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축생산시스템

Search Result 15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바닥 급기 공조의 전망

  • 김영일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8
    • /
    • pp.54-59
    • /
    • 2001
  • 바낙 공기 급기(UFAD, underfloor air distribution)는 사무실과 상업 건물의 공조를 위하여 바닥 하부 공간을 사용하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북미에서는 UFAD가 기존 천장 공기 급기 방식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지니므로 그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잘 설계된 UFAD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닌다. - 건물의 용도 변경에 따픈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건물의 생애 주기 비용을 감소시킨다. - 개별 쾌적성 제어가 가능하므로 온열 쾌적성, 거주자의 만족도 그리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 거주자주변에 직접 선선한 공기를 공급하므로 환기 효율, 실내 공기질 그리고 건강 상태를 향상시킨다. - 이코노마이저 운전, 온도 성층화 그리고 낮은 정합 운전에 의하여 에너지 비용을 감소시킨다. - 설비 공간이 축소되고 표준 철골 구조에서는 콘크리트 구조체 변경이 가능하므로 새 건축 공법에서는 충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1995년까지만 해도 UFAD는 파격적인 설계 기법이라고 여겨졌지만, 이제 설계자와 건축업자들은 2004년까지 신축되는 사무용 건축품의 35%는 바닥을 높인 기법이 적용되며 이 중 반 정도가 UFAD를 채택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2000년 2억불이라고 추정되던 바닥을 높이는 건축의 시장 규모가 2004년에는 최소 10억불이 되리라고 예측된다. UFAD는 기본 연구에 의한 정립된 표준화된 설계 기법과 지침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설계, 시공되고 있다. 이라한 경향은 펄수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관련 업계가 지식과 경험을 충분히 쌓기 전까지는 계속될 전망이다. 본고는 시스템 설계와 운영의 주요한 특징,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지니고 있는 잠재적인 장점, 한계와 기술 개발의 필요성, UFAD 기술 개발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연구 분야 등을 서술함으로써 현재 UFAD 기술에 대한 평가를 한다.

  • PDF

Development Directions for Automated Layout System of Building Structures (건축물 골조공사용 먹매김 자동화 시스템 개발방향 연구)

  • Lim, Hyunsu;Cho, Kyuman;Kim, Tae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1 no.5
    • /
    • pp.387-396
    • /
    • 2021
  • In building construction, the layout operation is performed to accurately construct the building components in their planned locations, and requires a high level of accuracy and precision. With increases in building size and a lack of skilled laborers, this work has seen an increasing demand for productivity and quality improvements through robot-based construction automation. In particular, the layout work for building structures has a higher need for automation.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ed layout system of building structures. 5 technical factors and 17 sub-factors were derived based on reviews of existing similar systems, and an evaluation of their importance was carried out through an expert surve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were driving and marking systems for coping with poor driving and working conditions. In terms of sub-factors, control techniques to secure precision and technologies to automate the overall layout process showed high importance.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practical and efficient automation systems.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Expansion of Direct Construction Works and Suggestions on the Application (직접시공 확대의 영향 분석 및 직접시공의무제도 적용을 위한 대응방안 제언)

  • Lee, Meesung;Kim, Siyeon;Yu, Ilhan;Han, Ju-yeon;Son, JeongWo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2 no.6
    • /
    • pp.15-23
    • /
    • 2021
  • As the construction production system is reorganized as par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novation plan, direct construction is expanding. According to this trend,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and problems of the expansion of direct construction through the posit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a study of foreign cases. In addition, by diagnosing the impact of the measures to expand direct construction from various aspects, countermeasures were suggested to suitably apply the direct construction mandatory system. Also, for each alternative, effects and problems were evaluated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in policy/administrative and architecture fields. The alternatives for expanding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direct construction mandatory system derived from this study are four items: granting the discretion of the client, differentiation by scale of construction, utilization of construction guarantee system, and introduction of flexible working group leader system. As a result of the expert interview, all of them were evalua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directly and indirectly on the expansion of direct construction. This study contributes literature to the application of the direct construction mandatory system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direct construction, and suggests a direction for expanding direct construction through deduction of alternatives for applying the direct construction mandatory system and expert evaluation.

Deduction of Considerations During Design and Construction by Analysing Domestic and Abroad Case Analysis of Freeform Building Envelope (국내외 비정형 건축물 외피시스템 사례 분석을 통한 설계 및 시공시 고려사항 도출)

  • Ryu, Han-Gu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4
    • /
    • pp.84-96
    • /
    • 2013
  • Recently, architectural design has been changing from formal design to freeform design due to the digitaliza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Especially, the formal design has been accepted as a design trend recently and applied many times as a design concept in the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s such as turn-key. However, various deflects such as water leak and cracks have been occurred because the traditional construction methods had been applied without any revision or adaptation of the formal construction method for the freeform building construction. Design and construction of freeform building has been developed as an new metho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d minimize the construction duration and cost for the freeform building. Therefore this research deduced the positi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freefrom envelope by analyzing the domestic and abroad cases and proposed the considerations during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freeform envelope as follows. First, the freeform design should consider the constructability for the freeform envelope. Second,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the two-way curvature of the unit panel should be developed. Third, exposed concrete form method should be developed for the freeform envelope of concrete. Forth, material characteristics, construction method and facility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manage precipitation and keep water-proof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freeform envelope area.

Permanent Cement Mortar Form Systems (비탈형 영구 거푸집 시스템)

  • 김우재;임남기;김성식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5
    • /
    • pp.31-38
    • /
    • 2002
  •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고조와 함께 3D 기피현상에 따른 철근공, 거푸집공 등의 기능노동자의 부족, 고령화, 외국인노동자 고용 현상과 낮은 노동생산성은 건설업계의 심각한 현안이다. 과거에는 재료비의 비중이 높았으므로 재료의 낭비를 줄이기 위한 합리화가 추진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노무비 비율의 급격한 증대로 인하여 공기단축이나 합리화, 시스템화를 통해서 경쟁에서 생존해 나가고 있다. 건축공사 중 특히 철근 콘크리트공사는 기술의 발전이 느리고, 시공 방법도 과거의 공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건축공사비 중 구체공사의 비율은 30% 정도이고, 그 비용 중 인건비가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철근 콘크리트 공사는 아직도 기술 집약적인 산업이 아닌 노동 집약적 산업으로 간주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중략)

A Study Analysis on Roof BIPV System Performance of the Apartment Building (공동주택의 지붕용 BIPV시스템 성능 분석 연구)

  • Kim, Seung-Beum;Park, Jung-Lo;Kim, Joo-Heyng;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27-128
    • /
    • 2012
  • Exhaustion of fossil fuels and continued high oil prices, global warming, climate change and to respond to the development and use of alternative energy technologies is expanding rapidly throughout the world. Recently, character of domestic building is appearing by along with economic growth, high-rise, large size, congestion. For this reason, the amount of electrical energy used in a building is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of PV modules that are used as roofing and efficiency analysis, and more from the building of BIPV modules built using the activation of alternative energy sources in Korea are aimed want done.

  • PDF

A Study on the Unit Modular System Process Application Plan (모듈러공법의 국내 적용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Kim, Do-Min;Lim, Jae-Bok;Kim, Ju-Hyung;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13-114
    • /
    • 2012
  • The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lower than other industries. Modular system is suggested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Modular system is a construction method which installs units manufactured in factory on site. It enables to reduce the dur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nstructions. However, the construction technique applied to modular system has not overcome certain structural problems. To solve the problems and motivate the application of modular system, this study propose the hybrid system which use core to resist a lateral force.

  • PDF

Design of Bending die System for the Manufacturing of Metal Panel Coner (금속패널가공을 위한 벤딩다이시스템 설계)

  • Kim, Woo-Ki;Kim, Seung-Kyeom;Choi, Kye-Kwa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308-311
    • /
    • 2007
  • 본 연구에서 개발할 설계기술은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소량 다품종 건축용 내 외장재의 금속 패널코너가공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 금구류 및 건축용 내 외장재로 사용되는 2.5mm이상 되는 금속강판을 사용함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직각코너링 접합부위에서 발생되는 내식성(수명성), 내후성, 및 미려성(디자인)을 향상시키므로 품질의 향상뿐만 아니라 소량 다품종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국내 최초 금속패널 코너가공을 할 수 있는 벤딩다이시스템(Bending Die System)을 설계하고자 한다.

  • PDF

Manufacture of Bending die System for the Manufacturing of Metal Panel Coner (금속패널코너가공을 위한 벤딩다이시스템 제작)

  • Kim, Woo-Ki;Kim, Seung-Kyeum;Choi, Kye-Kwa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05a
    • /
    • pp.293-295
    • /
    • 2008
  • 본 연구에서 개발할 설계기술은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소량 다품종 건축용 내 외장재의 금속 패널 코너가공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 금구류 및 건축용 내 외장재로 사용되는 2.5mm이상 되는 금속강판을 사용함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직각코너링 접합부위에서 발생되는 내식성(수명성), 내후성, 및 미려성(디자인)을 향상시키므로 품질의 향상뿐만 아니라 소량 다품종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국내 최초 금속패널 코너가공을 할 수 있는 벤딩다이시스템(Bending Die System)를 설계, 제작하여 경제적, 기술적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수출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Assessment of applying rainfall forecast correction by using backward tracking method (역추적 기법을 활용한 예측강우 보정기법의 적용 및 평가)

  • Na, Wooyoung;Kang, Minseok;Kim, Gildo;Park, Junpyo;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8-98
    • /
    • 201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대류성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강우 특성은 산지 지역에 위치한 소하천유역에 상당한 피해를 야기한다. 통상 대류성 집중호우는 규모가 작고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중규모 이상의 유역에서 부분적으로 상이한 강우특성을 보인다. 아울러 이러한 호우 패턴의 변화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하나의 기상 특성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초단기예보 모형은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의 입력 값인 예측강우 자료를 생산한다. 시스템에 입력되는 예측강우 자료는 두 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첫 번째는 예측강우 자료 자체가 가지는 정확도의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G/R비 개념을 도입하여 예측강우의 품질을 개선하고 있다. 두 번째 문제는 호우사상의 크기에 대한 것이다. 현재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의 예측강우 보정기법은 호우의 거동 특성을 고려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예측강우의 편의보정계수인 G/R비가 적절하지 않게 결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현재의 예측강우 보정기법과는 달리 호우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G/R비를 결정하고 이를 예측강우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현재 호우가 위치하는 지역에 대해 G/R비를 산정하고 몇 시간 내에 대상지역에 도달하게 될 호우에 대한 예측 강우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에 발생한 주요 호우사상을 선정하고,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개선된 보정기법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보정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비정상적으로 과대하게 보정된 결과를 주는 데 반해, 호우의 이동경로를 고려한 보정방법을 적용한 경우에서는 실제 관측된 강우와 매우 유사한 합리적인 보정치를 제공해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