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걷기운동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4초

혈류를 제한한 4주간의 걷기운동이 중년 비만여성의 인슐린저항성과 아디포카인, Gut hormone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4 Weeks' Walking Exercise with Blood Flow Restriction on Insulin Resistance, Adipokines and Gut Hormones in Middle Aged Obese Women)

  • 오두환;김정훈;장석암;이장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89-498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의 발병 위험성이 높은 직장 중년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낮은 강도의 혈류를 제한한 4주간의 걷기트레이닝이 인슐린저항성과 아디포카인, Gut 호르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자는 BMI $25kg/m^2$와 체지방률 30% 이상의 직장 중년 비만여성 11명으로 하였으며 혈류의 제한은 특수제작 된 공압식 가압벨트를 사용해 사지의 혈류를 제한하였다. 혈류를 제한한 걷기트레이닝은 대퇴부위 양쪽에 공압방식의 탄성벨트를 착용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4주간, 주당 3일, 1일 2회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걷기프로그램은 4km/h의 속도와, 5%의 경사도로 2분 걷기와 1분 휴식으로 구성하여 총 5세트 반복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4주간의 혈류를 제한한 걷기트레이닝 후, 인슐린의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5) 글루코스의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HOMA-IR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아디포넥틴과 비스파틴의 농도는 트레이닝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그렐린과 GLP-1의 농도는 모두 4주간의 혈류를 제한한 걷기트레이닝 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이상의 결과에서, 4주간의 혈류를 제한한 걷기트레이닝은 직장 중년 비만여성들의 인슐린 저항성과 아디포카인, Gut 호르몬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는 낮은강도와 짧은 시간의 혈류를 제한한 트레이닝이 비만의 예방과 치료적 차원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면장애 노인의 운동유형별 뇌파와 혈 중 멜라토닌 농도 비교 (A Study of EEG and Melatonin in Plasma According to Exercise Type in Elderly with Sleep Disorder)

  • 김동현;김석범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9-37
    • /
    • 2018
  • 목적 : 수면장애는 노인에게 있어 다양한 이유로 빈발하고 있다. 이러한 노인의 수면장애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지속적인 운동습관이 수면장애의 치료적 효과를 줄 수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서 뇌파와 멜라토닌의 농도를 이용한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 일부지역의 노인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면장애의 판단은 수면시간 6시간 이하의 경우(Kozier et al, 2004)와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의 점수를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로 정하였다. 운동유형별 적용은 저강도의 걷기운동, 중강도의 유산소 운동, 고강도의 저항성 근력운동을 적용하였으며 측정도구는 뇌파에서 파형을 체크하기 위하여 QEEG 8-System(LAXTHA Inc. KOREA) 기기와 수면의 질을 검사하기 위해서 수면다원검사에 사용하는 Polysomnograpy (Compumedics, Australia) 기기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TTC(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염색과 H & E(Hematoxylin & Eosin) 염색을 통해 조직학적 양상을 관찰하였다. 결과 : 중강도의 유산소 운동 후에 멜라토닌의 농도와 뇌파로 측정한 수면지수에는 긍정적인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중강도의 유산소 운동에서는 SWS가 저강도, 고강도 운동보다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 SWS의 관찰지표인 델타파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결론 : 인체의 일주기성 리듬의 생화학적, 행동학적 기능에 변화를 가져오는 노인에게서 수면장애에 대한 지속적인 운동은 운동의 유형에 따라 효과가 다름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유산소 운동이 다른 운동보다 노인 수면장애에 효과가 크다는 것을 멜라토닌의 농도와 뇌파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노인에게 맞춤형 운동을 제공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에 유용하고 건강한 말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지혜 깊어지는 건강_활기찬 실버 세대: 60세, 근육 키우기 신경계 퇴화 막고 노화는 늦추고

  • 이상협
    • 건강소식
    • /
    • 제35권6호
    • /
    • pp.24-25
    • /
    • 2011
  • 30세 이후 근력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운동을 꾸준히 하지 않는 이상 60세 이후 30% 정도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근육량이 적어지면 기초대사량이 감소하여 쉽게 살이 찌고, 고혈압 등 만성질환 등에 노출되기 쉽다. 또한, 하체근력이 약화되면 걷기 등 일상생활에서 문제가 따르고, 낙상 등의 위험도 배가 된다. 따라서 건강한 노후생활을 즐기기 위해서는 근력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라고 해도 무방하다.

  • PDF

지혜 깊어지는 건강: 내 몸에 꼭 맞는 운동 -노화를 예방하는 30분 걷기

  • 이윤미
    • 건강소식
    • /
    • 제35권5호
    • /
    • pp.26-27
    • /
    • 2011
  • 사람이 받은 가장 큰 축복은 이족(二足)보행이다. 걷기는 건강 이전에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하루 걷는 양은 많아도 5,000보이고 활동량이 적은 경우에는 1,000보도 채 되지 않는다. 하루에 6,000보 정도만 걸어도 건강을 지킬 수 있다. 그렇다면 걷기는 어디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좋으며 걸어야 하는 것일까.

  • PDF

인체동작구분 퍼지추론시스템 (Human Motion Recognition using Fuzzy Inference System)

  • 진계환;이상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22-727
    • /
    • 2009
  • 인체동작상태를 구분하는 기술은 인체활동에 따라 변하는 생체신호의 측정 분석분야, 수면장애의 진단 치료 효과의 스크리닝 검사분야, 만성질환 환자의 운동 상태 진단 운동처방분야에 필요한 기술이다. Armband에 내장된 아날로그 디바이스사의 ADXL202AE을 이용하여 수직방향신호의 평균치(LAA), 수평방향신호의 평균치(TAA), 수직방향 신호의 가속도 변화량의 절대치의 평균치(L-MAD), 수평방향신호의 가속도 변화량의 절대치의 평균치(T-MAD)의 획득과 데이터 처리하여, 인체동작상태(눕기, 앉기, 걷기, 뛰기)를 구분하는 퍼지규칙 기반의 퍼지추론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입력데이터(LAA, TAA, L-MAD, T-MAD)와 출력데이터(Lying, Sitting, Walking, Running)의 각 구역에서의 소속정도(menbership degree)와 퍼지규칙은 실험을 통해 얻은 수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눕기$\rightarrow$걷기$\rightarrow$뛰기$\rightarrow$눕기 순으로 생성한 모의실험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눕기, 앉기, 걷기, 뛰기의 동작상태 구분율은 각각 100%이었다.

걷기운동의 강도가 중년여성의 피로, 혈중지질,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lking Exercise Intensities on Fatigue, Serum Lipids and Immune Function among Middle-Aged Women)

  • 이정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4-10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s of a moderate and fast walking exercise program on middle-aged women's fatigue, serum lipids and immunoglobulins.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0 weeks from May 17th to July 25th, 2004 with 44 middle-aged women, consisting of 16 for the moderate walking group, 15 for the fast walking group and 13 for the control group. Result: Walking exercise at both a moderate and fast speed was effective in middle-aged women in reducing fatigue and serum lipids. It was also revealed that extended periods of exercise was more effective in decreasing fatigue while for reducing serum lipid, high intensity exercise was more effective. In this study, serum immunoglobulins were reduced after moderate and fast walking exercise but its cause was not fully understood 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Conclusion: This study helps u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gular exercise and promotes motivation to exercise for a healthy life among middle-aged women.

걷기 운동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생리적 지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Program in the Middle Aged Women on Physiological Index)

  • 유경원;민순;박재경;김혜숙;하윤주;김영순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1-7
    • /
    • 2010
  • Purpose: This research is to promote an walking exercise program for the subjects to continue exercise by mitigating stresses with increase in increase their physiological index.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study. The research has been executed from August 1st to September 30th 2008 by operating walking exercise program to 50 subjects. Only 24 patients who continued this program to the last were could be investigated. Results: Among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ad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and BMI. Despite of an insignificant change in skeletal muscle mass, fat mass, body fat ratio and WHR, average value for skeletal muscle mass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while the average values for fat mass, body fat ratio and WHR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Conclusion: In conclusion, walking exercise program was design for the subjects to be able to exercise without an extra cost for a special tool to exercise with an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health problem.

점진적 걷기프로그램이 폐절제술 환자의 신체활동량, 운동능력, 회복력 및 합병증 발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Progressive Walking Program on Physical Activity, Exercise Tolerance, Recover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a Lung Resection)

  • 김인아;이해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81-390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Progressive Walking program (PW) on physical activity, exercise tolerance, recover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or patients with a lung resec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utilized and 37 participants with a lung resection (22 for control group, 15 for experimental group) were recruited at A university hospital from December 2012 to August 2013. The PW consisted of preoperative education, goal setting, and feedback,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usual care to the control group.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8.0. Results: A higher proportion of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dequate levels of physical activity (p=.001), shorter period of chest tube retention (${\leq}7$ days; p=.011), and shorter stay in the hospital (${\leq}10$ days; p=.036) than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longer 6-minute walking distance (p=.032) and lower levels of dyspnea (p=.049) than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PW did not influence the occurrence of pulmonary complication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W could be a useful strategy for improving patients' post-operative health and reducing cost after lung resection.

트레드밀 걷기운동이 40대 중년여성의 골밀도 및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eadmill Walking Exercise on BMD and BMI in Middle-Aged Women)

  • 이정인;변영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3-5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eadmill walking exercise on the BMD (Bone Mineral Density) and BMI (Body Mass Index) of middle-aged women in their forties.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0 weeks from May 17 to July 25, 2004 with 29 middle-aged women in their forties, who were assigned to a walking exercise group (16) or a control group (13). The experimental group had not exercised regularly before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exercise treatment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e BMD and BMI were measured with peripheral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bioelectrical impidence analysis, respectively. $X^2-test$ and Mann-Whitney U test with the SPSS version 11.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 Treadmill walking exercise was effective for middle-aged women in increasing BMD and decreasing BMI.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a need to develop walking exercise protocols for middle-aged women to help them achieve a healthy life.

  • PDF

빠르게 걷기 운동이 과체중 태음인 대학생의 피로, 혈중지질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ower Walking Exercise on Fatigue, Blood Lipids, and Body Composition in Overweight Korean College Students with Taeumin Constitution)

  • 신은주;김남초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1-572
    • /
    • 2008
  •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s of power walking exercise on fatigue and overweight in college students with Taeumin constitution. Method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constitution diagnosis (QSCC II), 58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as Taeumin, whose BMI was over 23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The power walking group walked fast at a speed of 7,000 steps per hour using a pedometer, and the walking group walked at a speed of 5,000 steps per hour. There was no treatment with control group. Each group's fatigue level, blood lipids and body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Total fatigue and total cholesterol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ower walking group compared to the walk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igh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ower walking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percentage of body fat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the power walking group and the walking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When power walking exercise was used with overweight Taeumin students, fatigue, blood lipid, weight and percentage of body fat decreased significan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