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축 부재

Search Result 63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Problem Analysis and Quality Improvement in Fabricating Free-Form Buildings Facade Panels through Mock-up Panels Production (Mock-up 부재제작을 통한 비정형 건축 외장부재의 제작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wen, Soon-Ho;Shim, Hyoun-Woo;Ock, Jong-H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3
    • /
    • pp.11-21
    • /
    • 2011
  • The most critical issue in free-form buildings is how to construct the free-formed exterior facade panels. Their geometric complexity delivers many cons and problems in fabricating and constructing their shapes. To construct a free-form building, first of all, its skin has to be chopped into small pieces, which is called panelization. After panelization, the panels go through an optimization process to construct them economically. The panel's geometries are modified or regenerated through this optimization process. In this study, the panel optimization process of free-form buildings are performed through a case study. The panel shapes of the case study are modeled with Digital Project. To test the constructability of the various panels, 8 mock-up panels are made and laser scanning technology is applied to measure the preciseness of the panels manufactured in comparison with their original design.

Development of an Edutainment Content for Comprehending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Structure (전통건축 목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게임형식의 교육용 콘텐츠 제작)

  • Ahn, E.Y.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314-315
    • /
    • 2012
  • 최근에 전통건축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옥마을 조성 등으로 인한 관련 산업의 수요가 활성화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문가 육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설계전문가라 하더라도 전통건축을 처음 접하는 경우에는 부재간의 연결 관계를 명확하게 인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의 발달된 인터넷 환경과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콘텐츠 개발에 관한 것이다. 부재의 결합규칙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통건축의 목구조 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한다. 디지털화된 전통건축 정보를 활용하여 부재간의 연결과 이음방식을 점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플랫폼에 자유로운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한다.

  • PDF

Computational Analysis of Air Flows Inside Korean Traditional House (친환경 전통건축의 내부기류 전산해석)

  • Kim, Jay-Won;Aan, Eun-Yeo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3
    • /
    • pp.380-387
    • /
    • 2012
  •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to examine the thermal behaviors of air flows inside Korean traditional house mad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transmitted. The methodology is numerical predictions of air flows depend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indoor spaces. The transient computational simulations are performed along with the different house types, weather condition, and operating time. Thermal properties of building units have been obtained by the parallel measurements and utilized in the numerical works. Consequently, the details of flows and temperature of air in the houses illustrate the thermal design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satisfy the requirements of human living.

Suitability Analysis of Non-contact Sensing Methods for Precast Concrete Element Flatness Inspec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평탄도 검사를 위한 센싱 기반 측정방법 적합도 비교)

  • Kwon, Soon-Ho;Kim, Jeong Seop;Sim, Sung-Han;Kim, Mink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4 no.4
    • /
    • pp.52-59
    • /
    • 2023
  • Flatness inspection of PC elements is normally conducted manually by inspectors at manufacturing sites. However, the manual inspection is error-prone and subjectiv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obust and efficient flatness measurement method. Recently, a few studies of laser scanner-based flatness inspection have been conducted. However, little attention on field applicability in terms of accuracy, time and cost has been paid. To tackle the limitation,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ree sensing method including floor profiler, terrestrial laser scanner and total station for flatness inspection of PC elements. A series of experiments on two full-scale PC slab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laser scanning method is the most suitable for the PC elements flatness inspection in the aspects of accuracy, time and cost.

Shear Strength Evaluation of Prestressed Concrete Beams without Shear Reinforcement (전단철근이 배치되지 않은 프리스트레스트된 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 평가)

  • Ju, Hyunjin;Lee, Deuckhang;Lee, Changjoon;Lee, Jun-Cheol;Kim, Kang 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6 no.2
    • /
    • pp.37-42
    • /
    • 2022
  • The dual potential capacity model (DPCM) was extended to be suitable for evaluation of the shear strength of prestressed concrete (PSC) members in the previous study. This paper aims to simplify the DPCM for its better application in practice. To this end, a total of 172 shear test results of PSC members without shear reinforcement were collected from existing studies. The collected shear test results include PSC members with various section types and prestressing methods. It appeared that the simplified model could provide a good level of estimation accuracy of shear strength of PSC members, and it was comparable with that provided from the original DPCM.

콘크리트 모듈 시공이음부의 설계기법

  • Yang, In-Hwan;Ju, Geon-Hyeong;Kim, G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95-197
    • /
    • 2011
  • 플로팅 건축구조용 콘크리트 부유체 구조는 현장 근처의 제작장에서 제작한 후에 제작된 부재를 현장으로 이동하여 가설장비를 이용해 각 부재를 조립해서 함체 구조를 완성하는 방법인 프리캐스트 부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연결부의 기능과 구조적 성능을 최대한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적절한 연결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함체 연결부에 적용할 수 있는 연결기법을 연구하였다.

  • PDF

A system for experience of assembling digital heritage using the miniatures of architectural component (부재 미니어처를 이용한 디지털 건축 문화재 조립 체험 시스템)

  • Lee, JiHyung;Kang, kyung-kyu;Kim, Jae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35-38
    • /
    • 2014
  • 디지털 문화재 콘텐츠는 현실에서 체험하기 힘든 문화재를 디지털 기술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고, 문화재 보수, 교육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디지털 건축물 문화재는 실재 문화재의 구조 및 구성을 무시하고 외형만 만들어져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바꾸어 활용하기 곤란하며, 디지털 건축물 문화재 자체가 가상공간에 존재하여 현실체험에 제한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가 현실공간에서 부재 미니어처를 이용하여 미니어처 문화재를 조립하고 그 결과를 가상공간의 디지털 문화재로 연결하여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로서 현실 체험과 가상 체험이 연결되어, 보다 효과적인 체험이 가능하고 건축 문화재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 PDF

An improvement study on accreditation system for evaluation criteria of fire resistance performance (내화성능 평가기준 개선을 위한 내화구조 인정제도 연구)

  • An, Jae-Hong;Yeo, In-Hwan;Park, Jin-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337-340
    • /
    • 2010
  • 내화구조는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재에 대한 화재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국제적으로 내화시험 방법은 실제 건축물과 동일하게 부재에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내화시험을 하도록 ISO 등 국제규격에서는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건축물의 기둥 및 보에 대하여는 대부분 비재하 시험으로 내화구조를 평가하고 있다. 이는 국제적인 성능평가 방법과도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건축물 구조부재의 조건과도 차이가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화구조 재하성능평가 기준 개선을 위하여, 국내외 내화성능평가기준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내화구조 인정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