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조층

Search Result 42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erformance of CO adsorption on Transition metal impregnated zeolite molecular seive (전이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분자체 이용한 CO 흡착특성)

  • Lee, Joo-Bo;Jung, Eui-Min;Kim, Dae-Kyung;Peng, MeiMei;Jang, Hyun-Tae;Cha, Wang-Seo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33-3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이금속 Cu, Mn이 함침된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일산화탄소의 흡착능을 연구하였다. 금속 복합 산화물촉매 제조는 Cu, Mn을 서로 다른 비율로 물리 혼합하여 지지체에 담지하였다. 제올라이트 분자체는 상용 13X를 사용하였다. 함침방법은 과잉용액 함침법을 사용하였고, 건조 후 소성 하여 산화물 형태로 담지하였다. 합성된 개질 흡착제의 표면특성 분석은 $N_2$흡착 및 탈착곡선을 통한 질소흡착 특성 분석으로 기공크기, 기공분포, 비표면적을 구하였으며, FT-IR, X-선 회절분석, 전자주사현미경, $NH_3$-TPD/TPR 으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흡착 실험은 고정층 반응기에서 수행하였으며, 내경 4 mm 석영관에 흡착제를 충진하고 흡착파과곡선을 Gas Chromatograph로 측정하여 Cu-Mn 제올라이트 촉매의 일산화탄소 흡착 성능을 연구하였다. Cu-Mn 함량 비율과 흡착조업조건에 따른 흡착능을 측정하여 최적 흡착조건을 구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Electrostatic Hazards of Powder in Fluidized Bed (유동층 건조설비에 있어서 분진의 정전기 위험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Moon, Kyoon-Tae;Chung, Jae-Hee;Choi, Kwa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25 no.4
    • /
    • pp.19-24
    • /
    • 2010
  • A large amount of electrostatic charges is often generated on polymer powders in fluidized bed and thereby may lead to electrostatic problems. In this study, to evaluate electrostatic hazards of powder in fluidized bed, the electric field(E[v/m]) and the charge amount(q[c/g]) during fluidizing were monitored. We also investigated the Minimum Ignition Energy(MIE [J]) of sample powder used in fluidized bed with the Hartman vertical-tube apparatus. The batch-type fluidized bed system and 2kg as Polypropylene(PP) resin powders were used in the experim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Even when a safe margin of several times was considered, the values of E obtained with PP powder in this paper did not exceed 3 to 5kV/cm, at which an incendiary electrostatic discharge could occur. (2) the ave. q was -0.26${\mu}$C/g during fluidizing. This value was high enough to cause electrostatic agglomeration and adhesion. (3) the entrained PP powder in upper column due to fluidizing could be ignited by electrostatic discharges of 71mJ.

Heating & Drying Characteristics of Coating Layer by Induction Heating and Short-wave Infrared Heating (유도가열 및 근적외선 가열방법에 의한 표면처리 강판 도포층의 가열 및 건조 특성)

  • Kim T. S.;Yang J. W.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Conference
    • /
    • 2004.08a
    • /
    • pp.249-257
    • /
    • 2004
  • Drying and curing characteristics of PCM resins using the induction heater and short-wave infrared emitter module was studied to develop a compact oven system for the high speed CCL and post-treatment equipment. Drying of the polyester resins using the induction heater and infrared heater showed that the blistering tendency of polyester resin coating increased regardless of additives and colors of resins as the heating rate and/or dry film thickness increased. The blistering of polyester resin coating layer occurred when the heating speed was over than $25^{\circ}C/sec$ for the dry film thickness of $19\~20um$, which is the typical thickness of finish coating in CCL. So did it when the heating speed was over than $40^{\circ}C/sec$ for the dry film thickness over than 10 um. The heating efficiency of paint coated steels by the infrared heating was strongly dependent on the colors of paint coating and generally increased for the dark surface and/or coating. But the faster drying of the PCM resin coatings increased the blistering tendency of coating layer. The blistering limit for the typical finish coating by the infrared heating was estimated as the heating rate slower than $20^{\circ}C/sec$ regardless of colors of PCM resins.

  • PDF

CZTS태양전지 흡수층 제작을 위한 열분해법 나노 파티클 합성

  • Lee, Su-Ho;Kim, Dong-Uk;Lee, Ja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444.1-444.1
    • /
    • 2014
  • 높은 광흡수 계수를 갖는 Cu(In,Ga)Se2(CIGS) 화합물 박막 소재는 고효율 태양전지 양산을 위해 가장 전도유망한 재료이나 상대적으로 매장량이 적은 In 및 Ga을 사용한다는 소재적 한계가 있다. Cu2ZnSnSe4(CZTSe) 혹은 Cu2ZnSnS4(CZTS)와 같은 Cu-Zn-Sn-Se계 화합물 반도체는 CIGS 내 희소원소인 In과 Ga이 범용원소인 Zn 및 Sn으로 대체된 소재로써 미래형 저가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데, 그 화합물 조합에 따라 0.8eV부터 1.5eV까지의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법으로 CZTS 나노 입자를 합성하였다. 용매로 Oleylamine을 사용하였는데, $220^{\circ}C{\sim}34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3시간 30분 동안 CZTS 나노입자를 합성하였고, $240^{\circ}C$에서 3시간~5시간까지 합성하였다. 헥산을 이용하여 원심분리기와 초음파세척기로 용매인 Oleylamine을 제거하였고, 진공오븐에서 건조된 CZTS 분말의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XRD(X-Ray Diffraction), EDS(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 등을 통해 합성온도에 따른 구조적, 화학적 조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 PDF

스핀 코팅 가능한 폴리머의 후열처리를 통한 그래핀의 합성과 특성

  • Lee, Im-Bok;Nam, Jeong-Tae;Park, Sang-Jun;Bae, Dong-Jae;Kim, Geu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84.1-384.1
    • /
    • 2014
  • 대면적 그래핀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주로 화학기상증작법, SiC 기판을 고온 열처리하는 방법 그리고 최근에는 고체소스를 활용하여 그래핀을 합성하는 방법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용액들을 원하는 기판에 스핀코팅하여 건조시킨 후, 후 열처리 공정을 통해 그래핀을 합성하고 물성을 평가해보았다. 그래핀 합성을 위해서 사용된 폴리머 탄소원은 Vinyl계 폴리머 용액으로, polystyrene (PS), polyacrylonitrile (PAN), 그리고 polymethylmetacrylate (PMMA) 등으로 2wt%의 폴리머 용액을 $SiO_2$기판에 스핀 코팅을 하고, 그 위에 Nickel이나 Copper와 같은 catalytic metal을 capping layer로 증착하고, 고진공에서 후열처리 공정에 의해 그래핀을 성장하였다. 이때, 탄소원으로 쓰인 PS, PMMA 폴리머는 pristine graphene 합성을 위해, PAN 폴리머는 질소가 도핑된(n-type) 그래핀 합성을 위해 사용되었다. 그래핀의 물성은 폴리머 종류, 코팅된 두께, 촉매 금속층 종류와 두께, 그리고 후열처리 공정 온도와 시간에 따라서 조절이 가능하였다. 우리는 Raman spectroscopy, AFM, SEM 등을 활용하여 그래핀의 층수, 결함, 표면양상 등을 평가하였고, 또한 전사된 그래핀을 기반으로 제작된 FET의 게이트 전압에 따른 I-V 곡선을 측정하여 캐리어 종류 및 전하 이동도 등을 평가하였다. 더욱 상세한 내용은 프레젠테이션에서 논하겠다.

  • PDF

Fabrication of SOFC cell by transcription-method (전사법을 이용한 SOFC Cell 제작 및 출력특성)

  • Koo, JaBin;Choi, ByeongHyeon;Ji, MiJeong;An, YongTae;Hwang, HaeJ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91.1-91.1
    • /
    • 2011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이하 SOFC)는 연료가 갖는 화학에너지를 연소과정 없이, 공기와 H2, CO, CH4와 같은 환원성 가스를 공급받아 $600{\sim}1000^{\circ}C$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직접 전기를 얻는 방식이다. SOFC는 $70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고체산화물이 연료와 공기가 반응하여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기 때문에 carnot cycle의 제한을 받지 않아 발전효율이 40% 이상으로 고효율이고, NOx 및 SOx를 배출하지 않아 무공해이며, moving parts가 없어 소음이 나지 않고, 건설과 증설이 지역이나 기후 조건에 제약 없이 용이하고, 다양한 용량이 가능하며, 고가의 백금 촉매를 사용하지 않으며, 수소, 석탄가스, 천연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또한 다향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전해질이 고체에서 전해질 손실 및 보충에 문제가 없고 타 연료전지에 비해 개질기가 필요 없어 발전시스템이 간단하고 경량화가 가능하다. 전사법은 paste를 제작하여 전사용지에 Screen printing하여 건조 후 coating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여러 coating 방법보다 제작이 용이하고 소재의 크기, 두께조절이 간편하며, 구성층의 표면조도나 굴곡에 대응이 용이한 방법이다. 본 실험에서는 paste 제조, 전사법을 이용하여 Anode, AFL, Electrolyte, CFL, Cathode전사지를 제작하고 이를 세라믹 평관형 지지체에 변수로 두께 조건별 Coating 한 후 $1400^{\circ}C$ 소결을 진행하여 SEM 분석으로 미세구조 관찰, 출력특성 및 Impedance을 확인하였다.

  • PDF

Decalcomanie of flat-tubular segmented SOFC cell bytranscription-method and outpu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uffer Layer

  • Gu, Ja-Bin;Choe, Byeong-Hyeon;Ji, Mi-Jeong;Lee, Mi-Jae;An, Yong-Tae;Hwang, Hae-Ji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93.2-93.2
    • /
    • 2012
  • 연료전지는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발전 장치로서 기존 장치에 비하여 발전 효율이 높아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현재 당면 과제인 $CO_2$ 배출량 절감이 가능하고, 환경 보전성이 우수하여 미래의 전원으로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제3세대 연료전지라 불리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이하 SOFC)는 고가의 외부 개질 장치 없이도 연료가 갖는 화학에너지를 연소과정 없이, 공기와 $H_2$, CO, $CH_4$와 같은 환원성 가스를 공급받아 $600{\sim}1000^{\circ}C$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직접 전기를 얻는 방식이며, 낮은 소음과 진동으로 인하여 온 사이트(On-site) 발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연료전지이다. Decalcomanie는 전사용지에 Screen printing하여 건조 후 coating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여러 coating 방법보다 다전지셀 제작이나 Buffer layer의 적용이 용이하고, 소재의 크기나 두께조절이 간편하며, 구성층의 표면조도나 굴곡에 대응이 용이한 방법이다. 새로운 Decalcomanie를 사용하여 평관형 다전지식 SOFC Cell 제작 및 각 Buffer layer에 적용, Screen printing법과 동일한 Cell 제조 후 MPD와 Impedance 분석을 통하여 Support 위에 전사지를 이용, 적층한 Cell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 PDF

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PTFE Pore-filling Membrane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PTFE 강화막)

  • Kang, Seong Eun;Lee, Chang Hyun
    • Membrane Journal
    • /
    • v.25 no.2
    • /
    • pp.171-179
    • /
    • 2015
  • 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s (PFSAs) have been widely as solid electrolyte material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since they exhibit excellent chemical durability under their harsh application conditions as well as good proton conductivity. Even PFSA materials, however, suffer from physical failures associated with repeated membrane swelling and deswelling, resulting in fairly reduced electrochemical lifetime. In this study, pore-filling membranes are prepared by impregnating a Nafion ionomer into the pore of a porous PTFE support film and their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re evaluated. The developed pore-filling membranes exhibit extremely high proton conductivity of about $0.5S\;cm^{-1}@90^{\circ}C$ in liquid water.

Formation of (TEACOOH)-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and Polycondensation between the Layers of the Complex ((TEACOOH)-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의 형성 및 층 내에서의 고분자화 반응)

  • Yun, Do-U;Jo, Seong-Ju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 /
    • v.7 no.1
    • /
    • pp.79-87
    • /
    • 2005
  • [TEACOOH]-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obtained from Na-Montmorillonite and 10-Carboxy-n-decyldimethylethylammonium bromide(organic cation) was reacted with the monomer($\varepsilon$-caprolactone) to achieve the [TEACOOH]-$\varepsilon$-caprolactone-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From intercalations complex Montmorillonite/Polycaprolactone Nanocomposite in which montmorillonite(inorganic material) is chemically linked with the polycaprolactone(organic polymer) was formed at $220^{\circ}C$ for 48 h. The basal spacing for the sample obtained after polymerization, extraction with methanol and dried at $65^{\circ}C$ in high vacuum for 24 h was 50.7 $\AA$.

  • PDF

Analysis of Levee Infiltration in Flood-time (홍수시 제방의 침투 해석에 대한 연구)

  • Lee, Nam-Joo;Yu, Kwon-Kyu;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78-1882
    • /
    • 2010
  • 이 연구는 제방의 침투 수리모형 실험의 자료를 이용해 안전도 평가 지표 선정을 위한 자료 제공하고 향후 수행할 침투 수치모의에 필요한 보정 및 검증 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제방 축조 현장에서 구한 제체재료를 사용하여 실험실에 제방축소모형을 $14.5m{\times}0.6m{\times}1.6 m$의 수조 내부에 제작하였다. 제방 사면의 경사는 1:2, 제방 저면의 길이는 4.60 m, 제방 상부의 길이는 2.40 m, 제체의 높이는 0.55 m로 제작하였다. 모형제방은 제방축조 방법과 유사하게 다짐을 하기위해 흙을 쌓으면서 0.20 m 높이 마다 다짐을 실시하였다. 다짐방법은 고무망치를 이용한 층다짐을 하였다. 들밀도실험에 의한 제방모형의 건조단위중량과 다짐도는 각각 1.71g/cm3, 93%로 측정되었다. 홍수위 증가에 따른 비정상 상태의 침투수위 측정을 수행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은 약 8일 동안 수행하였다. 침윤선의 수두와 위압계별 수두는 상류쪽(제외지 사면)부터 증가하기 시작하며 하류쪽(제내지 사면)로 확장됨을 알 수 있으며, 실험 초기에는 상류쪽의 수두가 급격히 상승하지만, 점차 상승속도가 둔화되는 등의 일반적인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시작 18시간 경과 후부터 제외지 사면 하단부에서 유출이 발생하였으며, 21시간 경과 후부터는 상류부의 수두가 안정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측정된 침투수위의 변화 양상은 향후 수치모형을 이용한 침투해석의 검보정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