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다이어그램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1초

현대건축에 적용된 액티비티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 - 마누엘 고사, 벤 반 버클, 비센떼 구아이야르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ctivity Diagram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ing on the Projects by Manuel Gausa, Ben Van Berkel and Vicente Guallart -)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0-29
    • /
    • 2006
  • The concept of a 'place' in contemporary cities has been fundamentally challenged by the social, economical changes as well as the global digital network.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contemporary everyday life blur the boundaries of the existing architectural program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various proposals have attempted to overcome the physical limitations. 'Activity Diagram' is one of them. Activity diagram is a diagrammatized design process In which the given program is analyzed into individual activities, then it is re-organized and finally spatialized based on the analysis. In many projects by Manuel Gausa, Ben Van Berkel and Vicente Guallart, the activity diagram is applied in various forms and they are explained with theoretical backgrounds. Based on how the given program is re-organized into assembly of activities and how diagram is applied, five analytical elements were selected to critically analyze three chosen architects' case projects.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architects attempt to construct an open networked world where diverse activities are freely interconnected in spite of some fundamental limitations of activity diagrams.

혼성적 환경설계의 기원과 전개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Hybrid Environmental Design)

  • 김한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12
    • /
    • 2008
  • 20세기 말부터 시작된 탈근대의 사회와 문화는 새로운 환경설계의 문법을 요구하고 있었고, 당대에 등장한 대지예술은 새로운 혼성적 설계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대지예술의 영향아래 건축으로부터 시작된 지형적, 경관적 접근은 환경설계 전반에 장르간 혼성화의 큰 흐름을 일으켰다. 대지예술과 지형건축의 영향을 받은 조경에서는 신픽쳐레스크 조경이 등장하게 되었고, 조경의 영향을 받은 도시설계에서는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이 태동되었다. 이러한 환경설계 전반에 걸친 땅과 경관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함께 동시대 도시의 유동적 도시활동과 동태성이 중시되면서 시간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들 땅과 시간에 대한 새로운 관심들은 혼성적 환경설계장르들의 작업에 필요한 새로운 방법론들을 안출해 내게 하였는데 맵핑과 다이어그램, 폴드가 그것이다. 이들 세 가지 방법론은 특히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에서 가장 포괄적으로 적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폴드는 모든 혼성적 장르에 가장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으로 나타난다. 다이어그램은 지형건축과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에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있으며, 맵핑은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에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있고, 대지조형적 조경에서는 소극적으로 수용되고 있다. 맵핑이 가지는 진보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그 방법론이 개별적이고 주관적이어서 보편적 적용이 어려운 이유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아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은 현대도시상황으로 보아 매우 시의적절한 대안적 방법이며, 혼성의 포괄성과 지역성 구현에서 매우 높은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조경분야가 도시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여 향후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터널 시공현장 붕괴 사례를 이용한 막장의 안정성 평가 연구 (Stability Assessment of Tunnel Excavation Face Utilizing Characteristics of Collapse Cases)

  • 김민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40권2호
    • /
    • pp.55-64
    • /
    • 2024
  • 쉴드공법은 국제적인 사례에서 그 안정성을 입증한 반면, 경제적 효율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 NATM 터널 굴착공법은 피복이 얕고 지반이 풍화되며 지하수가 많은 도심지에 적용 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심지의 풍화된 암반층과 미고결 사질토 지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형적인 두 가지 붕락 사례를 소개하고, 여섯 가지 안정성 평가 방법으로 두 붕락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여 육각형의 다이어그램에 의한 방법으로 터널의 막장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붕괴한 두 터널 현장의 결과와 평가 결과가 잘 일치하였으며, 대상터널의 지반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평가 방법인 막장 안정성 평가 다이어그램에 의한 방법은 터널 설계 단계에서 터널의 막장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이아그리드 구조 시스템의 횡적 거동에 대한 민감도 해석 (Sensitivity Analysis on the Lateral Behavior of Diagrid Structure)

  • 안근우;양재광;박성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73-82
    • /
    • 2015
  • 지진하중 풍하중 등에 의한 횡적 거동 분석시, 민감도 해석은 구조 모델의 입력변수의 변화에 따른 횡적 거동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상대적 주요 변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민감도 해석은 건축물의 구조 진단과 보수 보강 분야에서 특히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높이에서 다이아그리드 가새부재의 설치 각도를 변화 시키면서 TDA이론을 적용한 선형정적 해석법으로 민감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지진하중의 영향이 큰 중층 건축물에서는 모듈의 설치 각도가 $58^{\circ}$일 때 가새부재가 가장 주요한 변수로 판별되었고, 풍하중의 영향이 큰 고층 건축물에서는 모듈의 설치 각도가 $67.4^{\circ}$일 경우 가새부재가 가장 주요한 변수로 판별되어 시스템 적용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구간별 민감도는 12층에서 36층 모델의 경우 중상층부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고층 건축물의 경우 하부에서 가장 큰 민감도값이 산출되었다.

들뢰즈 회화론의 공간인식에 의한 렘 쿨하스 건축의 실내공간에 관한연구 (A Study on Interior Space in Rem Koolhaas' Architectures through Space Recognition of Deleuze's Painting Theory)

  • 홍선미;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5-120
    • /
    • 2006
  • This study concentrates on a new idea that is formulated as a creative space recogni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painting. It is stimulated from Deleuze's philosophy, which is expressed with the philosophical instrument, "Non-Representation". After discussing the concept of non-representation used in Deleuze's philosophy, case exampl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re analysed to comparative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chitectures by Rem Koolhaas and painting by Francis Bacon. Therefore, he founds expressions of "diagram" and "movement" in painting of F. Bacon. Diagram meansit is a power that is comprised of various points of wiew with the kind experiences that one has in life. Movement that were extracted form the Instrument in space recognition of Deleuze's panting theory were of topology, insertion of geometry, reiteration of layers, transparency and translucency, reflection effect.

  • PDF

구조 지형학적 관점에서 본 현대 건축 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emporary Architecture Space from a view of structural Geomorphology)

  • 정우석;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9-222
    • /
    • 2006
  • Architecture is builded on the ground and affected environment which include shape of topography and situation. What this study saying is the analysis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structural geomorphology and the space modern architecture. As there are many issue about boundary of space and organic architecture, It is important what study about structural geomorphology In paper, we will aware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architecture and topography. Notion of folded structure in structural geomorphology is connected with continuity or infinity. This is one of many example.

  • PDF

조경 설계에서 손 드로잉 유형의 역사적 변천과 혼성화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Types of Hand-Drawing and Their Hybridization in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 이명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1-86
    • /
    • 2017
  • 이 연구는 손 드로잉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혼성화의 관점으로 해석하여 손 드로잉에 내재되어 있었던 창조적 성격을 발견하고자 한다. 조경 드로잉은 과학적 도구성과 예술적 상상성이라는 호환 가능하고, 상대적인 두 특성을 지니고 있고, 그러한 특성은 투사, 퍼스펙티브 뷰, 다이어그램이라는 구체적 드로잉 유형으로 구현되어 왔다. 하지만 드로잉 유형은 뚜렷이 구별된다기보다 오히려 상호 보완적으로 혼성화되면서 설계 경관에 대한 비전을 시각화해 왔다. 특히, 땅과 건축물을 그린 플랜에서 식물 소재는 퍼스펙티브 뷰나 엘리베이션으로 그려내는 플라노메트릭 기법이 이용되었다. 물론, 특정 지역과 시기에 특정 정원 양식에 적합한 드로잉 유형이 등장하고, 때때로 우세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16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과 17세기 프랑스 정형식 정원 설계에는 투사 드로잉이, 18세기에서 19세기 초 영국 풍경화식 정원 드로잉에서는 회화적 묘사가 강조된 퍼스펙티브 뷰가 중요했고, 19세기 중후반 미국 조경 설계에서는 공모전 드로잉, 사진, 맵 오버레이 등 용도에 따른 드로잉의 분화가, 20세기 초중반 미국의 모더니스트는 설계 전략을 시각화하기 위해 다이어그램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러한 변천 과정에서, 플라노메트릭은 땅의 평면적 구성과 식재의 정면적 시각을 동시에 고려하는 조경 설계에 적절한 혼성적 시각화 기법으로 빈번히 활용되었다. 19세기 중엽에 탑뷰가 플라노메트릭을 대체하고, 20세기 들어 식재의 회화적 특성이 소거된 채 기호로 표준화되면서, 손 드로잉에서 상상적인 테크닉보다 도구적인 시각화 방식이 점차 일반화되었다.

현대건축 형태생성 과정으로써의 유형학적 특성 (Typology as Form Generating Proces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김종명;김동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3-13
    • /
    • 2014
  • Typology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wants to escape from the classical typology that has the problems about specific program of structuralism, typical repeatation of customary form. As visible and non-visible things are appeared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ner system involving development process of changing itself, typology of contemporary is utilized at a tool of form generation in the process of architect. And it notes that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building system. The form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has the new connecting strucure not reduced to existing ones. It carries out generative access as a device in order to solve the complexity of society. From this perspective, we analyze the process of projects of contemporary architects that can be typological strategy not representation of post geometric form but a tool of form generation in architectural process. As a result, we can find four characteristics of typology as a tool of form generation; 'interference and mix of program', 'continous slabs', 'rearrangement through relationship setting', 'transformation of multi-layers'. These are expanding to the process that reflect history and context or infer from morphology. Therefore, typology as architectural process of form generation overcomes morphological typology of classical typology and suggests that the different architectural approach having potential possibility.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에서 조닝분석을 통한 단위세대 평면 유형 및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 Characteristics and Unit Floor Type Through the Zoning Analysis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 성이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54-61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lan characteristics used in unit floor planning mainly with examples of mixed-use residential tall buildings. The study will extract plan characteristics mainly using the graph expressive technique with essential information of the zoning function of residential space, rather than merely analyzing the various construction floor plans by type. The research method involves studying a group of 50-story buildings (over 200 meters) which were built between 2002 and 2008. Among 6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case, we extract the most preferred type from 34 types, And then we simply classify rooms in 3 zoning, the master, living and children's zones. Finally we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3 simple zone and then extract some model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ree main findings. First, using the 3 functional zones, the shape of the main building and the unit floor plan can be analyzed simply even when they appear to be complicated. Second, we can extract common features when we analyze the unit floor plan from the viewpoint of the penetrability among 3 zoning. Third, we can extract 2 types when we analyze the unit floor plan from the viewpoint of 3 connected functional zoning concepts.

  • PDF

3차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건축 디자인 생성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the Architectural Design Generation based on the 3D Voronoi Diagram)

  • 박종진;전한종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306-313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unique formation process of a volumetric space with the digital algorithm developed for Voronoi diagram in order to generate an effective parametric architectural form. By applying systematic parameters of architectural conditions within digital parametric tools, the interactions among sub-spaces developed by Voronoi diagram are enhanced by manipulating the spatial structures. In this paper, we discuss how the parametric distributing and zoning geometrical system can support designers in developing a free-formed space, and research on how this system creates a 3D volumetric space. With the in-depth research on the system and structure of Voronoi diagram, the approaches to the application of Voronoi diagram into architectural form generation are clarified to be an effective, creative and successful digital tool.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Voronoi diagram improves the design quality with systematic language in the sense that the sub-regions are created and controlled under the systematic and balanced hierarchy having dynamic relationships among each others with the restoration of the equilibrium of forces and tensions. This 3-dimensional Voronoi diagram provides another means for designers to solve architectural issues and to reinforce their design concep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