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물 화재안전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22초

화재안전트리 이론에 따른 초고층건축물의 소방력 공급방안: 수동화재진압 전략을 중심으로 (The Method of Force of Fire in High-Rise Building by Guide to the Fire Safety Concepts Tree: Focusing on Manually Fire Suppression Strategy)

  • 오승주;공하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1호
    • /
    • pp.79-88
    • /
    • 2020
  • 이 연구는 초고층건축물의 고층부에서 소방력의 공급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재감지는 외부에서 경보·진동·음성 등 화재경보의 다양화, 화재발생지점의 명확화 및 건축물 외부에도 화재층 표시를 통해 소방력 공급시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호통신은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설치대상을 강화하고, 중계기 설치를 보완하며, 다중통신망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행동결정은 인접건축물에서 도하의 방법으로 진압대원 및 소방장비를 공급하고, 일정 층마다 파괴가 용이한 유리창을 설치하며 식별표시도 필요하다. 넷째, 현장대응은 활강과 수직구조기법을 적용하여 소방장비의 공급 및 진압대원의 진입을 돕고 드론을 이용하여 소방장비를 공급한다. 마지막으로 충분한 소화액 제공은 헬리콥터와 인접한 건축물을 이용하여 소방용수를 공급한다.

한국형 인명안전기준 개발을 위한 국내외 화재사례 조사 (A Study on Domestic and Foreign Fire Cas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ife Safety Standards)

  • 이병흔;진승현;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1-62
    • /
    • 2020
  • After the fire in Grenfell, a special fire safety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spirit of building fire safety is increasing.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more than 80 people were injured in the Ulsan residential fire in 2020, there are no cases of making it a life safety standard for buildings, a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investigate this. In this research, we will investigate the five fires that occurred in Grenfell, England, derive the problems,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safety standards for Korean-style human life in the future.

  • PDF

옥내소화전의 방수압 실측에 의한 실태조사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Waterproof Pressure of Indoor Hydrant Proportioner by a survey)

  • 최규출;정상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55-263
    • /
    • 2009
  • 건축물 실내에서의 화재발생 시 초기 소화설비로 시설하고 있는 옥내소화전은 초기화재 진압용으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시설되어 있는 옥내소화전 시설이 국가화재안전기준(NFSC)에서 규정하고 있는 일정 방수압을 유지하여야 화재발생 시 소화설비로서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대부분의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옥내소화전의 방수압을 실측하여 본 결과 건물내에 설치된 소화전의 방수압이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제시하는 기준치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매우 바람직한 현상으로 정기적인 소방검사에 따른 소방시설 유지관리의 결과로 보여진다. 앞으로도 소방시설물에 대한 TAB를 통하여 화재진압시설의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안전관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PDF

초고층 건축물에서 엘리베이터 구동이 부속실과 화재실 간 차압형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Elevator Movement o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Vestibule and Living room in High-rise Buildings)

  • 박영기;홍기배;유홍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85-91
    • /
    • 2018
  • 최근 초고층 건축물에서 화재로 인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화재 발생시 생성되는 유독성 가스 및 연기로 인해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제연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다. 제연시스템은 초고층 건축물에서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재실자의 안전한 피난을 도와주는 장치이다. 또한,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피난은 초고층 건축물에서 필수적인 피난 방법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엘리베이터 구동시 생성되는 강력한 압력장 및 유동변화로 인해 제연시스템의 성능확보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능설계위주의 샌드위치 가압방식이 적용된 초고층 건축물에서 엘리베이터 구동에 따른 제연성능 확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및 수치해석 연구로 수행하였다. 실제 초고층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창문, 방화문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누설면적은 화재안전기준 및 면적비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실제 엘리베이터 속도 7 m/s~17 m/s에 해당하는 20 m/s~100 m/s로 동역학적 상사를 통해 엘리베이터 속도를 변경하였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부속실과 화재실 간 차압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관계식은 ${\Delta}P=40{\cdot}{\exp}$(-Ves /-104.7)-23.735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초고층 건축물에서 엘리베이터 구동을 고려한 제연시스템 설계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능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Plan of Fire Safety Performance for Public Building)

  • 구재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5-32
    • /
    • 2019
  • 소방활동 관점에서 공동주택은 화재시 구조적 관리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난장애 발생 및 연소확대 위험성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동주택의 다양한 화재취약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안전시스템, 소방시설, 건축물 안전, 일반안전 분야로 평가분야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평가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6개의 국내외 공동주택 화재안전성능 인증제도 현황을 비교분석함에 따라 국내외 인증제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인증제도의 5개의 융합적 추진방향 및 4개 평가분야별 22개 평가항목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3개의 공동주택 화재안전성능 인증제도의 융합적 도입 방안을 수립하였다.

초고층 건축물 화재시 피난공간 기준 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posal of the Refuge Area Standard in Super-High-Rise Building Fire)

  • 박상규;노삼규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76-7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시 피난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재실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피난공간을 제시하고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피난공간의 기준 마련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인자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인자들을 각각의 해결방안에 의한 논증을 통해 피난공간의 기준을 제안하였다.

  • PDF

대규모 복합건축물의 한국형 피난시뮬레이션 개발을 위한 연구

  • 김재홍;윤성민;정기택;최진원;이수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62-63
    • /
    • 2013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 목적으로 초고층 및 대형건축물이 급속도로 건설되고 있다. 건축물이 대형화, 고층화 될수록 피난 동선 및 피난 소요시간은 길어지게 된다. 이에 많은 국내 외 연구에서 대규모 건축물에서의 피난안전성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의 피난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실제 실험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외산 시뮬레이션을 사용한다. 이러한 외산 프로그램들은 국내의 법규 및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복합건축물의 한국형 피난시뮬레이션 개발을 위한 연구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고온 시의 구조내력 평가를 위한 SM 400강재의 고온 특성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SM 400 for Evaluation of Structural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 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7-12
    • /
    • 2013
  •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은 인명피해, 구조물 피해 등 재해적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가연물의 증가에 따라 화재 발생빈도수와 피해 규모는 점차 증대하는 추세이다. 특히 강재로 구성되는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고온 시 내력의 급격한 감소는 구조물의 붕괴와 같은 매우 위험한 상황에 도달될 수 있으므로 화재 시 강구조 건축물의 구조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적용 강재의 신뢰성 있는 고온 물성자료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구조 건축물에서 많이 활용되는 용접구조용 강재인 SM 400강재를 대상으로 고온 시 항복강도, 탄성계수를 측정하여 내력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실험식을 제시하고, 화재 시의 온도평가와 응력 계산에 요구되는 열전도율과 열팽창계수 등의 열적 특성의 자료를 제시한다. 또한 일반 구조용 강재인 SS 400과의 고온 특성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고온에서의 내력 특성을 확인한다.

건축물 밀집지구의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Simulation for Fire Safety Diagnosis in Building Congested Area)

  • 구인혁;윤웅기;김봉찬;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26-227
    • /
    • 2013
  • Korea rapidly arranged urbanization and overpopulation with high growth of economy and all kinds of decrepit facilities are scattered all over the downtown. If there is a strong wind in fire, fire is rapidly increased by various fire spread factors. And Korea cannot build prediction model of urban fire combustion phenomena because there is no studies that physically explains the suitable flame phenomena for its real state. In this study, based on the Japanese Urban fire simulation to target the building congested Area and suitability of fire risk assessment were review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