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걷기운동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31초

경추 추간판탈출증에 의한 브라운-시쿼드 증후군 : 수술 후 도수치료와 운동치료 효과-사례연구 (Brown-Sequard Syndrome Produced by Cervical Disc Herniation : Manual and Exercise Therapy after Operation-Case Studies)

  • 김명준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9-85
    • /
    • 2009
  • 목적 : 브라운시쿼드는 대부분 척추손상과 수질외 척추 종양에서 주로 나타난다. 드물게 경추 디스크가 브라운시쿼드의 원인이 된다. 경추디스크에 의한 브라운시쿼드 증세의 수술후 물리치료 및 도수치료 결과를 보고하기 위함이다. 방법 : 50세 남자로써 브라운시쿼드 증세로 진단을 받고 수술후 좌측 팔과 다리에 운동신경에 의한 마비증세가 있었으며(팔>다리), 우측으로 감각과 온도감각이 저하된 경우이다(팔>다리). 측정방법은 통증지수(VAS), 근력(Distal PowerTracII$^{TM}$ test), 지구력(Ergometer) 측정과 심리상태(설문)를 치료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물리치료에서는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와 도수치료 및 운동치료 방법을 실시하였다. 도수치료는 통증완화와 근력강화를 위한 MET, MFR, Mobilization 등을 실시하였으며, 운동은 슬링시스템 등을 이용한 운동과 견관절의 불안정을 위해 안정화운동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이 케이스는 수술후 이상 징후가 척수압박으로 인하여 보다 넓게 통증이 나타났으며, 운동 및 감각신경이 둔해지고 온도에 대한 감각이 반대편 결손으로 나타났으며, 좌측 어깨, 팔 견갑부의 근육 마비와 우측의 감각이 떨어진 현상이 나타났다. 물리치료 후 단기목표와 장기목표에 있어서 통증과 운동 및 감각 기능이 회복되어 각각 팔 통증에서는 VAS 8 ${\rightarrow}$ 1, 상지 하지의 운동기능은 Trace ${\rightarrow}$ Good 로 평가 회복되었으며, 근력측정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모든 치료과정 결과에서 심리적 상태의 설문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어 긍정적 신뢰가 높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결과 다리의 근력이 증가는 걷기 운동 및 에르고메터의 지구력 및 균형이 레벨1의 10분 수행능력이 레벨 20에서 30분 수행능력으로 향상되어 일상적인 활동이 가능해졌다. 결론 : 예상하지 못했던 수술 후유증(side effects)에 대한 치료과정이 환자의 심리에 심각한 부정적인 생각이 신체의 기능과 감정의 손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치료 과정에서 기능적 향상과 더불어 정신적인 심리의 정서 안정이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스포츠 동작 분류.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Time Sports Activity Classification & Monitoring Using a Tri-axial Accelerometer)

  • 강동원;최진승;탁계래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9-64
    • /
    • 2008
  • 본 연구는 3축 가속도 센서를 허리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스포츠 동작분류를 할 수 있는 모니터 링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포츠 동작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걷기, 달리기, 자세변화 동지 정지상태의 동작들과 추가적으로 사이클링 동작을 분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운동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낙상을 감지하여 위급상황에 대한 정보도 나타나게 하였다. 가속도센서모듈은 인체에 부착된 형태로 스포츠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소형으로 설계되었으며 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게 허리에 부착되었다. 측정된 데이터는 RF통신을 통해 PC로 전송되며 알고리즘을 통해 실시간으로 동작분류를 시행하게 된다. 개발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으로 5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속도의 걷기, 달리기, 사이클링 동작을 각각 100초간 실시하였으며 낙상과 자세변화 동작(앉았다 일어서기, 누웠다 일어서기, 서있다 앉기, 누웠다 앉기, 서있다 눕기, 앉았다 눕기)은 각각 20회씩 실행하였다. 그 결과 동작분류 정확도는 95.4%를 나타내었다. 이번 연구에서 스포츠 모니터링을 통하여 정확한 자신의 운동 정보를 알려주고 운동 시에 발생하는 낙상에 대한 위급상황을 알려줌으로써 스포츠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로 각각의 스포츠 활동에 대한 정확한 에너지 소비 추정 알고리즘을 개발 중에 있다.

과제지향훈련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흰쥐의 운동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sk oriented Training on Motor and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ementia Rat)

  • 임건홍;이홍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19-12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지향훈련이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beta}-amyloid$ 주입)시킨 흰쥐의 운동 및 인지기능 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Sprague-Dawley계 흰쥐 30마리를 무작위 할당하여 치매 유발 이후 어떠한 처치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n=15), 치매 유발 이후 과제지향훈련을 적용한 실험군(n=15)으로 나누었다. 훈련은 4주 동안 주 3회, 1일 1회, 20분간 시행하였다. 흰쥐들의 인지 및 운동기능 평가는 8자 미로 검사와 가로대 걷기 검사를 시행하였다. 8자 미로 검사는 시기별 군간 차이에서 14일과 28일에 유의한 차이를(p<.001) 보였다. 두 집단의 시기별 측정값의 차이가 유의하였다(p<.001). 또한 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사다리 걷기 검사는 시기별 군간 차이에서 14일과 28일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두 집단의 시기별 측정값의 차이도 유의하였다(p<.001). 또한 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이상의 결과 알츠하이머 흰쥐에게 과제지향훈련은 운동 및 인지기능의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 나아가 과제지향훈련이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운동 및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운동처방을 적용한 숲길 걷기가 노인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 Walking Based on Exercise Prescription on Body Composition of Older Individuals)

  • 김초윤;이윤정;박범진;송초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2호
    • /
    • pp.210-221
    • /
    • 2024
  • 본 연구는 운동처방을 적용한 숲길 걷기 운동이 노인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 75세 미만의 노인 44명(평균연령: 69.3±3.1세)으로 하였다. 실험군 22명은 개인의 건강상태 등 을 고려하여 처방된 운동강도를 바탕으로 매주 3회, 회당 1시간 이상의 숲길 걷기를 8주 동안 진행하였다. 대조군 22명은 평소와 같은 생활을 지속하였다. 실험군 및 대조군의 8주 동안의 체성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①실험군의 숲길 걷기 전후 비교, ②대조군의 사전 사후 측정 결과 비교, ③실험군과 대조군의 변화량(사후-사전) 비교의 3가지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①실험군에서 체중, 체지방, 체질량 지수에서의 유의한 감소, ②대조군에서 오른팔 근육량 및 비율, 몸통 근육 비율, 왼쪽 다리의 근육량 및 비율, 오른팔 체수분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③그룹 간 비교결과, 실험군은 체중 및 체지방이 감소한 반면 대조군은 증가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운동처방을 적용한 숲길 걷기는 노인의 신체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복합운동이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초등학생의 대사적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metabolic bio-marker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 김현준;김태운;이상엽;신군수;김영주;김수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9호
    • /
    • pp.946-951
    • /
    • 2006
  • 목 적 : 본 연구는 복합운동이 비만 아동의 에너지 대사를 긍정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복합운동 프로그램 12주 동안 아디포넥틴과 비만관련 변수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방 법 : 일개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중 체질량지수가 85백분위수 이상인 과체중 및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은 12주 동안 걷기운동과 밴드저항운동을 조합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신장, 체중, 체지방량, 공복 혈당, 인슐린 및 아디포넥틴 측정은 복합운동프로그램 시작 전 및 프로그램 시행 1주, 4주, 12주째에 측정하였다. 인슐린 저항성 및 민감도는 HOMA 지수와 QUICKI 지수를 사용하였다. 결 과 : 아디포넥틴은 운동 4주 후에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운동 12주 후에는 운동 전과 유사한 수준으로 운동 프로그램이 지속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체중, 체질량지수 및 인슐린 저항성은 복합운동 1주, 4주, 12주 후에 운동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체지방률은 복합운동 12주에 운동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운동이 진행됨에 따라 체중 및 체질량지수 변화량과 인슐린 변화량 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아디 포넥틴 변화량과 인슐린 변화량 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 인슐린저항성은 복합운동 1주 후부터 개선되기 시작하였다. 아디포넥틴은 운동 초기에 감소하다 특정시기 이상의 지속적인 운동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운동이 아디포넥틴 농도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할 수 있지만, 장기간의 지속적인 운동에 따른 아디포넥틴 농도의 변화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비만 관리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체중, 체질량지수 및 생리지표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n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and Physiological Index of High School Girl Students)

  • 차규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362-1371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n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the body weight, body-mass index, and physiological index of obes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Method: Students from one school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students from another school as a control group so the latter group wasn't exposed to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each organized with 20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60 minutes of behavior modification once a week, for eight weeks. Result: The Body weight, and Body mass-Index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obesity management program. Total-cholesterol, T-G, and LDL-C significantly decreased and HDL-C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otal-cholesterol, T-G, LDL-C and HDL-C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besity management program had a great effect on decreasing the body weight and body-mass index of the female obese high school students, normalizing their physiological index. In conclusion, this program turned out to be one of the safest and most effective obesity-management methods that could be applied to female high school students.

걷기지도자 교육과정이 걷기운동지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Walking Leader Program on Walking Knowledge and Self-efficacy)

  • 이창현;김영임;김숙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8-187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walking leader program on changes in walking knowledge and self-efficacy. Methods: The subjects were 276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wide walking leader program 9 times from May to September in 2008.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y an organized questionnaire. Results: 1) Knowledge related to walking exercise increased significantly to 4.14 point from 2.90 point after the program (t=-20.70, p<.001). 2) Self-efficacy related to walking exercise increased significantly to 4.08 point from 3.40 point after the program (t=13.93, p<.001). 3)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ed knowledge and self efficacy before the program were regular exercis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history of chronic disease and smoking were significantly affecting factors to knowledge and self-efficacy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The walking leader program promoted the participants' walking knowledge and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specific programs tailored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to make efforts to increase participants with active public information.

노인들의 걷기 운동과 건강관련 변인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Health-related Variables with Regular Walking Exercise in the Elderly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NES))

  • 최연희;이춘지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15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related to regular walking exercise in the elderly using KNHNES data. Method: The study subjects, a total of 1437 adults over age 65,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type of walking exercise: regular walking exercise group or irregular walking exercise group. The study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scale physiological function, mental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 an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data was analyzed by $x^2$-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factors related to regular walking exercise were male (OR=0.628, 95%CI=0.503-0.783), subjective health state (OR=0.832, 95%CI=0.751-0.921), thoughts of suicide (OR=0.753, 95%CI=0.586-0.967), hypoHDL-cholesterolemia (OR=0.742, 95%CI=0.591-0.930), and stroke (OR=0.604, 95%CI=0.366-0.997).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regular walking exercise in the elderly is related to physiological function, mental health status, and chronic disease. Therefore, providing for the education and awareness of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will ma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건강걷기, 건강걷기와 식이 교육이 고중성지방혈증 비만 여성의 C-reactive protein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isk Walking and Brisk Walking Plus Diet on C-reactive Protein in Obese Women with Hypertriglycemia)

  • 이미라;김완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60-667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week brisk walking and brisk walking plus diet program on C-Reactive Protein(CRP) in middle-aged obese hypertriglycemic($triglyceride{\geq}150mg/d{\ell}$) Korean women. Method: The subjects were 16 obese ($BMI{\geq}25$) hypertriglycemic middle-aged women (7 for brisk walking group, 9 for brisk walking plus diet group) who participated in a health promotion program at one public health center. Initially the brisk walking intervention consisted of walking for 20 minutes/day at an intensity of 40 to 50% of heart rate reserve(HRR) for 3 days/week and progressed to 50 minutes/day, 60 to 70% of their HRR, and 6 days/week. The diet intervention consisted of 60 minutes of group education and 20 to 30 minutes of individual counseling with a nutritionist every week.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C program.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reduction in CRP levels in both brisk walking (Z=-1.70, p=0.088) and brisk walking plus diet group(Z=-0.31, p=0.752). In brisk walking only group, CRP levels were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Brisk walking could increase the level of CRP when it is in the course of progression and diet could decrease the acute phase inflammatory response.

  • PDF

여성노인의 규칙적인 걷기운동이 신체조성, 기능성 체력, 그리고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Regular Walk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Functional Fitness, and Anxiety and Depression in Elderly Women)

  • 이삼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7-76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 5 week walk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functional fitness, as well as its effects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elderly women by regular walking exercise(RWE), which helps to provide proper treatment program to them. Method : The 32 subjects who had a regular walking exercise in this research and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a walking group and a control group. 15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RWE. The 17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have walking exercise. The members of exercise group had walking 50 minutes a day, three times a week, for 5 weeks in same conditions. Results : After RWE, The participants showed lower body weight, body fat mass, % fat, BMI, wast-hip ratio in the walking program. Muscle mass and basic metabolic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ompleting the walking program. Th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of the walking group, flexibility and static balance a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elderly women taking RWE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anxiety and depression levels. Conclusion :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 RWE program had favorable effect on body composition, functional fitness, and depression and anxiety in elderly women. Future research needs to target various elderly women groups of a long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