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겉보기 점도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4초

열처리 온도가 옥수수 전분의 리올로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Com Starch)

  • 김성곤;서정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53-358
    • /
    • 1995
  • 옥수수 전분(초기 수분함량 11.4%)을 $130{\sim}220^{\circ}C$에서 건열처리하여 DSC로 열분석한 결과 $190^{\circ}C$이상에서 호화엔탈피는 감소하였고 알칼리호화시 열처리온도가 상승할수록 점도가 증가하였다. $170^{\circ}C$이상에서 열처리 온도가 높아질수록 원료전분에 비하여 최고점도를 포함한 아밀로그램상의 모든 값들, 전분호화액의 전단응력과 겉보기점도, 점조도지수 및 항복응력은 감소하였다. $90^{\circ}C$에서 호화진행에 따라 모든 시료들의 겉보기 점도와 항복응력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190^{\circ}C$시료는 특히 초기에 급증하였으나, 점조도지수는 약간 증가한 반면에, 유동거동지수값들은 큰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그러나 $220^{\circ}C$의 경우 모든 값들이 다른 시료들에 비하여 크게 낮았다.

  • PDF

국내산 다시마, 미역포자엽, 톳, 모자반 fucoidan의 리올리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Fucoidans from Laminaria religiosa,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Hizikia fusiforme and Sagassum fulvellum in Korea)

  • 구재근;조길석;박진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9-333
    • /
    • 1997
  • 국내산 미역포자엽, 다시마, 톳, 모자반에서 추출한 부분 정제 fucoidan의 유동특성을 측정하였다. 겉보기 점도는 모자반, 다시마, 톳, 미역포자엽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전단속도 1,500 1/s에서 미역포자엽의 용액 $(5\%)$의 겉보기 점도는 2.2mPa.s로 매우 낮았다. 전시료 모두 유동지수 1이하의 의가소성 유체의 성질을 나타내었으며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가소성이 증가하였다. 온도에 따른 활성화 에너지는 전단속도 1,500 1/s에서 톳 $8.269\times10^6$, 다시마 $7.498\times10^6$, 미역포자엽 $7.141\times10^6$, 모자반 $6.677\times10^6\;J/kg.mol$로 낮아 온도 의존성이 적었다. 또한 설탕 첨가시는 부분 정제 fucoidan의 점도가 증가한 반면에 소금 첨가시는 변화가 없었다.

  • PDF

농도, 열처리 및 pH가 Caseinate의 거품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tein Concentration, Heat Treatment and pH on the Foaming Properties of Caseinate)

  • 양승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4호
    • /
    • pp.259-265
    • /
    • 1994
  • Sodium caseinate의 농도, 가열온도 및 pH가 거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농도를 1.0, 3.0, 5.0, 7.0, 및 10.0%로, 열처리온도를 $55^{\circ}C$$65^{\circ}C$로, 그리고 pH를 6.0, 7.0 및 8.0으로 각각 조절하여 표면장력, 겉보기점도, 혼탁도, 거품형성능 및 거품안정성을 측정하였다. 표면장력은 농도, 열처리온도 및 pH에 따라 전체적으로 $0.0455{\sim}0.0496\;Nm^{-1}$로써 큰 변화가 없었고 겉보기점도는 농도 및 가열온도에 따라 pH 6.0, 7.0 및 8.0에서 각각 $0.0019{\sim}0.1050$, $0.0021{\sim}0.0440$$0.0022{\sim}0.0490Pa{\cdot}s$이었으며 혼탁도는 pH 6.0, 7.0 및 8.0에서 각각 $70.3{\sim}97.4$, $44.4{\sim}94.8$$36.6{\sim}93.9$이었다. 전 pH 영역을 통하여 가열온도에 따른 거품형성능의 증감은 있었으나 어떤 규칙적인 변화는 없었고 pH 6.0에서가 7.0 및 8.0 영역에서보다 거품형성능이 양호한 경향이었으며 거품형성능을 위한 적당한 단백질 농도는 $3.0{\sim}7.0%$이었다. 거품안정성은 전체적으로 10.0% 농도구에서, pH는 6.0 영역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pH 6.0 및 7.0에서는 가열처리구가 대조구보다 거품안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나 pH 8.0의 10.0% 농도구의 경우는 모두 가열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안정성이 증가하였다(p<0.05). 표면장력, 겉보기점도 및 혼탁도의 증감에 따른 거품성의 규칙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지구의 공전과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공간적 추론 발달 경로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Elementary Students' Developmental Pathway of Spatial Reasoning on Earth Revolution and Apparent Motion of Constellations)

  • 맹승호;이기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81-494
    • /
    • 2018
  • 이 연구는 3개월 동안 별자리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그것을 묘사하고 그와 같은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이 발생하게 된 원인을 별자리와 태양, 지구의 위치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다층 서답형 문항(multi-tiered constructed response items)을 초등학생들에게 시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의 공전과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을 이해할 때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공간적 추론의 유형을 구분하여 학습발달과정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네 곳의 6학년 학생들 6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을 학습하기 전과 단원 학습한 후에 각각 동일한 검사지로 검사를 행하여 응답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응답 결과를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지구의 공전 운동을 이해하는데 적용된 공간적 추론의 유형을 수준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서 각 수준별 학생들의 분포를 비교하여 교사의 교수활동을 통해 개별 학생들의 공간적 추론 수준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파악하여 학습발달과정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학생들의 응답 결과 하위 정착점은 별자리가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고 해석하는 지구 중심 우주관에 근거한 서술이 있었다. 중간 단계 수준의 응답으로 지구의 운동을 평면적으로 이해하거나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함에 따라 별자리도 지구를 따라서 움직인다는 직관적인 태양 중심 우주관에 해당하는 서술이 있었다. 학생들의 응답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별자리의 운동을 지구의 공전에 따른 겉보기 운동으로 이해하고, 점차 지구에서 보는 관점의 관측 사실을 우주에서 내려다보는 관점의 설명 모델로 전환하여 이해하는 서술이 있었다. 상위 정착점 수준의 학생들은 태양 중심 우주관에 근거하여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과 지구의 공전을 과학적으로 서술하였다. 학습발달과정의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학생들의 실제 응답 결과에 근거한 발달의 경로를 조사한 Evolutionary LPs 에 해당하며, 직관적 사고의 극복 여부, 지구에서 보는 관점과 지구 밖 우주에서 내려다보는 관점 간의 전환 능력 등이 초등학생들의 학습발달의 경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임계 포인트가 됨을 논의하였다.

전통 고추장의 레올로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 김연정;유병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13-1318
    • /
    • 2000
  • 총고형분 함량$(TS:\;50{\sim}57%)$을 달리하여 숙성시킨 고추장의 유동특성, 정적 및 동적점탄특성을 관찰하였다. 고추장의 TS가 증가함에 따라서 점조도 지수(K)와 겉보기 점도$({\eta}_{a.5})$는 증가하였으며 유동성 지수(n)는 1보다 훨씬 낮은 0.24-0.31의 범위를 나타내어 고추장은 shear-thinning 성질을 보여주었다. 고추장의 항복응력 측정에서는 고추장의 TS가 증가함에 따라 Casson 항복응력$({\sigma}_{oc})$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고추장의 액상 매개체인 serum 점도$({\eta}_{se})$는 고추장의 TS와 매우 좋은 상관관계$(R^2=0.97)$를 나타내었다. 고추장의 동적점탄성 실험에서는 주파수$({\omega})$가 증가함에 따라 저장탄성률(G#)와 손실탄성률(G@)은 증가하였으며 양(+) 기울기로 G#수치가 G@수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고추장이 약한 겔과 같은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또한 shear-thinning 거동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정적점탄성 실험에서 고추장의 총고형분 함량에 따라서 순간탄성 변형$(J_0)$과 지연탄성변형$(J_1)$은 총고형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으며 점도$({\eta}_N)$와 지연시간 $({\tau}_1)$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고추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탄력적이며 안정된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석탄회가 첨가된 점토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소결 (Microwave sintering of Fly Ash substituted body)

  • 김석범;한정환;김유택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513-517
    • /
    • 1998
  • 석탄회의 점노를 70:30의 비율로 혼합하여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소결하였으며, 소결에는 2.45Ghz의 일반가정용 마이크로파 오븐을 사용하였다. 시편은 $1,150^{\circ}C$에서 50분까지 10분 간격으로 소결하였다. 석탄회의 미세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SEM)과 Energy dispersive spectrometry(EDS)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으며 X선회절 분석과 압축강도와 겉보기 비중을 추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시편의 기공크기는 작아졌으나 압축강도와 겉보기 비중은 변화의 크기가 작았다. 로안에서의 마이크로파에 의한 시편으로의 열전달현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해석을 행하였다.

  • PDF

알카리 내성 Bacillus sp.가 생산하는 생물 고분자의 리올로지적 성질 (Rheological Properties of Biopolymer Produced by Alkali-Tolerant Bacillus sp.)

  • 이신영;김진영;심창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38-544
    • /
    • 1996
  • 미생물이 생산하는 생물 고분자의 기능성 당색 및 용도 재발 연구의 일환으로. Bacillus sp.의 알카리 발효에 의해 생합성된 점성의 생물 분자의 리올로지 특성을 다른 미생들 다당 및 식뮬 다당류와 비교하면서 검토하였다. 1% 정제 고분자 용액은 xanthan gum 및 guar gum과 마찬가지로 항복응럭을 갖는 의가소성 유체의 거동을 널었다. 유동지수(n)값은 0.41 - 0.75로 전단속도 의존성을 보였으며, 점조도지수(K)값은 0.87 Pa $s^n$으로 guar gum보다는 작고 xanthan gum 보다는 컸다. 그러나 항복응력 (${\tau}_y$)값은 2.28Pa로 xanthan gum이나 guar gum보다 크게 낮았다. 또 정제고분자의 점조도지수(K)값은 지수 함수식에 따르는 농도 및 온도 의존성을 나타내었다. 농도 의존성은 기울기가 서로 달라지는 두 개의 직선관계를 나타냈으며, 농도가 증가에 따라 의가소성은 강해졌다. 시료 용액은 온도 의존성이 매우 낮은 특징을 나타내었고, 유동의 활성화에너지지는 1.16kcal/g mol이었다. 겉보기 점도는 pH와 염의 변화에 매우 불안정함을 나타내었으나 유기용매에 대하여는 어느 정도 안정함을 보였고, 점증제를 첨가하였을 때 겉보기 점도의 상승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슬립주입에 의한 Y-TZP/Ce-TZP 다층복합체의 제조(I) (Fabrication of Y-TZP/Ce-TZP Multilayer Composites Using Slip Casting(I))

  • 김민주;이윤복;김영우;전병세;박홍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8호
    • /
    • pp.545-550
    • /
    • 2000
  • 3Y-TZP, 12Ce-TZP 및 3Y-TZP, 12Ce-TZP 현탁액의 제타포텐셜과 겉보기점도의 측정으로부터 슬립주입공정에 의한 다층복합체의 제조조건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다층복합체의 소결밀도, 미세구조, 결정상에 미치는 열처리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3Y-TZP와 12Ce-TZP 현탁액의 등전점을 pH 8부근이었으나 3Y-TZP/12Ce-TZP의 등전점은 pH8.6이었다. 현탁액은 전단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점도가 감소하는 의가소성유동을 나타내었다. 15 및 20vol% 고체함량을 갖는 3Y-TZP와 3Y-TZP/12Ce-TZP 현탁액은 소량(0.3wt%)의 유기해교제의 첨가만으로 슬립주입에 적당한 유동성을 보유하였으나, 12Ce-TZP의 경우는 점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가적인 전해질이 필요하였다. 이론밀도의 98% 이상을 보유하고 0.3~$2.2\mu\textrm{m}$의 입경을 갖는 치밀한 다층복합체가$ 1500^{\circ}C$ 소결로 얻어졌다.

  • PDF

가열조건에 따른 동부 앙금 호화액의 겉보기 점도 (Effect of Heating Conditions on Apparent Viscosity of Cowpea Sediment Dispersions)

  • 이애랑;김성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822-826
    • /
    • 1994
  • Effects of concentration(6-9%, db) , heating temperature (80-95$^{\circ}C$), cooking time (10-50min) and heating method (continuous and instantaneous) on the apparent viscosity of cowpea sediment dispersions at 6$0^{\circ}C$ were investigated. The instantaneous heating resulted in higher apparent viscosity than continuous heating regardless concentrations and heating temperatures.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increase rate constant of the apparent viscosity was about 8 kcal/mole. The apparent viscosity of the cowpea sediment dispersion heated to 95$^{\circ}C$ and held for 20 min showed a linear relation with the 20 min height at 92.5$^{\circ}C$ by viscoamylograph.

  • PDF

Pseudomonas delafieldii가 생성하는 다당류의 레올로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Biopolymer Produced by Pseudomonas delafieldii)

  • Yoo, Jin-Young;Chung, Dong-Hy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75-480
    • /
    • 1989
  • Pseudomonas delafieldii이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다당류 용액의 물성을 검토하였다. 본 다당류는 매우 점도가 높은 의가소성 물질로 1% 용액의 겉보기 점도는 42sec$^{-1}$에서 1769mpaㆍs이었다. 이 용액은 pH에 대한 안정성은 있으나 열 안정성은 보이지 않았다. 이 용액의 유동 활성에너지는 4.44kacl/mole 이고, 농도의존성은 double 1logarithm으로 포현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