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 의도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1초

빈센트 반 고흐 풍경화의 의도된 건축경관 특징 연구 (A Study on Designed Architectural and Landscaping Characteristics of Vincent Van Gogh's Landscape Paintings)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43-50
    • /
    • 2023
  • This study is an architectural and landscaping analysis view to rural landscape paintings painted by Vincent van Gogh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Western art that Van Gogh's landscape paintings have,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object in his landscape paintings from February 1888 to April 1889 in Arles, southern Franc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ndscape paintings of Van Gogh painted during 15 months in Arles. Among the total paintings in Arles, 47% of the paintings he made were landscape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three views. First, Vincent van Gogh was born into a Protestant family in the Netherlands and become an artist in his late twenties. While living in Arles, he painted prolific landscapes. Farming, farmers, and rural area related to normal living are the main subjects of paintings. It can be seen as showing the view that everyday life is sublime and should be included as a unitary value. Second, Gogh's rural landscape paintings were painted with linear and aerial perspective with other the expressive techniques, and plane painting structure that leads to two dimension. Third, from an architectural point of view, Van Gogh's paintings depicted simple vernacular architecture such as traditional rural house, mas, thatched houses, and mills in southern France. This means the normal value of the rural landscape through the eyes of the painter.

전기설비의 계획과 설계 및 설계감리

  • 이선형
    • 전기기술인
    • /
    • 제199권3호
    • /
    • pp.38-43
    • /
    • 1999
  • 전력시설물의 설계를 검토하자면 무엇보다도 광범위한 지식과 다양한 경험이 요구된다. 그리고 설계의 진행방법과 설계자의 개성적인 판단에 따라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설계도서를 검토한다는 것은 설계자의 의도와 건축주 또는 발주자의 요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다음으로 기초적인 학문 및 이론과 응용기술을 구사하여 그것을 어떻게 현장여건과 맞게 마무리 짖느냐 하는데에 있다.

  • PDF

병동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1) - 고대(古代) 병원 병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Wards in Hospital - Focused on the Wards of the Ancient Hospital -)

  • 문영규;이낙운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5권8호
    • /
    • pp.71-78
    • /
    • 1999
  • The current hospital buildings try to support the functional needs and the social requests that is proper for so fast changes of the society.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hospital is affected by many direct or indirect factors as same as the societal changes. The factors of the changes are so various as the aspect of the disease, the development of medical care, the medical system, the medical facility, the social demands and so on.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traces of the ancient hospital wards through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s therefor it will be known what factors affected to the changes of the ancient historical hospital wards. Finally it will be not only presupposed a proper counterproposal to the changes of a future hospital scope, but it will be also known the history of the hospital wards.

  • PDF

통도사(通度寺) 자장암(慈藏庵)의 건축에 내재된 조영의도(造營意圖)와 미의식(美意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al Intention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e Architecture of Tongdosa Jajang-temple)

  • 이권영;서치상
    • 건축역사연구
    • /
    • 제11권4호
    • /
    • pp.117-128
    • /
    • 2002
  • This paper aims at proposing constructional intention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e architecture of Jajang-temple, which was originally built by the great monk, Jajang in 7c.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layout and form of buildings in Jajang-temple were remarkably followed the situations and shapes of natural rocks related to Gumwa legend about the original establishment of the temple. 2) As natural rocks were penetrated into both the inner and outer space of buildings and so artificial skills were more or less restrained, it seems to be short of geometrical regularity, symmetry and formal integrity. 3)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se architectural treatments were based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so called In-Cha and Jol-Bak, which were conceived by intellectual elites in Chosun dynasty.

  • PDF

건설 PMIS 품질이 사용의도 및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MIS Quality on Intention to Use and User Satisfaction)

  • 성민우;김가람;이슬기;유정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2-132
    • /
    • 2012
  • IT발전의 따른 산업분야의 정보시스템은 기업 또는 프로젝트의 생산성 향상과 전략적 경쟁우위를 점하게 하는 필수적 지원도구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시스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요인들을 규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성공요인을 활용하여 IS의 성과달성 또는 성공여부를 예측하거나 또는 성공에 이르는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건설프로젝트 참여자의 의사가 반영된 웹 기반 PMIS의 성공모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따라서 웹 기반 PMIS의 성과달성 또는 성공 메커니즘 역시 아직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연구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DeLone and McLean의 수정된 IS 성공모델[5]에 근거하여, 웹 기반 PMIS가 국내 건설프로젝트에서 국내 건설기술자에 의해 활용되는 상황에서, 웹 기반 PMIS의 성공요인이 사용자 사용의도와 만족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건설 PMIS의 성공요인은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 타당성 및 신뢰성이 검증된 을 항목을 활용하였으며. 건설 PMIS의 성공변수는 사용의도 및 사용자 만족도로 설정하여 기존 정보시스템 성공모델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평가항목을 구성하였다. 실제 PMIS의 사용자인 시공사, 사업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로 통계프로그램인 SPSS 12.0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건설 사업에서 웹기반 PMIS의 성공요인과 사용의도, 사용자 만족도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웹 기반 PMIS 성공모델을 통해 검증된 성공요인은 시스템 평가와 성공 예측 등에 활용 가능하며, 연구 결과 제시되는 시사점들은 향후 보다 설명력 높은 성공모델 구축의 방향 설정에 기여할 것이다.

전주 한옥마을 관광객의 관광동기가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 of Tour Motivation on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by Jeon-ju Hanok Village)

  • 김연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96-204
    • /
    • 2019
  • 본 연구는 전주 한옥마을 관광객의 관광동기가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전주 한옥마을 관광객을 대상으로 4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426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지는 2018년 7월 1일부터 7월 20일까지 실시하였고, 편의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객의 관광동기는 고유성, 역사성, 교육성, 예술성, 그리고 향수성으로 요인화 되었다. 둘째, 고유성과 예술성 요인이 종속변수인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객의 만족도는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한옥마을의 관광 건축 환경 위생 교통 음식 숙박 등 모든 면에 있어서 고유성과 예술성을 접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전주 한옥마을은 다수의 관광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적 노력이 강구되어야 한다.

현대건축에서의 단일체적 조형 성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nolithic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 류호창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49-58
    • /
    • 2006
  • 본 연구는 다원화된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현상의 하나인 단일체적(monolithic) 표현 성향의 특성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건축적 표현 중에서 단일체 건축은 형태적 산만함이나 분열, 이론에 치중한 형태적 복합성의 난해함을 대치하려는 의도로 해석되고, 현시대의 불안정성, 불확정성, 유동성 등이 강조되는 아방가르드적인 건축이론이나 작품경향에 반해 건축의 위상과 자율성 확립을 통한 반발이기도 하다. 이런 단일체 건축은 단순하고 경제적인 구조를 빈틈없는 외피로 감싼 형태적 엄격함을 보여주면서 인식이 용이한 이미지를 구축함으로써 독자적 아이덴티티를 갖춘 형태의 자립형 건축이라 할 수 있다. 외관의 추상적 형태를 이용해 형태묘사적인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거나, 크기나 스케일을 과장함으로써 존재감을 강화시키기도 하며, 색, 재료, 마감, 단면형태 등을 이용하여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중재하는 표피를 전략적으로 탐색하기도 한다. 이런 단일체 건축은 오늘날의 다중적이고 불확정적인 상황에서 건축적 아이덴티터를 확립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 PDF

마리오 보타의 건축이미지를 이용한 남성장신구 (Men's Jewelry using Mario Botta's Architectural Images)

  • 박승철;유기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31-236
    • /
    • 2009
  • 남성장신구는 여성장신구의 보조적 역할이나 예물 등으로 국한되어 있다. 또한 디자인 종류도 한정되어 있으며, 디자인 자체가 선진국가의 것을 참조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남성장신구 디자인 변화를 위해 그 모티브로 건축물을 선택하였다. 건축물은 남성을 대표하는 상징적 성격이 강하다. 힘이 있고 도전적이며 부와 권력을 상징 한다. 이러한 성격을 가진 건축가로는 세계적인 건축가 마리오 보타가 있다. 그의 건축은 혼란한 상황 속에서 자신의 빛깔을 잃지 않고 지역성을 바탕으로 조형적인 형태감과 공간감을 연구한 작가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마리오 보타 건축물의 형태적 이미지와 공간적 이미지를 작게 압축시켜 남성장신구로 연관 재현시킴으로써 보다 구체적이며 현대적인 감각을 표현할 수 있으리라는 의도에서 출발하여 그 가능성을 다각적으로 모색코자 하였다. 이와 같이 마리오 보타의 건축물에서 볼 수 있는 형태적 이미지와 공간적 이미지를 통해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하여, 조형성이 강조된 새로운 형태의 남성장신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웹 기반의 건축설계 사이트 개발의 방향 제시 (Direction Presentation of Development of Web-Based Architectural Design Site)

  • 최장명;안성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7-621
    • /
    • 2007
  • 일반인이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 공사를 하고자 할 때, 건축 재료 및 설계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원하는 디자인의 방향을 잘 표현하지 못하거나, 디자인의 결과를 미리 예측하지 못하여 본인의 의도와 다르게 시공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 상에서 건축설계 및 재료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고,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을 가상의 공간안에 미리 설계해 봄으로써, 실제 시공 시 결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반인들을 위한 건축설계 가상체험 사이트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재 건축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는 가상현실 기술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건축설계에 있어서 구현가능한 가상현실 기술의 한계 및 그 방향을 도출하고, 실제 전문가들이 사용하고 있는 건축 설계 프로그램의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건축설계 시 요구되는 필수기능을 UI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웹기반의 건축설계 가상체험 사이트의 설계 방향을 서비스적인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 UI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서종 MA주택에 구현된 영화적 시선에 대한 융합적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f the Cinematic Gaze Represented in Seojong MA-Residence)

  • 문근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93-30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영화적 시선들이 어떻게 서종 MA주택(2016, 경기도 양평군)에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초기 기획설계의 단계에서 어떠한 영화적, 건축적 개념들이 고려되었는지, 다음의 계획설계 단계에서는 이러한 개념들이 배치계획 및 평면, 입면계획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발전되었는지, 또한 이러한 디자인 의도가 준공된 건축작품에 효과적으로 반영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택의 건축디자인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설계 단계에서의 스케치, 모형, 도면 등을 참조하였다. 결과적으로 다양하고 흥미로운 영화적 시선들은 성공적으로 구현되었지만 야간의 시각적 노출, 파사드 디자인의 불완전 실현 등은 미흡한 부분으로 남게 되었다. 본 연구는 건축학, 영화학의 학제간 융합에 대한 시론으로서 그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