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조시간

Search Result 1,77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sludge drying using waste heat of cogeneration plant (열병합발전소 보일러 폐열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 연구)

  • Ryu, Seung-Han;Lee, Sang-Hun;Shin, Dong-Hoon;Park, Jun-Hyung;Jo, Suk-Jin;Kwak, Sung-Sik;Woo, Young-Hoon;Jeon,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60-60
    • /
    • 2011
  • 염색폐수의 정화에는 필연적으로 다량의 슬러지 폐기물이 발생한다. 염색폐수 슬러지는 그간 인근 공해 해상에 투기하는 해양 배출로 저렴하게 처리하였으나, 해양오염을 우려하는 국제협약(1972년 런던협약, 1996년 교토의정서)에 의하여 2008년 8월부터 배출기준이 강화되고 2012년 2월부터는 해양배출이 금지 될 예정이다. 염색폐수 슬러지의 해양 배출이 금지되면 대체 처리방법으로는 지정매립장을 통한 매립처리 방법이나 고온 소각시설에서의 소각처리 방법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매립처리는 슬러지 내 함유 수분으로 인한 침출수의 문제와 더불어 장기간 안정적으로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규모 처분장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소각처리는 슬러지의 높은 함수율로 인해 소각 시보조 연료의 투입이 필연적으로 최근 원유가 급등 등 에너지 비용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을 고려할 때 소각처리비용 또한 상당한 고가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같이 슬러지 해양배출이 금지되면 섬유 염색업체들은 많은 환경비용 부담을 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염색산업단지 공동폐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염색폐수 슬러지의 효율적인 건조를 위해 산업단지 내의 열병합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보일러 폐열을 이용하였으며, 조건 특성 및 효율을 파악하기 위해 보일러 폐열의 특성을 고려하여 슬러지 두께 및 체류시간 등 건조공정 운영조건에 따른 변수별 연구를 수행하였다. 열병합발전소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폐열은 온도가 $150^{\circ}C$ 정도로 기존의 슬러지 건조에서는 사용되는 $700^{\circ}C$에 비해서는 매우 저온이다. 하지만 보일러 배가스의 경우, 온도에 비해 많은 풍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열량으로 환산시 충분히 가치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염색폐수 슬러지의 경우, 함수율 70% 이내의 탈수 Cake 형태이므로 두께가 두꺼울수록 건조효율이 감소하였으며, 체류시간이 길어질수록 건조효율은 증가하나 20mm 이상에서는 건조효율이 급격히감소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5톤/일 규모 슬러지 건조 Pilot Plant를 제작하여 운영하였는데, 염색폐수슬러지의 투입공정에서 슬러지와 열풍의 접촉면적을 넓혀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슬러지를 압출노즐을 이용하여 슬라이스 칩 형태로 제조하여 건조공정에 투입하였으며, 건조실 내에서도 건조효율의 상승을 위하여 내부열풍순환팬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Pilot 운영결과, 체류시간 52분에서 슬러지의 함수율은 70%에서 10%이하로 감소하였다.

  • PDF

Effects of Osmotic Dehydration on Drying Characteristics of Kiwifruits (키위의 건조특성에 미치는 삼투처리의 영향)

  • 윤광섭;홍주헌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6 no.3
    • /
    • pp.319-323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dried kiwifruit quality. Osmotic dehydration was carried out as pretreatment before drying. After the kiwifruits were pretreated under optimized osmotic dehydration conditions, they were dried by three drying methods(hot air drying, vacuum drying, freeze drying). Hot air drying and vacuum drying were superior to freeze drying in the drying speed. But vacuum and freeze drying preserved more vitamin C than hot air drying. Also, osmotic dehydrated kiwifruit kept better quality than nontreated kiwifruit. Diffusion coefficient which describes moisture transfer, was high in drying process pretreated with osmosis. The changes of vitamin-C followed the second-order reaction rate equation with high RE, respectively.

  • PDF

Development of A Drying Unit of Agricultural Wastes (농업폐기물 건조장치 개발)

  • Song, Dae Bin;Lim, Ki Hyeon;Jung, Dae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5-115
    • /
    • 2017
  • 2013년 국내 시설(비닐, 유리 온실)에서 재배되는 토마토, 풋고추, 파프리카의 생산량은 총 632,315 톤으로 잎, 줄기 등 발생되는 부산물은 수확량의 약 30%에 해당되는 189,695 톤으로 추정되며 대부분 노지에 방치 유실되거나, 소각 처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단순 폐기되는 농업폐기물을 재활용한 고형연료 제조에 필요한 건조장치를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건조용량 100 kg/hr인 실험실용 건조기를 제작하였다. 경상남도 진주시 농업기술원 온실에서 재배되는 파프리카, 토마토, 딸기, 가지, 고추 등의 부산물을 실험원료로 사용하였다. 원료성상, 원료이송방식, 송풍량, 건조온도, 건조시간에 따른 부산물 건조특성을 파악하였다. 원료를 비교적 짧게 절단하고 열풍이 배출되는 다공판위를 견인형 컨베어로 이송시키는 형태의 경우 건조실험 결과 세절된 원료에서 추출된 내부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어 원료들 사이의 공극을 채워 건조공기가 원료층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특히 $100^{\circ}C$ 이상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 원료표면에 잔류하는 유출 수분이 건조되면서 막을 형성하여 내부 원료들은 전혀 건조가 되지 못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원료내부의 공극형성 불량으로 국부적으로 공기가 통과되는 부분만 집중적으로 급격한 건조가 진행되고 공급된 건조공기 대부분이 이 부분으로 유출되어 효과적인 건조가 전혀 진행되지 못하였다. 피건조물 사이의 공극형성을 위해 원료를 절단하지 않고 수행한 건조실험 결과 건조 풍량 및 온도에 따라 건조속도 및 처리용량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송풍량과 압력을 증가 시킨 건조 결과로 건조 상하층 간 불균일 건조 해소 및 건조속도, 건조능력에서 연구목표 치를 상회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특히 건조공기온도 $150^{\circ}C$ 이하에서 풍량을 증가시켜서 원하는 건조작업 수행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Various Drying Methods of Agar-gel on Dried-agar Quality (한천(寒天) 추출물(抽出物)의 건조방법(乾燥方法)에 따른 한천(寒天)의 품질(品質))

  • Rhee, Chul;Bae, Song-Hwa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16 no.1
    • /
    • pp.78-82
    • /
    • 1984
  • Effects of various drying conditions of agar gel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agar were investigated. For drying of the agar gel$(1.0{\times}1.0{\times}34.0cm)$ by means of sun drying, simple solar drying, hot-air drying ($30^{\circ}C$, control, natural convection), hot-air drying ($30^{\circ}C$, pretreatment, natural convection) and freeze drying, it took 96, 75, 67, 50 and 21 hours, respectively. The gel strengths of dried agar gel prepared by sun drying, solar drying, freeze drying and spray drying were320, 370, 270 and $360g/cm^2$, respectively and that of hot air-dried agar gel was influenced by drying temperature, pretreatment an mode of heat transfer. The gel strength, the gelation temperature and other quality index of spray-dried agar were not inferior to those of sun-dried agar, but it was not expected to be economical because of it recovery rate. In case of hot air drying, the gel strength value of agar increased as the drying rate increas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ous products were noted in the gelation temperature, the melting temperature, the ash and $SO_3$ content.

  • PDF

Protective Effect of Dried Mackerel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에 대한 건조 고등어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 Kim, Kwang-Hyuk;Choi, Myoung Won;Choi, Hyang Mi;Lim, Sun-You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3 no.9
    • /
    • pp.1140-1146
    • /
    • 2013
  • The effect of dried mackerel extract o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cytokines, including interleukin-6 (IL-6),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nterferon-${\gamma}$ (IFN-${\gamma}$), was investigated. All extracts and fractions from dried mackerel significantly reduced NO production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Among the extracts, acetone+methylene chloride (A+M), n-hexane, and 85% aqueous methanol (MeOH)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s. The 85% aqueous MeOH fraction at a concentration of $10{\mu}g$ significantly decreased LPS-induced IL-6 and TNF-${\alpha}$ production after 6 hr of incubation. In the case of LPS-induced IFN-${\gamma}$ production, the 85% aqueous MeOH fraction decreased the production of IFN-${\gamma}$ afer 6, 24, and 72 hr of incub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results show that an 85% aqueous MeOH fraction inhibits the production of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TNF-${\alpha}$, IFN-${\gamma}$), suggesting that this fraction acts as a potent immunomodulator.

Development of a Commercial Process for Micro-Encaps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Using Sodium Alginate (알긴산 나트륨을 이용한 유산균 캡슐화의 상업화 공정 개발)

  • Kim, Jiyeon;You, Seong-si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5 no.3
    • /
    • pp.313-321
    • /
    • 2017
  • We aimed to develop commercialization process of encapsulation which is superior in productivity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by using sodium alginate. Also, in the same process, sodium alginate with chitosan was used to encapsulate lactic acid bacteria with the same process and then the viable cell counts of the two encapsulated lactic acid bacteria were compared. As a test result of the fluidized drying process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it was found that the drying time was shortened by 15 to 20 hours compared to the freeze drying method, but the number of viable lactic acid bacteria was about 75% as compared with freeze drying. However, considering the cost and time of drying,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is possible by the fluidized bed drying method. When the number of viable cells of Ca-alginate capsule and Chitosan-alginate capsule were compar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about $1{\times}10^9$ or more bacteria in the former and about $1{\times}10^3$ in the latter. The lactic acid bacterium capsules prepared by the present technique were stable for 96 hours or more at pH 4.65 and 6.01, but disappeared within 1 hour at pH 7.07 and 8.35. This suggests that the disinteg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can be easily occurred in small and large intestine.

Varietal Differences and Drying Storage Effects for Some Treatment Conditions of EMS and MMS on Rice Seeds (수도종자에 EMS와 MMS의 처리조건에 따른 건조저장효과와 품종간차이)

  • Young-Sang Kim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12
    • /
    • pp.55-62
    • /
    • 1972
  • In order to study the biolgiocal effects of dry back following EMS (Ethyl methane sulfonate) treatment on seeds of 'Dunghan Shali' that belongs to indica-type rice with various presoaking(24, 36, and 40 hrs respectivily) and treatment time(l, 2 and 3 hrs respectivily), this experiment was done. Seedling heights of wet seeds presoaked for 36 hrs was only greatly decreased with EMS treatment compared with other periods. In germination rate of wet seeds, all of these damage was not changed. For the drying back seeds, otherwise, seedling height and germination rate were greatly reduced depend upon the time of treatment and presoaking as well as storage effects after drying back. Reduction patterns, both seedling height and germination rate, between 1 week and 8 weeks after dry back were quite similar. The other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tudy for the influences on the seedling growth as biological damage with EMS and MMS(Methyl methane sulfonate) treatments among different varieties. The indica-type rice varieties; Taichung Native No.1, Dunghan Shali and IR-8, were used as the experimental materials. From this trial som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Both seedling growth and germination rate on all varieties, used, MMS, treatment showed more toxic effects than those of EMS treatment. 2. Seeding growth injury of rice seeds dried back was increased gradually, and then was approached the maximum at 6-8 days after storing. In IR-s variety, otherwise, growth damage was appeared a little. Germination rate of these were quite smilar, even though chemical used is different and storage period was prolonged. 3. It was showed clearly that varietal differences of chemical mutagene treatments were recognized.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ast-cured AKD Emulsion (급속반응형 AKD Emulsion의 개발 및 적용)

  • Choi, Won-Hee;Shin, Jong-Ho;Park, Mi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18-226
    • /
    • 2002
  • 제지분야에서 중성 사이즈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지는 AKD emulsion의 사이징 효과의 발현속도가 낮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존 AKD emulsion에 추가 투입 사용함으로써 발현속도를 높여줄 수 있는 AKD 급속 반응형 정착제, 그리고 정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초지 시스템에서도 급속 경화가 가능한 급속 반응형 AKD emulsion을 개발 하였다. AKD 급속 반응형 정착제의 투입량 및 종이 건조시간에 따른 사이징 효과를 상용화된 정착제와 비교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보다 빠른 사이징 효과발현을 확인하였다. 정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서 급속반응형 AKD emulsion의 사이즈도 급속발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용화된 emulsion과 사용량에 따른 사이징 효과와 건조시간에 따른 사이징효과를 비교함으로서 사이즈도의 급속 발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Far Infrared Ray-Ceramic Dryer (원적외선 세라믹 건조기 개발)

  • Ju, Jin-Young;Shin, Yong-Deok;Ko, Tae-Hun;Lee, Jung-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1-172
    • /
    • 2008
  • 원적외선 세라믹 건조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탄화규소가 주원료로한 세라믹 발열판을 제작하여 건조기 내부에 설치하여 실험하였다. 발열판 장착위치에 따른 실험결과 위치는 큰 변수가 되지 않았고, 기존 5[kW]용량의 씨즈 히터를 2[kW]의 세라믹 발열판으로 대체하면서 에너지절약형 원적피선 세라믹 건조기를 제작할 수 있었다. 또한 발열판 자제 온도 분포를 측정한 결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온도 분포는 약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근일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사용에 따른 경년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90시간 동안 부하를 걸어 실험하였지만 발열판 자체의 저항이나 소비 전력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M-shaped Change of Radar Backscattering Coefficient on a Drying Tidal Mudflat Observed by Radarsat-1 SAR Images and a Laboratory Scatterometer Experiment (Radarsat-1 SAR 영상과 산란계 실내 실험을 통해 관찰된 조간대 갯벌 건조시 레이더 후방산란계수의 M형 변화)

  • Chae Hee-Sam;Lee Hoon-Yol;Cho Seong-Jun;Park No-Wook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75-78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Radarsat-1 SAR 영상과 조위자료, 증발자료 및 다편광 산란계를 이용한 개펄 건조 실내실험 등을 통하여 해수면 위로 노출된 자연갯벌이 증발과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때 레이더 후방산란계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개펄 건조 실내실험 결과, 후방산란계수가 증발시간에 따라 단순한 증가나 감소를 보이지 않았으며 갯벌의 구조와 배수, 증발, 건조 등에 의해 보다 복잡한 M자 형태(증가-감소-증가-감소)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M형의 변화는 증발시간에 따른 Radarsat-1 SAR 15개 영상의 후방산란계수 변화 양상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