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 자재 재사용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2초

RFID 기반의 건축 자재 관리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Database for Construction Materials Management System Based on RFID)

  • 문지윤;황석승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793-800
    • /
    • 2016
  • 건축 분야에 있어 자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건축 설계 및 해체 시 필요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건물 해체 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처리방법, 재활용 가능성,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기존의 건축 자재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자재의 종류와 투입량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축되었고, 건축물 해체 및 재건축 단계를 고려하여 건축자재의 재사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개발은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추정 모듈을 탑재한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을 사용하여 습득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건축물 해체 및 재건축 시 자재의 효율적인 재사용을 위해 건축자재의 위치와 상태를 포함한 다양한 자재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건축자재 재사용 관리는 건축비용 및 시간 절감 측면에서 많은 기대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보인다.

웹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건축자재 관리 시스템 (Construction Materials Management System Based on Web Database)

  • 문지윤;황석승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95-200
    • /
    • 2017
  •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웹 서비스의 질은 꾸준히 향상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해당 분야에 적합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축자재의 재사용을 목적으로 자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웹 데이터베이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건축자재관리 시스템은 위치추정 모듈을 탑재한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을 사용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재의 태그 ID, 위치, 자재명, 상태, 주기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스프링 프레임워크을 이용한 웹기반의 건축자재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 최근 건축현장에서 건물의 해체 시 발생하는 대량의 잔재를 처리하는 것에 대한 여러 문제점들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웹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건축자재관리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자재의 재사용율을 향상시켜 잔재처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재사용 가능한 건축자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건축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HF RFID를 이용한 위치정보 기반 건축자재 관리 시스템 (Construction Materials Management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ing UHF RFID)

  • 김태윤;황석승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027-1032
    • /
    • 2015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라디오파를 이용하여 사물에 부착된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건축 분야에서 RFID를 사용하여 자재의 투입량과 재고 관리를 위한 자재관리 시스템의 구축사례가 증가 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자재관리 시스템은 자재의 투입량과 재고 관리를 위해 자재에 RFID태그를 부착시키고 자재 투입 시 자재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는 기능만을 가진 시스템이 대부분이고, 자재의 재사용을 위해 자재의 위치정보를 RFID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인식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건축자재의 효율적인 재사용을 위해 특정 서브와 리더기의 거리측정값을 기반으로 자재의 위치를 추정하여 메인 서버에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는 RFID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의 구조는 RFID 리더부, 거리측정부, 통신부, 저장부로 구성된다.

안트라사이트를 활용한 산화마그네슘 보드의 실내 공기질 중 라돈가스 농도 저감 평가 (Evaluation of Decreasing Concentration of Radon Gas for Indoor Air Quality with Magnesium Oxide Board using Anthracite)

  • 편수정;임현웅;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15
    • /
    • 2018
  • 지구상에 존재하는 라돈가스는 바위, 토양, 건축자재 등에서 방출되는 1급 발암물질로 유일한 기체상으로 존재하고 있다. 공기에 비해 무겁고 분자량이 커 하부에 가라앉아 있지만 이동성이 크다. 라돈가스는 특성상 실외에서 대기에 확산되지만 밀폐되고 환기가 어려운 실내공간의 농도는 수천 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라돈가스의 위해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트라사이트를 활용한 경화체의 라돈가스 저감 특성과 더불어 실내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기존 여과재로 사용된 안트라사이트를 사용하여 경화체를 제작하였으며, 기존 실내에서 사용된 건축자재 중 라돈을 방출하는 석고보드를 대체할 수 있는 시험을 진행하였다. 결합재로는 경소 마그네시아를 사용하였고, 경소마그네시아의 경화를 위해 염화마그네슘을 사용하였다. 흡착재로 사용된 안트라사이트의 치환율은 0, 10, 20, 30, 40, 50 (%)로 총 6수준으로 진행하였으며,W/B는 40%로 고정하였다. 시험항목은 휨파괴 하중, 열전도율, 라돈가스 농도를 진행하였으며, 양생조건은 항온항습 양생(습도 $80{\pm}5%$, 온도 $20{\pm}2^{\circ}C$)으로 진행하였다.

Zigbee RSSI 기반의 위치추정 기능을 탑재한 RFID 시스템 (RFID System with Localization Function Based on Zigbee RSSI)

  • 김태윤;황석승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201-1208
    • /
    • 2016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기술은 무선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그 응용분야가 산업 전반에 걸쳐 확대되었다. RFID 기술의 대표적 응용 분야로는 의료, 물류, 유통 등이 있으며, 라디오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접촉 환경에의 사용이 용이하다. 최근 들어 RFID를 사용하여 건축자재의 재고 관리를 위한 자재관리 시스템의 구축사례가 증가 하고 있지만, 자재의 재사용에 관한 관련 연구나 실험은 미비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재고관리 시스템의 재고관리 기능에, 자재의 재사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위치추정 유닛이 탑재된 RFID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RFID 리더부와 저장부로 구성되고, 자재 위치정보는 RFID 리더의 위치를 추정하여 획득하게 된다. 리더의 위치추정을 위한 거리 값은 Zigbee의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을 활용하여 계산되며, $5m{\times}5m$의 실내공간에서 제안한 시스템의 위치추정 성능평가를 진행 하였다.

건축용 외장재의 발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moke Release for Architectural Surface Material)

  • 박영주;이해평;황미정;양영숙;유재열;이미리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86-489
    • /
    • 2011
  • 건축물 내 외벽에 주로 사용되는 건축용 자재 중 샌드위치 패널은 양면으로 도장한 철판 사이에 심재로 단열재를 넣어 구성된 합성복합자재이다. 샌드위치 패널의 사용범위는 창고시설 및 공업용 건축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시공에 따른 이점으로 주택 및 상업용등으로 널리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초기의 연기밀도는 인명 대피 시 시야확보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건축용 외장재를 용도별로 선정하여 시간에 따른 연기밀도의 값을 구하고 용도에 따른 화재 연기의 확산 정도를 예측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PDF

DMF를 이용한 PVC 필름의 압축성형 (Compression-molding of PVC Film Using DMF)

  • 윤경훈;강영아;이양헌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9-262
    • /
    • 2002
  • Polyvinylchloride(PVC)는 1838년 Regnault에 의해 처음으로 합성된 고분자로 1920년대 후반부터 섬유로 이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시도되었으나, 상업적 규모로 제조되기 시작한 것은 1942년경부터였다[l]. 현재, PVC는 건축자재용 파이프, 필름 등의 포장재, 가구 및 수송자재, 자동차 내장재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다른 폴리머에 비해 열안정성이 낮아 분해시 HCl 외에도 benzene, naphthalene, toluene과 다른 alkylated benzene이 방출되어 유독성과 금형 및 기기의 부식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2]. (중략)

  • PDF

건축자재의 오염물질 방출 데이터베이스 개발; 휘발성유기화합물, 폼알데하이드 방출강도 및 화학조성 (Development of a building materials database;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rmaldehyde emission rates and chemical compositions)

  • 유영재;이철원;김만구
    • 분석과학
    • /
    • 제22권1호
    • /
    • pp.57-64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건축자재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학물과 폼알데하이드의 오염물질 방출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였다. 건축자재 분류체계는 환경부와 한국공기청정협회에서 사용하는 분류체계와 연계하여 세분류하여 정립하였다. 개발된 데이터베이스는 각 건축자재로부터 방출되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과 5가지 휘발성유기화합물, 그리고 폼알데하이드의 방출강도를 포함하며 화학적 성분 및 일반적인 정보를 함께 포함하기 때문에 평가 모델링을 통한 실내공기질 예측에 입력변수로 사용 가능하다. 건축자재 분류별 폼알데하이드와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출강도를 box plot을 이용해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또한 각 분류별 오염물질의 방출특성을 확인함으로써, 실내공기질을 악화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는 건축자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화재 위험성이 높은 노출배관 사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osed Piping with High Risk of Fire)

  • 김엽래;백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61-66
    • /
    • 2015
  • 건축물 내에 노출배관의 자재에 대한 별도의 규정을 두지 않음에 따라 내부식성, 내약품성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알려진 Poly Vinyl Chloride (PVC)관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시 유독가스의 발생과 화재의 확산 방지에 취약하다는 우려의 시각이 있다. 노출배관은 불연재를 사용하여야 화재시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인명이나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초대형 건축물이 많이 건설되고 있는 시기에 화재시 피해의 심각성이 매우 우려된다. 건축물의 화재안전기준을 강화하고, 높아진 안전의식을 수용하여야 선진국으로의 진입에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다. 노출배관에 사용되는 자재를 조사하고, 선진국의 기준에 대해 분석하여 효율성을 연구함으로서 국민안전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국내 각 지역별 건축물의 노출배관에 대해 현장의 실태를 조사하여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건축물 안전과 거주자의 안전 확보 및 국내 외 노출배관의 불연재 사용에 대한 실태를 바탕으로 관련법규를 개선함으로 국민안전에 대하여 그 효율성을 제고한다.

도심지 인접 산불의 불티 확산이 건축물 외장재와 지붕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pread of Firebrand on Building Exterior Materials and Roofing Materials in Urban Areas)

  • 민정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617-626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도심지 인접에서 발생하는 산불의 불티로 인한 건축물 외장재 및 지붕재의 화재확산 위험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외장재와 지붕재로 사용되는 건축자재를 선별하여 착화시간, 총 방출열량, 열방출률을 확인하고 산불 불티 비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산불 불티로 인한 각각의 재료에 대한 화재 확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콘칼로리미터 실험결과 지붕재는 철판이 외부에 노출된 외장재에 비해 복사열로 인한 착화시간이 비슷하거나 빨랐으며 외장재보다 높은 열방출률과 총 방출열량을 나타냈으며, 불티 비화 실험에서 외장재는 하부에 가연물이 착화함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나 제한된 가연물의 양으로 쉽게 확산하지 않고 내부에서 탄화흔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지붕재의 경우 사용 재료에 따라 불티로 인한 가연물 착화로 쉽게 녹고 주변으로의 확산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콘칼로리미터 실험 방법은 복사열로 건축자재의 연소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산불에서 불티로 인한 화재확산은 주변 가연물의 착화로 직접 화염에 영향을 받아 콘칼로리미터 방법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는 것은 어려움이 있고 외장재에 비해 지붕재가 불티로 인한 화재 확산에 더 취약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