clea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oal of the game level and the space structure that derives this is different.

An Analysis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SNS Farm Game Based on Smart Phone Platform (스마트폰 플랫폼 기반 SNS 농장경영게임의 공간성격분석)

  • Lee, Young-So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0 no.6
    • /
    • pp.89-96
    • /
    • 2010
  •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farm game based on smart phone platform, this study analyzed how social network play experience connects with the space of farm game. The play experience of social network farm game based on smart phone platform is mainly composed of three modules for cultivating, placing environment, extending space. This study categorized space for external perspective space, internal perspective space, symbolic design space according to space experience theory and researched play experience in these spaces. In farm game players perceive space by fixed point of view, and make their own space a standard unit for reinterpreting and rearranging modules. In this process the space played subjective role not only background to bring co-work play is essential in social network game.

Lifestyels, community experiences, and immersion in online game world (온라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공동체 활동과 게임 몰입에 대한 탐색)

  • Whang, Leo Sang-Min;Kim, Jee-Y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770-779
    • /
    • 2006
  • 한국 사회에서 사이버 공간, 특히 온라인 게임 세계가 사용자들에게 단순한 게임이나 가상 공간이 아닌 다양한 활동을 통해 현실과는 다른 방식의 또 다른 인생을 살아가는 새로운 생활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게임 공간에서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확인하고, 리니지 2 와 메이플스 토리라는 두 가지 MMORPG 게임에서 이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온라인 게임 '리니지'에서 구분된 온라인 라이프스타일은 '싱글 플레이어', '공동체지향 게이머', '탈사회적 게이머'였다.'리니지 2'를 대상으로 연구 결과, 온라인 게임 공간에서의 공동체 활동은 크게 공동목표, 집단유대감, 집단존중감, 집단영향력의 요인들로 구성되어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온라인게임 사용자들은 온라인 게임에서 현실감, 조작용이성, 성취감, 친밀감, 소속감, 일탈적 행위를 통한 카타르시스를 통해 재미를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런 성향은 메이플스토리라는 저 연령층의 게임에서는 비교적 다르게 나타났다. 혈맹 또는 길드의 가입 비율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활동방식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게임세계에서의 라이프스타일은 연령이나 게임 사용기간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동체 활동과 온라인 게임에서 얻는 재미의 하위 요인들에서는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동체 활동과 재미를 느끼는 측면에서의 차이로 인해 결국 온라인 게임에 몰입하는 정도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사람들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 특히 온라인 게임에서의 사람들의 공동체 활동과 재미의 요소들을 탐색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사람들이 온라인 게임 세계에 몰입하도록 만드는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는 측면에서 향후 사이버 공간을 기획하는 사람들에게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Placeness of the Game Space from the view of Simularcre (시뮬라크르로 바라본 게임 공간의 장소성 형성과정 고찰)

  • Jeong, Ji-Yun;Sung, Jung-Hwa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1 no.3
    • /
    • pp.25-38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to a place of existential human meaning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placeness based on the Simulacre theory of digital game space. First of all, the game space related to humans was reinterpreted into the Simulacra theory of Plato, Jean Baudrillard, and Gilles Deleuze, and typified into three simulacra of spaces. The formation process of placeness in the game space is presented by linking the simulacra of space, place theory, and the user's game experience that were reinterpreted. It is hop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exploring the aspect of the placeness of digital game spaces for authentic experiences of various media.

The Effects of Computer Game Use on Spatial-temporal Capability (컴퓨터게임과 공간인지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Ryu, Seoung-Ho;Kim, Bo-Yo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7 no.2
    • /
    • pp.73-82
    • /
    • 2007
  • This study deals with how computer game affects spatial-temporal capability of game users.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shows almost the same results as 'Mozart effect' by Gordon Shaw's previously famous study for music on spatial-temporal capability. Additionally, in comparison to music and animation, on-line racing game has more positive influence on a specific spatial-temporal capa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