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축설계실무교육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자연형태양열 및 에너지 절약형주택설계 현상 공모 당선작발표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4 s.205
    • /
    • pp.33-56
    • /
    • 1986
  • 본 협회에서는 범국민적 에너지절약 의식을 고취시키고 건축실무종사자들 및 각급 대학의 건축전공 학생들의 에너지절약에 대한 실무교육 및 인식제고를 통하여 참신한 아이디어를 개발함으로써 지침적 설계도서를 널리 보급코다 건설부, 동력자원부, 과학기술처 후원아래 '85년 12월 16일부터 '86년 1월 10일까지 응모작품을 받아 5차에 걸친 심사를 거쳐 당선작을 발표하였다.

  • PDF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f the Design Practitioners Working in the Architectural Design Firms (건축설계디자인 실무 종사자의 직업의식)

  • Lim, Young-Sook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0 no.3 s.71
    • /
    • pp.325-334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f the design practitioners working in the architectural design firms. Data from the survey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271 participant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Professional ethics and research were the two most important components of the profession. 2) Experien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pay, promotion, and competency. 3) Job-related educational program was most highly supported by the company. 4) Participants' perceptions toward licensing and professional association were negative. 5) Self-accomplishment and aptitude were the main reasons to choose the profession. 6) Independent attitudes were found toward intellectual property. 7) Participants felt proud of their job but thought their social status was below medium.

  • PDF

Analysis of Curriculum Management and Proposal of BIM Educational Strategy in Architecture Design (건축설계 과정에서 융합적 사고능력 향상을 위한 국내 대학의 BIM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과 교육전략 제안)

  • Choi, Yeo-J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2
    • /
    • pp.263-270
    • /
    • 2019
  •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integrated design process in architect industry,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education in university is urgently needed. However,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BIM education at 60 universities shows that most universities do not offer BIM education at all, or opened only one regular course for BIM education. The survey on BIM education for students shows that non-curricular activities brought bigger educational achievements than regular courses. Considering these findings and the practical restrictions of the universities, and through evaluation and feedback from professors as educational providers and working architects as professional users, the desirable strategy for BIM education in architect design was able to be suggested, which is consisted of regular curriculum of two courses and 40 hours non-curricular activities.

A Structural Engineer′s Advice to Concrete Engineering Educators (콘크리트 교육에 대한 건축구조설계 실무자의 제언)

  • 전봉수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1
    • /
    • pp.19-22
    • /
    • 2002
  •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구조설계 실무 분야로 진출하는 이의 비율이 3~5%라는 비공식 통계가 있다. 이 통계 숫자가 말하듯이 건축구조설계업은 건축공학과 졸업자가 택하는 소수의 직업군에 속한다. 재학시에는 콘크리트 구조, 강구조 및 여타 구조 과목을 해당 분야를 전공한 교수진으로부터 각각 배우지만 실무에서는 맡겨진 프로젝트에 의해 구조 형식이 결정되고 스스로의 노력과 회사 내 시스템을 통해 해결해야 하므로 구조 형식 전반에 걸친 프로패셔널(professional)이 되어야 한다. 콘크리트에 대한 전문지식도 학교에서는 콘크리트의 기본 사항, 수직 및 수평 부재의 단면 설계 연습 등을 통해 기본적인 단계의 지식을 습득한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구조 시스템, 콘크리트 프레임의 거동 및 수많은 부재의 단면 설계 등과 같이 포괄적인 지식이 주종을 이룬다.(중략)

건축실무 전문화에 관한 UIA 국제 표준안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3 s.359
    • /
    • pp.90-95
    • /
    • 1999
  • WTO 세계무역기구의 발족과 더불어 국가간의 개방과 정책에 따라 건설시장은 물론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 관련 부분은 민간사업뿐 아니고 정부 조달시장까지도 개방되어 정부부처나 지방 자치단체에서 구매하는 물품(설계 및 시공 포함)에 외국업체가 참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건축 설계의 경우 "서비스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에 의해 원칙적인 기준만 체결되어 있을 뿐 상호인증에 관한 세부사항은 서로의 제도가 동일하거나 합의한 나라를 제외하고는 당사국간의 상이한 제도와 운영체제로 인하여 실용화되고 있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4년간 "국가를 상대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건설제도 기획단을 운영하여 시장개방에 대처해 왔으나 국제적인 건축 설계 관련 단체인 UIA와는 의견 교환이 없었다. 특히 상호인증에 따른 기본 요건으로 대두되고 있는 건축교육, 실습 및 훈련, 건축사 자격 등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정리하여 국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건축설계 관련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관심사의 하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국제건축가연맹(UIA)에서는 용역실무협의회를 설치하여 이미 2년여에 걸쳐 인정방법에 대한 세부사항을 검토하고 있으며, 올해(6월) 북경 총회에서 상호인정 표준안을 공포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건축3단체(대한건축사협회, 대한건축학회, 한국건축가협회)주관으로 건축사자격 상호인정에 대한 공동 대응책을 논의하고자 건축계와 정부가 함께 참석하여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또한 본협회 국제위원회에서 한국측을 대표하여 지난 98년 12월에 열린 UIA 용역실무위원회(PPC)에 참석하여 상호인정에 대한 우리측 입장을 개진한 바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문호 개방에 따른 한국건축의 현안에 대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문제점이 검토되고 아울러 우리 건축계의 입장 정리와 실질적인 의견을 수렴하고자 UIA 국제 표준안 전문에 이어 부록을 정리하여 게재한다

  • PDF

건축교육 및 건축사제도 개선을 위한 1차 공정회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1 s.367
    • /
    • pp.21-27
    • /
    • 1999
  • 대한건축학회와 건설교통부, 한국건축가협회, 대한건축사협회에서 공동주최하는 '건축교육, 건축사제도 개선 및 건축교육인증원 발족을 위한 1차 공동회'가 지난 11월 19일(금)과 20일(토)에 대한건축학회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이번 공청회는 건축교육, 설계실무 등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건축교육의 국제화 및 국내건축사의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킨다는 주요명제하에 건축 3단체가 공동으로 준비하였다. 이번 공청회의 좌장은 이명호(중앙대 건축학과) 교수가 맡았으며, 주제발표는 '교육제도 개선 및 교육인증'에 대해서는 이문섭, 박한규씨가, '건축사제도 및 건축사보완'에 대해서는 최관영, 박서홍씨가 맡았고, 토론자로는 강병근(건국대 건축공학과 교수), 김우성(아키플랜 대표), 정의용(영남대 건축공학과 교수), 이영근(건설교통부 건축과 과장), 정진원(경기대 건축공학과 교수), 최수태(교육부 대학학사제도과장), 김광현(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김병현(장건축), 김영웅(진원건축), 심재덕(태두건축), 정태화(건설교통부 건축과 사무관), 최동규(서인건축)씨가 참여했다. 이번호에서는 건축교육제도 개선분야, 건축교육인증분야, 건축사제도 및 건축사보완 분야의 발표요약문을 게재한다.

  • PDF

A Digital Design Curriculum Model i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건축 설계교육에서 디지털 설계 커리큘럼 모델 제안)

  • Kim, Myung-Sun;Choi, Soon-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1
    • /
    • pp.5314-532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digital design curriculum i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For this study, works using digital design process in professional and academic projects were investigated. Digital design curriculum is consisted of 3 steps; fundamental, intensive and advanced courses. The fundamental course acquires capability for raising architectural thought through digital media. The intensive course acquires capability for raising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Finally, the advanced course acquires capability for raising synthesis design works and professional abilities in architectural design. It is also a urgent need of unified roadmap about digital design curriculum for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in Korea.

A study on the Proposal of Interior Design Education Program Using BIM (BIM을 적용한 인테리어디자인 설계 교육프로그램 제안에 관한 연구)

  • Ha Seung-Beo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1
    • /
    • pp.427-433
    • /
    • 2024
  • BIM was activated by applying it necessarily to the government ordered construction of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money in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field of Korea before and after 2010. An architectural education using BIM at college in Korea has been doing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but is not too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nterior design studio. Also, a new design curriculum based on BIM that provides a digital design concept and a digital working environment is increasingly being demanded in modern society. A digital-based design process is required not only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but also in the field of interio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prototype of the interior design studio based on the field practice can apply BIM design, not the unfamiliar interior design studio pursued in the field practice to understand easily the environment of interior design process BIM is essentially seeking.

건축실무 전문화에 관한 UIA 국제 표준안(Ⅱ) - 부록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4 s.360
    • /
    • pp.58-69
    • /
    • 1999
  • WTO 세계무역기구의 발족과 더불어 국가간의 개방과 정책에 따라 건설시장은 물론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 관련 부분은 민간사업뿐 아니고 정부 조달시장까지도 개방되어 정부부처나 지방 자치단체에서 구매하는 물품(설계 및 시공 포함)에 외국업체가 참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건축 설계의 경우 "서비스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에 의해 원칙적인 기준만 체결되어 있을 뿐 상호인증에 관한 세부사항은 서로의 제도가 동일하거나 합의한 나라를 제외하고는 당사국간의 상이한 제도와 운영체제로 인하여 실용화되고 있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4년간 "국가를 상대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건설제도 기획단을 운영하여 시장개방에 대처해 왔으나 국제적인 건축 설계 관련 단체인 UIA와는 의견 교환이 없었다. 특히 상호인증에 따른 기본 요건으로 대두되고 있는 건축교육, 실습 및 훈련, 건축사 자격 등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정리하여 국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건축설계 관련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관심사의 하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국제건축가연맹(UIA)에서는 용역실무협의회를 설치하여 이미 2년여에 걸쳐 인정방법에 대한 세부사항을 검토하고 있으며, 올해(6월) 북경 총회에서 상호인정 표준안을 공포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건축3단체(대한건축사협회, 대한건축학회, 한국건축가협회)주관으로 건축사자격 상호인정에 대한 공동 대응책을 논의하고자 건축계와 정부가 함께 참석하여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또한 본협회 국제위원회에서 한국측을 대표하여 지난 98년 12월에 열린 UIA 용역실무위원회(PPC)에 참석하여 상호인정에 대한 우리측 입장을 개진한 바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문호 개방에 따른 한국건축의 현안에 대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문제점이 검토되고 아울러 우리 건축계의 입장 정리와 실질적인 의견을 수렴하고자 UIA 국제 표준안 전문에 이어 부록을 정리하여 게재한다.

  • PDF

Education of Concrete Expected from Construction Sites (건설 현장에서 바라는 콘크리트 교육)

  • 안태송;이승훈;최일호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1
    • /
    • pp.28-31
    • /
    • 2002
  • 대학에서 토목이나 건축 분야를 전공한 학생들은 설계나 그 밖의 다른 분야에서 종사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졸업 후 건설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다. 어느 분야에서 일을 하든지 대학에서 배웠던 지식들을 기초로 하여 그 분야의 특성에 맞는 실무를 배우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데 이때 학교 교육과 건설 현장간의 격차를 실감하게 된다.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은 실무에 필요한 기초로서 많은 도움이 되고 있지만, 콘크리트 교육에 국한하여 살펴보면 아쉬운 점이 많이 있다.(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