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 데이터

검색결과 751건 처리시간 0.025초

계측데이터를 이용한 업무시설에서의 에너지용도별 사용량 추정방법 연구 (Estimation Method of Energy Consumption by End-Use in Office Buildings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 김성임;양인호;하수연;이수진;진혜선;서인애;송승영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6권5호
    • /
    • pp.165-17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estimation method of energy consumption by end-use in office buildings. For this,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on building energy use was investigated, and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on the classification of energy use in non-residential buildings and the estimation method of energy use were review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nergy consumption by end-use were analyzed with measurement data of 48 office buildings in Seoul. As results, the annual and monthly estimation method of energy consumption by end-use in office buildings using public and measurement data was presented,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estimation method was examined by applying to sample office buildings.

서울시 데이터 기반 필지별 건축행위 발생 예측 (Data-Driven Analysis for Future Construction Prediction : Case Study on Seoul)

  • 윤성범;김태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8
    • /
    • 2019
  • 지속적인 건축물의 노화와 개발지 부족은 현존하는 건축물의 재건축 및 활용 가능 용지에 신규 건축행위를 유도한다. 서울에서는 근 5년간 25,000여 건의 신축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한 신규 정책 등 다양한 지원 체계가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발생한 필지별 건축행위 데이터와 추가적 43개의 변수를 활용하여 신규 건축행위가 발생하는 필지에 대한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요인도출 기계학습 방식인 의사결정트리 (Decision Tree) 중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를 활용하여 신규 건축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86.28%의 정확도와 4개의 주요 신규 건축행위 발생 요인을 도출하였다.

  • PDF

감리데이터 기반의 민간 건축현장 성과지표 개발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on Private Building Construction Sites using Supervisory Report)

  • 성유경;허윤경;이승우;유위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65-75
    • /
    • 2022
  • 성과측정은 체계적인 관리와 개선을 위한 중요한 활동이다. 건설산업에서도 성과측정을 위한 지표 개발 등의 다양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성과측정을 위한 데이터 수집에 큰 노력이 필요하여 실제로 성과측정이 수행되는 경우는 적었다. 특히 제도를 통해 건설 프로젝트 데이터를 수집해 온 우리나라 공공부문과 달리 민간부문에서는 프로젝트의 성과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건설공사 감리를 통해 건축현장 시공단계에서의 품질, 안전 등을 총체적으로 확인하는 제도를 갖추고 있다. 감리 과정에서 건축현장의 성과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 데이터가 생성되고 감리보고서는 「건축법」에 따라 제출이 의무화되어 있다. 본 연구는 민간 건축현장의 성과측정을 위해 감리보고서의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와 감리보고서를 분석하여 예비성과지표를 선별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건축현장의 6가지 성과영역과 15개 성과지표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과지표의 데이터 수집 가능성을 검증하였고, 성과영역 및 성과지표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감리보고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된 본 연구의 성과지표는 앞으로 민간 건축부문의 성과측정의 실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3D 스캐닝 활용 건축물 데이터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Building Data Using 3D Scanning)

  • 황병연;박종기;이태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0-56
    • /
    • 2021
  • 본 연구는 3D 스캐닝에 대해 고찰하고 건축분야에서의 활용 동향, 시공 이후 공간에 3D 스캐닝 기술을 활용하여 시공 준공도면과 시공 후 데이터를 추출하여 도면과 데이터를 비교하며 기존 시공 준공도면과의 차이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3D 스캐닝을 활용하여 건축 전반적인 부분에서 어떻게 활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현재 3D 스캐닝 기술은 현재 현장에 적용하여 설계, 시공, 안전까지 건축분야 전반적으로 널리 활용되어 지고 있다. 3D스캐닝 데이터와 기존 도면을 비교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 형태와 치수는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둘째, 내부 형태와 치수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실내조명 배치는 모든 건축물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3D스캐닝은 준공되기 전 시공 단계에서도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자동화, 로봇 등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3D 스캔을 통해 시공 및 안전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자재관리 등 감리의 목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한 BIM, 공정관리 등 건축 전반적인 분야에서의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D 레이저 스캐닝과 BIM 연동을 통한 건축물 노후 상태 정보 시각화 프로세스 (Integration of 3D Laser Scanner and BIM Process for Visualization of Building Defective Condition)

  • 최문영;김상용;김승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1-182
    • /
    • 2022
  • 주기적인 건축물 안전진단은 구조적 안전성 및 잠재적 위험을 조기에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수집 방식은 비정형화된 형태의 주관적 데이터가 주로 사용되며, 노동집약적이고 시간 소모적이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3D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건축물 노후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으로 통합하여 시각화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3D 레이저 스캐너와 파이썬 스크립트를 통한 데이터 수집, (2) Scan-to-BIM 프로세스, (3) 다이나모를 이용한 상태 데이터 시각화 및 정보 통합. 이를 통해 데이터 저장과 보고서 및 도면 작성 과정의 생략에 따른 시간 단축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시각화된 3D 모델은 건축물 유지관리자가 효율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유지관리 업무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건축 부재 사용량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 학습 모델 (An Artificial Intelligent based Learning Model for BIM Elements Usage)

  • 김범수;박종혁;한수희;김경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07-114
    • /
    • 2023
  • 본 연구는 건축 부재 사용량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모델을 설계 및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인공지능(Artifical intelligence : AI) 은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지만, 건축설계분야 데이터의 특수성 및 빅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으로 인해 현장 활용도가 매우 저조한 상태이다. 따라서 건축설계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건축 부재 단위의 AI문제를 발굴해 내었으며, 해당분야 데이터가 가지는 특이성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전처리 기법을 고안하였다. 고안된 전처리 기법을 토대로 인공지능 모델을 구현하였고, 구현된 인공지능 모델의 건축 부재 사용량 예측 정확도가 실제 산업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데이터를 활용한 공동주택 프레임워크 디자인 (Apartment Framework Design using Data)

  • 최장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32-339
    • /
    • 2018
  • 본 연구는 새로운 건축 설계 과정을 설명하는데 있어 특정한 시스템을 이용해서 건축 프레임워크에 대한 수행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컴퓨터가 설치되어있고 인터넷망이 구축되어 있으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은 채로 가동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한 내용을 기반으로 한 독특한 프레임워크 결과물을 산출해 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기 전에, 건축가가 설계를 제대로 했을지라도, 컴퓨터가 잘못 인식할 수도 있으므로 건축 설계자는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사전에 건축 디자인과 설계 과정을 생각해야 한다. 그런데 같은 과정을 입력했는데도 불구하고 건축 계획의 프레임워크 결과가 달라진다면, 그것은 제대로 된 건축 설계라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정확하게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는 도구가 건축 디자인과 설계를 함에 있어서 필요하다. 따라서 건축을 설계할 때, 건축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각종 데이터를 활용하여 논의의 사안을 찾아 구별해야 한다. 또한 이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융합과 공간클라우드를 접목하여 나타낼 수 있는 파라미터정보와 건축디자인을 연관시킨 공동주택계획안을 제시하였다.

R을 활용한 주거환경 중요도 요소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the Importance Factor of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R)

  • 오형준;최영오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3호
    • /
    • pp.209-217
    • /
    • 2020
  • 최근 데이터 분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공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영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융·복합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분야 역시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이를 통해 도시화 과정을 통해 양적 확대를 진행해왔던 건축분야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주거환경 개선지역과 유사 인근지역 주거자의 주거만족도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다. 건물 건축과 입주 후 진행되는 거주 후 평가 요소에 대해 R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각 평가 요소 간의 연관규칙 분석과 거주자의 주요 요구 사항의 빈도 수 파악을 통해 주거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평가 항목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향후 건축 분야에서 주거지 구성 시 양질의 주거 공간 확보를 위한 데이터 제공과 함께 양질의 주거지역을 추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 등 IT와 건축분야 간의 융·복합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