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축관계

Search Result 1,03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pecial Interview - 건축물의 미학을 다시 쓰다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70
    • /
    • pp.40-43
    • /
    • 2011
  • 이제 하나의 건축물을 짓는다는 것은 단순히 건물을 짓는다는 개념을 넘어 지구환경을 생각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일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발맞춰 미국에서 시작된 녹색건물인증제도인 LEED가 국내에도 서서히 그 이름을 알리고 있다.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생활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커지는 시점에서 한국 LEED 연구소 브래드 박 소장은 친환경 건축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들려주었다. 앞으로 변화될 국내 친환경 건축 시장과 LEED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브래드 박 소장의 얘기를 들어보기로 한다.

  • PDF

A study on the site analysis considering a fused relationship of the architectural site and surrounding context (건축대지와 주변 컨텍스트의 융합적인 연계성을 고려한 대지분석에 관한 연구)

  • Jun, In-M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5
    • /
    • pp.275-285
    • /
    • 2017
  • The architectural site exists in the context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the background of architectural design, and the architecture exists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it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the plan of the building starts from the analysis of the site, and its consequences too meaning can be found in the rela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ronically, however, there are no direct papers describing site analysis with this meaning. Therefore, this paper categorizes the site analysis items around the four environments of Land, Water, Fire, and Wind that constitute the environment of the ecosystem, furthermore, in order to apply the result of the fusion information to the architectural design by synthesizing the organic correlat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 created the '9sectors system', which is a combination of 'horizontal 3 and vertical 3' to provide a more rational and efficient architectural plan. Through the progress of the project using this system, it is considered that it is a more applicable method of the site analysis data than the existing site analysis method.

Schematic Design Using a Design Tool based on Three Dimensional Bubble Diagrammatic Technique (3차원 버블 다이어그램 기법을 지원하는 디자인 도구를 이용한 개략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 Lee, Yun-Gil;Park, Jae-Wan;Choi, Jin-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57-62
    • /
    • 2006
  • 건축디자인 초기단계에서 다이어그램은 아이디어 및 디자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분석 도구로써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Wang, 1999; Do, 1997). 이러한 다이어그램은 시각적 디자인 피드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축디자인 실무 및 교육에서 필수적인 디자인 도구라고 할 수 있다 (Schon and Wiggins, 1992; Gross, 1996; Kurmann, 1998). 최근에 IT 기술이 건축분야에 적용됨에 따라, 건축가들의 전통적으로 고려되어 왔던 인간의 행동, 자연현상, 건축재료, 건축부재, 대지조건 외에 다양한 IT 기술과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고 고려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IT 기술은 건축적인 요소들과 접목되어 적용되기 때문에 건축가들은 디자인 초기단계부터 IT 기술의 접목이 가능한 디자인 도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즉, 이는 IT 정보와 공간정보와의 관계 및 적용을 건축가가 빠르게 이해하고 분석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각적 다이어그램 표출이 가능한 디자인 도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IT 기술과 공간 정보의 다양한 형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3 차원 버블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계략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3 차원 버블 다이어그램을 지원하면서 건축 디자인 초기단계에 이용 가능한 디자인 도구를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자인 도구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노드(node)와 연결선(edge)로 구성되고, 저장된 특정 건축정보는 다이어그램으로 생성된 디자인 대안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일종의 DSS(Decision Support System)인 본 시스템은 디자인 초기단계에서 3 차원 디자인 아이디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 대안을 빠르게 생성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평가함으로써 디자인 효율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본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기술이 적용된 신도시에 생성될 통관관제센터 디자인에 실험적으로 적용되었다.

  • PDF

The Study of the Process of Design on the Application of the Architectural Field Concept (건축장 개념을 적용한 설계과정 연구)

  • Lee, Seung-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8
    • /
    • pp.3698-3703
    • /
    • 2012
  •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is consisted of the phase of programming and the phase of the desig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al scheme, as a datascape, a rhizome structure and a diagram, is based on the concept of modern physics. And it is applied on the phase of design by synthesizing data. Like this, the design of the architectural field is accomplished in the phase of design. For design of the architectural fiel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field is considered as the viewpoint of design in the procedure. First, according to the area which is defined by relations of environments, around architectures and so on, the net system of relations is designed as area. Second, design the linkage between building and space, building and building, space and space, according to the correspondence each other. Third, design the method or form of connecting building and space to one as a building and a space are no longer divided but are understood by one. As a result, for the design of architectural field,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criteria by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field and the architectural field is designed by process.

A Study on the Spatial Effect of Material and Light: Focusing on Peter Zumthor's Projects - Bruder Klaus Chapel and Kolumba Museum - (피터 줌터의 작품에 나타난 재료와 빛의 공간적 영향에 관한 연구 - 부르더 클라우스 채플과 콜룸바 뮤지움을 중심으로 -)

  • Kim, Eunice Ja-You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0 no.5
    • /
    • pp.87-95
    • /
    • 2011
  • 최근의 현대 건축에서는 재료의 물성과 구축성이 두드러지는 프로젝트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의 배경에는 사양한 요인들이 있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간성(性)에 대한 근본적이고 회귀가 중요한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피터 줌터의 건축은 현란한 조형적 효과, 표현만을 위한 기술적 장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그의 건축은 장소와의 관계, 문화적 context 상에서의 맥락, 그리고 공간의 근원적인 경험을 주요한 매체로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수성은 대체적으로 빛과 재료의 고유한 적용으로 나타난다. 이는 장소와 문화의 특성을 관습적인 형태나 화려한 표현으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감'의 구현으로 구축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은 피터 줌터의 건축에 나타나는 빛과 재료의 구축 방식, 그리고 공간의 경험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의 건축 구축 방식은 일견 간단해 보일 수도 있으나 실제로는 프로젝트마다 고유한 빛과 재료의 적용과 텍토닉(tectonic)이 내재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점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그러한 구축방식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공간의 경험과 관계를 하는지 고찰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인 사례는 Bruder Klaus Chapel과 Kolumba Museum으로 한정된다. 프로그램은 다르지만 빛을 사용하여 관람자의 공간경험과 공간인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다루면서 결론 맺는다.

Development of Flood Discharge Ensemble Member Generation Method Based on the Clark Model (Clark 모형 기반 홍수유출 앙상블 멤버 생성기법 개발)

  • Youn, Sunghyun;Ku, Jung Mo;Kang, Minseok;Kim, Gildo;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50-55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Clark 모형을 기반으로 한 홍수유출 앙상블 멤버 생성기법을 개발하였다. Clark 모형의 매개변수인 집중시간과 저류상수는 불확실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시간과 저류상수가 가지고 있는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절한 확률분포를 선정하였다. 집중시간에 적절한 확률분포는 집중시간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확률분포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확률분포는 감마분포와 대수정규분포이다. 저류상수에 적절한 확률분포는 저류 상수와 집중시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확률분포는 집중시간에서 선정한 확률분포와 동일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지호 등(2013)의 연구에서 집중시간과 저류상수 사이에 뚜렷한 관계를 확인하고 이에 적합한 이변량 확률분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이변량 확률분포는 이변량 감마분포와 이변량 대수정규분포이다. 이변량 감마분포는 집중시간과 저류상수에 적용 가능한 Smith, Adelfang and Tubb's(SAT) 이변량 감마분포를 선정하였다. SAT 이변량 감마분포와 이변량 대수정규분포의 적합도 검정방법은 K-S 검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AT 이변량 감마분포와 이변량 대수정규분포로 Random Number Generation 실시하였다. 생성된 집중시간과 저류상수의 앙상블 멤버는 Clark 모형을 이용하여 홍수유출 앙상블 멤버를 생성한다. 제안된 홍수유출 앙상블 멤버 생성기법은 방림 유역을 대상 검토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ensile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Masonry Elements (조적요소의 인장응력-변형률 관계 평가)

  • Yang, Keun-Hyeok;Lee, Yongjei;Hwang, Yong-H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 /
    • v.35 no.3
    • /
    • pp.27-3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d evaluate the tensile properties of masonry element such as tensile strength, strain, modulus of elasticity and stress-strain relationship through the direct tension test with varies of mortar strength. From the experiment, the tension fracture was observed along the interfaces between the brick and the mortar. Tension properties of masonry elemen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f_m$, indicating that higher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of elasticity of masonry element were obtained with increase of $f_m$. The strain of a masonry element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f_m$ due to the lower ductility of a higher mortar strength. A tensile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masonry element was generalized based on the numerical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using test data. The proposed model shows fairly good agreement with the test measurements.

An Analysis of the Casual Relations on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level Competency (건설 현장 관리자 역량의 인과관계 구조 분석)

  • Kim, Do-Yeob;Kim, Hwa-Rang;Jang, Hyoun-Seung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 /
    • v.34 no.3
    • /
    • pp.77-86
    • /
    • 2018
  • Recently,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s moving from quantitative growth to qualitative growth. Among th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competency of the project manager who represents the construction project as well as the construction company has been referred to as a factor that effects qualitative growth. This research utilized previous research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 in order to extract essential competency factors of a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DEMATEL method was utiliz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and objec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ency factors.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competency factors were visualized through Digraph (directed graph) and competency areas of the project manager that requires strengthening were also suggested.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important competency categories of a project manager were Internal & External Communication,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and Inspirational Leadership.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in developing competency enhancement method for future project managers and as a basic data in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미래의 정주환경 - 건축기술의 가능성 (3)

  • Jo, Yeong-Mu
    • Korean Architects
    • /
    • no.10 s.92
    • /
    • pp.7-16
    • /
    • 1976
  • 한국 2,000년 국토계획상, “GIAP”의 예견건축, 20세기건축의 개혁적인 것을 논한 다음에 1장 중추도시들-공중도시들, 2장 지하도시돌-두더지도시들, 3장 여가도시들을 지난 번까지 논하였다. 이번에는 4장 농업도시들, 그리고 5장 교상도시 6장 1,600만인의 Paris, 7장 종상을 싸운 New-York 8장 피로티들위의 런던, 9장 Monaco의 반도상도시와 인도의 “Auroville", 10장 21세기의 일본, 11장 Guy Rottier의 미래주택연구등을 다룬다. 이 자료들은 주로 프랑스의 미술평론가 Michel Rogon의 미래 건축관계 도시들을 주로 참조한 것임을 첫머리에서 밝힌 바 있다. 계속하여 Michel Ragon, Yona Friedmann, Paul Maymont, 그리고 Walter Jonas의 ”Le Corbusier이후“를 논한 예견건축논문들을 살펴보게 될것이다.

  • PDF

건축물 석면관리 가이드라인 제정.시행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26
    • /
    • pp.53-57
    • /
    • 2009
  •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었던 석면문제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최근 아기에게 바르는 파우더를 비롯하여 화장품 등에까지 석면공포가 확산됨에 따라 환경부는 석면이 주로 건축자재(80% 이상)에 사용된 만큼 국민건강 보호를 위해 건축물에 사용된 석면의 안전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 가이드라인을 제정, 시행에 들어갔다.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은 $\Delta$건축물에 사용된 석면함유 설비 또는 자재를 조사하여 석면지도 작성 및 6개월마다 훼손 여부 평가 관리 $\Delta$석면 해체 제거작업 과정에서 석면이 비산되지 않도록 주변 대기 중 석면농도 0.01개/cc(실내공기질 권고기준) 기준 설정 $\Delta$석면 해체 제거 작업 및 폐석면 처리 시 안전한 석면관리를 위한 준수사항 등이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건축물 사용단계부터 철거 폐기까지 전 생에에 걸친 석면 관리 방법 및 기준 등을 포함하고 있어 건축물 이용자, 철거지역 인근 주민의 석면 노출 차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가이드라인을 자치단체, 다중이용시설 관리자, 건축물 철거업체 등을 통해 널리 알리는 한편, 노동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관련제도 보완 등 건축물 석면관리 개선방안을 오는 6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