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축물 실내

Search Result 23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ndoor Radon Levels and Effective Dose Estimation in Learning and Common Living Space of University (대학 내 학습공간과 공동 생활공간에 대한 실내 라돈 농도 측정과 유효선량 산출)

  • Kim, Jung-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2 no.3
    • /
    • pp.329-334
    • /
    • 2018
  • Radon which is natural component of air is a colorless and odorless radioactive gas. Radon exposure can also occur from some building materials if they are made from radon-containing substances by breathing. In this study, The radiation dose of radon concentration was detected at 8 buildings of the A university during 3-month from June. 2017 to August. 2017. We detected indoor radon exposure at 8 building of the university and estimated annual effective dose. The radon concentration of Hall G and Hall F of the A university represented 81 and $14Bq/m^3$ respectively and average indoor radon concentration represented $41.63Bq/m^3$. Average effective dose was estimated 0.40 mSv/y, maximum effective dose was 0.78 mSv/y and minimum effective dose was 0.13 mSv/y respectively. University is the place that students spend the almost whole time. We suggest ventilation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a building, which could reduce the natural radiation exposure by radon concentration.

A Performance Evaluation of Solar Mirror Sunlighting Systems (반사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의 성능 평가)

  • Lee, Beom-Seok;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30-37
    • /
    • 2005
  • 태양광 채광시스템은 자연광의 유입이 어려운 공간에 주광을 유입하기 위하여 개발된 장치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인간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등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해 도입 및 확대가 크게 기대 되는 장치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본 연구실에서 개발된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하여 건축물 적용시의 채광성능을 평가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시스템의 설치는 2004년 10월 25일 (주) 동아산전과의 공동작업으로 설치되었으며, 수원에 있는 K대학 공과대학 5층 옥상 파라펫에 설치하였다. 평가실험은 2005년 4월 5일 9시30분부터 15시30분까지 청천공 상태에서 실시하였고, 총32개의 측정점을 선정하여 주광조도비로 채광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반사거울을 설치 시 창이 있을 경우 실내의 주광조도비는 평균 20.3[%] 상승하였고 창을 제거할 경우 실내의 주광조도비는 평균 38.2[%]정도 상승하여 채광학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건축물의 실내 및 옥외의 음영진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 PDF

"NFPA 5000 건축물 구조 및 안전코드" 소개

  • Kim, Eun
    • 방재와보험
    • /
    • s.118
    • /
    • pp.36-41
    • /
    • 2007
  • 한국화재보험협회는 지난 2월 건축공학의 이론적 기반기술 및 실무 관련 자료가 수록된 "NFPA 5000, 건축물 구조 및 안전 코드" 한국어판(총 680페이지)을 발간하였다. 이번 한국어판 발간은 최근 건축물의 초고층화, 심층화, 자연재해 및 실내 환경의 중요성 증대 등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100년이 넘게 건축 환경과 관련 코드 및 기준을 개발해온 NFPA의 결정판인 NFPA 5000코드를 국내에 소개하여 관련 업계 종사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고에서는 이 코드의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건축물 석면관리 가이드라인 제정.시행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26
    • /
    • pp.53-57
    • /
    • 2009
  •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었던 석면문제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최근 아기에게 바르는 파우더를 비롯하여 화장품 등에까지 석면공포가 확산됨에 따라 환경부는 석면이 주로 건축자재(80% 이상)에 사용된 만큼 국민건강 보호를 위해 건축물에 사용된 석면의 안전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 가이드라인을 제정, 시행에 들어갔다.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은 $\Delta$건축물에 사용된 석면함유 설비 또는 자재를 조사하여 석면지도 작성 및 6개월마다 훼손 여부 평가 관리 $\Delta$석면 해체 제거작업 과정에서 석면이 비산되지 않도록 주변 대기 중 석면농도 0.01개/cc(실내공기질 권고기준) 기준 설정 $\Delta$석면 해체 제거 작업 및 폐석면 처리 시 안전한 석면관리를 위한 준수사항 등이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건축물 사용단계부터 철거 폐기까지 전 생에에 걸친 석면 관리 방법 및 기준 등을 포함하고 있어 건축물 이용자, 철거지역 인근 주민의 석면 노출 차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가이드라인을 자치단체, 다중이용시설 관리자, 건축물 철거업체 등을 통해 널리 알리는 한편, 노동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관련제도 보완 등 건축물 석면관리 개선방안을 오는 6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 PDF

대공간 건축물의 온도 및 기류분포 예측 기술

  • 손장열;안병욱;박종수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4
    • /
    • pp.12-19
    • /
    • 2001
  • 대공간의 건축물의 합리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온도 및 기류분포의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예측 방법으로 정밀해석 모델(CFD)만을 최선의 방법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지만, 비용과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설계 단계별로 보다 적합한 예측 방법을 적용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다양한 예측 모델들의 장·단점 및 실용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전제될 때 가능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열환경·설비 설계시, 설계 단계에 따른 적합한 예측 모델들을 소개한다. 더불어, 적절하고 타당한 예측 기술이 설계에 반영되어 대공간 건축물의 실내 열환경 개선 및 에너지 절약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PDF

실내가연물의 유독가스 방출특성에 관한 연구

  • Kim, Hong;Oh, Kyu-Hyung;Lee, Young-Sub;Kim, Dong-Hyun;Ham, Sa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06a
    • /
    • pp.186-189
    • /
    • 2000
  • 국내의 건축물의 화재안전성 평가는 화재안전성을 고려한 공간구성, 연기의 유동, 거주자의 피난계획 및 피난성능평가,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방화설비계통의 화재안전성능평가 등을 연구하여 왔다. 그런데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건축물의 공간적 특성분석과 주거여건 등을 고려한 기초자료의 파악 및 분석 등을 국내의 여건과는 상이한 국외의 자료를 근거로 하거나 2차원적인 해석 및 평가에 그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중략)

  • PDF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aldehydes in various indoor microenvironments (다양한 실내 구역에서의 알데히드류의 농도 분포)

  • 이지호;박성은;신동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439-440
    • /
    • 2000
  • 알데히드류는 실내의 다양한 오염원에서 발생되어 하루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건강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특히, 포름알데히드는 발암성 물질로 알려진 대표적인 실내 환경 오염 물질이기도 하다(Zhang junfeng et al., 1999). 포름알데히드는 urea 또는 phenol-formaldehyde 수지를 합성하는 주요 물질이며, 건축물 단열재, 가구의 염료 및 광택제, 접착제, 합판, particle board, 악취 제거제, 제지, 가스 스토브, 담배연기, 화장용품, 세제등 생활 용품에서 공업용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그 사용량도 증가되고 있다(Thomas J. Kelly et al., 1999).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