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검경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6초

시금치 바이러스병에 관한 연구 I. 시금치에 발생하는 순무모자익바이러스 (TuMV)의 분류동정 (Investigations on the Virus Diseases in Spinach. (Spinacia orleraea L.) I. Identification of Turnip Mosaic Virus Occuring Spinach)

  • 이순형;이기운;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3-35
    • /
    • 1978
  • 모자익병징을 나타내는 이병시금치를 채집하여 순무모자익 바이러스를 분류 동정하였다. 분리된 순무모자익바이러스를 지표식물에 접종한 결과 담배(B.Y)와 명아주에는 국부병반이 형성되었고 쑥갓, 시금치, 무우에는 모자익 병징이 나타났다. 이병시금치 잎을 착즙하여 순무모자익바이러스의 항혈청과의 혈청반응 시험 결과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이병엽을 Dip법으로 시료를 제작하여 전자현미경에서 검경한 결과 대부분이 750nm의 사상 입자가 관찰되었다. 시금치에서 순무모자익바이러스의 발생분포는 수원, 안양, 대구, 진주 등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 PDF

설첨부에 발생한 Neurofibroma의 1례 (A Case of Neurofibroma on the Tongue)

  • 김영복;김성숙;김홍권;박수만;김정희;이기성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1-14
    • /
    • 1981
  • Neurofibroma는 신체 어느 부위나 어느 신경에서도 발현된다. 이 종양은 서서히 성장하는 양성종양으로써 이비인후과 영역에서는 청신경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으나 구강 및 인후두에서는 비교적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Neurofibroma는 단발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또 Neurofibromatosis증후군의 일부로써 나타날 수도 있다. 환자는 54세 여자로써 10연전부터 설첨부에 그 크기가 점점 증대되는 무통성 종물이 있어왔으며 내원시엔 땅콩크기만큼 자란 종물로써 이물감을 주소로 하여 본원 외내에서 초진되었다. 이 종물은 설첨부에 견고하고 주위조직과 명확하였으며 촉진시 무통성이었고 담황색을 뛴 고무덩이 같은 느낌을 주었다. 이 종물은 검경결과로 Neurofibroma로 확진되었으며 국소마취하에 외과적 적출술을 하였으며 현재까지 종양의 재발은 없었다.

  • PDF

이매패류(Sinonovacula constricta) 먹이원 NGS 분석 적용에 대한 연구 (Application of NGS Analysis for the Food Source of Bivalve)

  • 허유지;조현빈;정은송;김현우
    • 생태와환경
    • /
    • 제54권3호
    • /
    • pp.257-26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리맛조개(S. constricta)의 토사물을 현미경 검경과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법으로 먹이원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형태학적 및 분자학적 방법에 따른 먹이원 분석을 비교하였다. 가리맛조개(S. constricta)의 먹이원은 분석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먹이원생물은 위 내에서 분해되어 현미경 분석을 통한 생활사 확인과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였으나 형태학적 및 해부학적 특성 파악이 불완전하였다. NGS 분석은 유기물 형태로 잔존하는 생물의 DNA 확인이 가능하여 현미경 검경 결과와의 상호보완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미립질 돌연변이 창출 (New Mutants for Endosperm and Embryo Characters in Rice)

  • 김광호;허문회;박순직;고희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7-203
    • /
    • 1991
  • 화청벼와 IR24의 수정란에 N-methyl-N-nitros-ourea(MNU)를 처리하여 여러 종류의 배란 및 배 돌연변이체를 유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변이체들에 대한 외관특성, SEM 검경 특성 및 amylose 함량 분석을 통하여 각각 dull, 찰성, 심백, 분질, sugary, shrunken, 유색종피 변이체들로 명명하였다. 2. 변이체들 중에서는 심백 변이체들의 비율이 74.8%로 가장 높았다. 3. 47320(dull)을 제외한 모든 변이 형질은 단순열성 돌연변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UAV 기반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저수지 조류농도 산정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 of Algae Concentration in Reservoir Using UAV-Based Hyperspectral Image)

  • 김종민;권영화;김동수;김영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0-110
    • /
    • 2021
  • 사회적, 환경적으로 크고 작은 문제를 일으키는 녹조현상은 수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로 없어서는 안 될 조류의 과대 성장으로 인해 주로 나타난다. 담수조류는 크게 녹조류, 남조류, 규조류 3종으로 나누어지며, 특히 남조류는 계절별 천이에 따른 발생 시 과대 성장하는 특성으로 인해 녹조현상에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이러한 녹조현상의 원인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발령기준 항목을 chl-a와 남조류 세포수에서 2016년 이후 남조류 세포수 만으로 발령기준 항목을 개정하였다. 따라서, 녹조현상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위해서는 남조류에 대한 분포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가장 우선시 되며 이를 위해 신속한 모니터링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현재 조류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직접 채수를 통한 검경 또는 Lisst, YSI와 같은 직접 계측 센서를 활용하여 모니터링을 진행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 선 단위의 측정은 전반적인 조류 분포 및 현황에 대하여 파악과 신속한 모니터링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에 대안으로 위성영상, 다중분광 및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면단 위의 원격 모니터링을 통해 신속하고 하천 내 전반적인 조류 농도 분석을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AV를 활용한 초분광센서를 이용하여 하천과 일정한 반사율을 가지는 반사천을 촬영하고 취득한 초분광영상 보정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최적 밴드 비를 산정하고 YSI를 통한 Chl-a 결과를 이용하여 분광 특성별 맵핑을 통한 공간적 분포의 조류 농도를 산정하고자 한다.

  • PDF

형광센서를 활용한 조류 농도 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lgal concentration analysis using a fluorescent sensor)

  • 임재연;김광수;남수한;김영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1-261
    • /
    • 2022
  • 최근 국내 녹조현상의 빈도가 잦아지고, 지속기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녹조현상은 이상기후로 인한 일사량, 수온, 체류시간 증가로 인한 환경적인 영향이 있으며, 산업단지 및 농지 등에서 유출되는 질소나 인의 부영양화로 인한 인위적 영향이 있다. 조류종 중 특히 남조류가 생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독성물질(간독소, 신경독소), 이취미 물질(Geosmin, 2-MIB 등)은 수질을 악화시키고 있어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조류는 하천에서 넓은 분포로 발생하게 되는데 현재 조류 조사 방법은 현장에 발생한 조류를 직접 채취하여 연구실에서 현미경으로 직접 검경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시간, 비용이 소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인력과 시간을 줄이기 위해 센서를 활용한 조류분석 및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한 조류 모니터링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하천에서는 녹조류와 남조류 모두 혼합되어 존재하며 센서를 이용하여 조류를 분석할 시 녹조류는 Chl-a, 남조류는 Phycocyanin을 대체하여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조류는 광합성을 하기 때문에 Chl-a를 모두 함유하고 있어 Chl-a만으로 남조류를 추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류 계측장비인 LISST-HAB를 통하여 조류시료의 농도를 측정하여 Chl-a, Phycocyanin 농도를 측정하여 조류종 분류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 PDF

초분광센서를 활용한 조류종 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Algae species using hyperspectral sensors)

  • 김광수;남수한;권영화;김동수;김영도;권재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87-87
    • /
    • 2022
  • 최근 국내외 이상기후 변화로 인해 일사량 증가 및 하천, 호소의 체류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조류의 과대성장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하천의 조류는 크게 녹조류, 남조류, 규조류로 분류되며, 남조류 중 일부 종은생장하는 과정에서 생성하는 냄새물질, 독성물질의 배출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국민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조류경보제, 수질예보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유해남조류세포와 Chl-a농도에 따라 발령이 된다. 이렇듯 유해남조류와 Chl-a 측정은 매우 중요하며, 현재 조류의 분석방법은 현장샘플을 하여 조류검경을 통해 산정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조류발생시 즉각대응이 힘들며, 육안으로 유해남조류인지 구별하기가 어렵다. 최근 원격탐사를 통해 조류의 대체 인자인 Chl-a, Phycocyanin을 통해 조류농도를 분석하고 있으나, 광합성을하는 모든 조류에는 Chl-a가 함유되어 있어 남조류와 녹조류의 정확히 구별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배양액을 초분광센서를 통해 조류스펙트럼을 취득하고, 남조류와 녹조류의 최대 흡수 스펙트럼을 추출하여 스펙트럼의 순간기울기 변화를 통해 남조류와 녹조류의 종분류하였다.

  • PDF

대두위축병원 바이러스에 관한 연구 (An infectious virus isolated from soybeans)

  • 이순형;이민효;회원비여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5-179
    • /
    • 1980
  • 수원근교의 대두포장에서 채집한 자연발병된 이병주로부터 대두위축병원바이러스가 되었다. 이 바이러스에 이병된 대두의 병징은 Crinkling, 약한 Mottling 및 품종에 따라서 심한 위축증상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대두위축병원바이러스를 지표식물에 즙액접종한 결과 명아주(Chenopodium amaranticolor), 명아주(C. quinoa), 동부(Vigna sinensis)에서는 국부병반이 나타났고 담배(Bright yellow), 담배(KY-57)에서는 모자익병징이 나타났다. 이 바이러스의 물리적 성질은 내열성이 60C, 내희석성이 $10^3$으로 나타났으며 내보존성은 3일이었다. 충매전염시험결과 복숭아혹진딧물은 이 바이러스를 비교적 쉽게 전염시켰다. 또한 이 바이러스는 혈청학적으로 오이모자익바이러스와 밀접한 관계를 가졌으며 전자현미경에서 바이러스의 검경결과 오이모자익바이러스와 같은 형태의 입자가 관찰되었다.

  • PDF

그라디오러스에 발생하는 BYMV와 CMV에 관한 연구 (Bean Yellow Mosaic Virus and Cucumber Mosaic Virus Causing Mosaic Disease on Gladiolus in Korea)

  • 이순형;김정수;최용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8-202
    • /
    • 1983
  • 그라디오러스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을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 이 병율이 $43.3\%$이었다. BYMV는 명아주에 엽맥괴사병징, 강남콩에 심한 모자익 병징 그리고 잠두에 모자익 병길을 일으켰다. CMV는 명아주에 국부병반, 담배와 오이에 모자익 병징을 일으켰다. 분류 동정된 두 바이러스는 모두 복숭아 혹진딧물에 의하여 전염되었다. 바이러스를 순화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두 바이러스 모두 260nm에서 최고의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한천내확산법을 이용한 항혈청과의 반응 결과 SDS를 처리한 BYMY와 CMV는 각각 그 바이러스의 항혈청과 뚜렷한 반응대를 형성하였다. 바이러스 입자의 진자현미경검경 과파 BYMV는 길이가 750nm였으며, CMV는 직경이 30nm이었다.

  • PDF

견사 Lousiness에 관한 연구(II) (Study of Silk Lousiness (II))

  • 최병희;김낙정;박광의;남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63-68
    • /
    • 1965
  • 본 연구는 견사 lousiness와 유전관련성을 구명하여 도태가능성 여부를 조사하는 반면, 그 외 도태가능성이 불완전하였으므로 정련방법의 개량으로 인하여 lousiness의 개선을 기도하였던 바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A) lousiness의 유전관계문제 1. 교잡에 의한 lousiness 감소는 11.0%이었다. 2. lousiness의 유전은 불완전우성으로 유전한다. 3. lousiness를 발생하는 유전은 누적적으로 작용하고2종 이상의 유전자가 lousiness 발생에 작용하는 것으로 고찰된다. 4. 잠견의 실용형질과 lousiness와는 유전상관관계가 없다. 5. 다계량계통의 잠품종에서 반드시 lousiness의 발생이 많다고 할 수 없다. 6. 본 실험에서의 lousiness 검경은 생계의 exforiation 시험결과와 동일하였다. (B) 정련에 의한 lousiness 개선문제 1. 양 ion계 화학연화제 0.2% 용액을 95$^{\circ}C$ 하에서 30분간 처리할 때 lousiness 발생을 억제하면서 정련할 수 있었다. 2. 음 ion계 화학연화제는 생사정련에 불합격하였다. 3. 양 ion계 연화제를 상기조건하에 처리할 때 견사의 물리적성질에 변화가 없었다. 4. 석검정련은 lousiness 발생을 용이하게 시킨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