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검색 의도

Search Result 26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User search intention analysis based User Click Log (User Click Log를 이용한 사용자 검색 의도 분석)

  • Jee, Hye-Sung;Lim, Hee-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793-797
    • /
    • 2009
  • 최근 정보검색분야에서는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이해하거나 효과적으로 결과를 전달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시스템은 현재 검색 사용자의 의도가 아닌 타인의 의도가 반영된 결과로 실제 사용자의 의도와 상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를 유효하게 반영하는 검색 결과를 제시하는 데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검색어와 관련된 의도 정보를 제공하거나 검색 결과를 효율적으로 클러스터링 하여 전달하는 기능이 검색의 유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검색어에서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그 의도에 맞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클릭 로그를 사용하여 의도에 맞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 PDF

The automatic acquisition system design of the user's searching intention using Game With A Purpose(GWAP) (목적을 가진 게임을 이용한 사용자의 검색 의도 자동 획득 시스템 설계)

  • Yang, Yeong-Wook;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810-812
    • /
    • 2009
  •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그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검색 기술들이 개발 되었다. 현대 검색 기술은 단순 텍스트 매칭 기반으로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는 정보까지 검색하는 경우가 많아서, 실제로 원하는 정보를 찾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 이런 단점들을 극복하고자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고려한 검색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검색 의도를 획득하는 방법에는 자동적인 방법과 수동적인 방법, 그리고 반자동적인 방법이 있다. 자동적인 방법은 사람이 아닌 컴퓨터를 통해서 획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를 완벽히 반영하는 것이 어렵다. 수동적인 방법은 사람이 직접 참여하여 작성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할 수 있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반자동적인 방법은 위의 두 가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자동적인 방법인 목적을 가진 게임을 이용한 사용자의 검색 의도 획득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 후에 시스템에서 도입한 Game With A Purpose(GWAP)의 개념과 시스템의 구성, 그리고 발전방향 및 결론을 논의한다.

  • PDF

Search Log Analysis for Extract User's Search Intention (사용자 검색 의도 추출을 위한 검색로그 분석)

  • Ji, Hye-Sung;Lyu, Ki-Gon;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376-37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검색로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검색 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그 안에 내제되어 있는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찾고자 하였다. 분석은 질의어 110개에 대한 검색로그를 기반으로 검색 목적에 따라 Navigational, Informational, Transactional로 분류하였다. 또한, 질의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였으며 각 결과를 가지고 사용자 검색 의도가 내제되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질의어에 따른 검색 목적에 따라서 분포는 다르지만 검색 목적에 따른 검색 의도가 3가지 모두 내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Informational의 경우에는 질의어에 대한 서로 다른 정보가 나타났으며, 질의어 안에서 사용자의 검색 의도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vealing Hidden Relations between Query-Words for an Efficient Inducing User's Intention of an Information Search (효율적 검색의도 파악을 위한 쿼리 단어 가시화에 관한 연구)

  • Kwon, Soon-Jin;Hong, Chul-Eui;Kim, Won-I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9 no.2
    • /
    • pp.44-52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to increase an efficiency of somebody searching information by a visualization of an unseen query words with well-selected user's intent structures. If a search engine identifies user's intent to pursue information, it would be an effective search engine. To do so, it is needed that relationships between query-words are to be visible after recovering words lost during formulated, and that an intention structure/elements is to be established. This paper will review previous studies, after then, define a simple structure of the search intent, and show a process to expand and to generate the query words appropriate to the intent structure with a method for the visualization of the query words. In this process, some examples and tests are necessary that one of the multiple intent structured layers is to assign to a range of query-words. Increasing/Decreasing an efficiency are analyzed to find. Future research is needed how to automate a process to extend structural nodules of user's intent.

Natural Language Query Processing Based Intelligent Information Retrieval (자연어 질의 처리 기반 지능형 정보검색)

  • Lee, Eun-Ok;Lee, Yo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505-508
    • /
    • 2003
  • 웹 문서의 홍수 속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문서만을 검색해 주는 정보 검색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자연어 질의를 이용한 정보검색 방법은 초보자도 사용이 쉽고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가 쉬어 지능형 정보검색에 적합하다. 따라서 현재는 자연어 질의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조화된 자연어 질의에서 한국어의 문맥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보검색 질의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렇게 생성된 질의어를 이용해서 메타정보검색을 하면 보다 정확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문서만이 검색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Tool using Knowledge Representation (지식 표상 방법을 이용한 정보 검색 시각화 도구 개발)

  • Ji, Hye-Sung;Park, Ki-Nam;Lim, Heui-Se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9
    • /
    • pp.383-390
    • /
    • 2012
  • In this paper, we suggest an information retrieval visualization tool using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method. Information retrieval visualization tool suggested in this paper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extract retrieval intention using user's search history data and visualize extracted retrieval intention in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method structure. A psychological knowledge representation methodology was adopted for schema for retrieval intention representation and its effectiveness has been proved through the behavioral experiments. Result of experiment revealed that information retrieval visualization tool has been improved approximately 39% in user satisfaction compared to existing retrieval method, suggesting a measure to solve re-retrieval problem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retrieval.

Effect of the search index on Purchase behavior by SNS channel attributes (SNS채널속성에 따른 검색의도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Son, Jung-Il;Heo, Chul-Mo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8
    • /
    • pp.1535-1544
    • /
    • 2018
  • This study surveyed purchase behavior of users who purchased goods within the last yea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search intention to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SNS channel attribut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analyzed that the information provision and interrelationships in SNS channel attributes affect search intent. In order to enhance the purchase behavior through the users of NS Channel, reliability and information availability are also cited as major issues, but more importantly, SNS channel search index is more important. It is also important to increase search indexes by simply increasing the attributes of SNS channels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vailability, and by enhancing information delivery performance and interaction.

Automatic Extract User Intention from Web Search Log (웹 정보 검색 이력을 이용한 사용자 의도 자동 추출)

  • Park, Kinam;Jung, Soonyoung;Suh, Taewon;Ji, Hyesung;Lee, Taemin;Lim, Heuise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2 no.6
    • /
    • pp.21-32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extract a user's intention automatically and implementation of intention map that support a user can appropriate search results using a user' information need accurately. It selects user intention based on searching history obtained from previous users' same queries and extracts user intentions by using clustering algorithm and user intention extraction algorithm, extracted user intentions are represented in an intention map base on a theory of knowledge representation. For the efficiency analysis of intention map, we extracted user intentions using 2,600 search history data which provided by a current domestic commercial search engine.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the information intention map search when using general search engines represent more than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PDF

Extract Snippets Suitable for Search Intent (검색의도에 적합한 스니펫 추출)

  • Lee, Hyeon-gu;Yang, Yunyeong;Kim, Eunbyul;Cha, Woojune;Roh, Yunyoung;Kim, Eunyoung;Choi, Gyuhyeon;Shin, Dongwook;Park, Chanhoon;Kang, In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241-246
    • /
    • 2021
  • 스니펫 추출은 정보검색에서 주요한 문서 정보를 짧은 문단 형태로 보여주는 것으로 사용자가 검색결과를 좀 더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러나 기존 스니펫은 어휘가 일치하는 문장을 찾아 보여주기에 검색의도가 반영되기 어렵다. 또한 의미적 정답을 찾기 위해 질의응답 방법론이 응용되고 있지만 오픈 도메인 환경에서 품질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니펫 추출, 의도 부착, 검증 3단계로 스니펫을 추출하여 추출된 스니펫이 질의 의도에 적합하게 추출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전통적인 스니펫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을 보였고, 스니펫 추출만 했을 때보다 의도 부착, 검증을 하였을 때 정확도가 0.3165만큼 향상되는 것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Ontology-Based Semantic Search System (온톨로지 기반의 시맨틱 검색 시스템에 대한 연구)

  • Heo, Sun-Young;Kim, Eun-G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463-466
    • /
    • 2007
  • 현재 웹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키워드 기반 검색은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는 정보까지 검색하는 경우가 많아서, 실제로 원하는 정보를 찾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최근 시맨틱 웹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검색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시맨틱 검색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온톨로지 기반의 시맨틱 검색 시스템은 기능적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자료 수집을 하는 로봇 에이전트와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자료를 검색하는 시맨틱 검색 엔진으로 구성된다. 로봇 에이전트는 자율적으로 웹을 순회하면서 자료를 수집하고 필터링하여 메타데이터 저장소로 가져오는 역할을 한다. 시맨틱 검색 엔진은 사용자의 검색 폼으로부터 전달된 정보 검색 요구사항을 기초로 시맨틱 질의어로 변환한 후, 온톨로지 저장소를 활용하여 검색한다. 시맨틱 검색 엔진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시맨틱 질의어로 변환해 주는 질의처리 모듈과 사용자의 의도를 추론하여 보다 향상된 검색을 가능하게 해주는 추론(Inference) 모듈, 온톨로지를 보관해주는 온톨로지 저장소 등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온톨로지 기반의 시맨틱 검색 시스템은 키워드 기반 검색에 비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여 주고, 사용자의 의도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