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조과일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3초

Free Radical의 측정을 통한 감마선 조사 건조과일의 검지 (Detection of Gamma-Irradiated Dried Fruits by Measuring of Free Radicals)

  • 남혜선;이선영;양재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23-426
    • /
    • 2001
  • 건조과일의 방사선 조사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감마선 조사로 생성된 라디칼을 ESR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조된 바나나, 파인애플 및 피스타치오를 0, 0.5, 1, 2, 5 kGy의 Co-60 감마선을 조사한 후 이를 시료로 Bruker Win-EPR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방사선 조사된 파인애플과 바나나는 sugar radical의 전형적인 매우 복잡한 multiplet을 나타내었으며, 피스타치오의 신호형태는 singlet을 나타내어 비조사 시료와 확실히 구별되었다. 적용선량의 범위에서$(0.5{\sim}5\;kGy)$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라디칼의 농도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때 $R^2$값은 $0.9874{\sim}0.9974$의 범위로 매우 높았다. 또 이들 라디칼들은 상온에서 40일간 저장 후에도 관찰이 가능하여 건조과일의 유통 중 방사선 조사여부의 판별에 ESR spectroscopy의 이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PDF

감마선 조사 건조과일의 품질평가 및 물리적 판별 (Quality Evaluation and Physical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Dried Fruits)

  • 정재훈;정윤미;조덕조;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59-1564
    • /
    • 2012
  • 건포도(Thailand산), 건망고(Philippine산), 건무화과(Iran산)를 0~5 kGy로 감마선 조사한 후 총균수 및 기계적 색차를 측정하고 조사여부 판별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총 균수 측정 결과 3 kGy 이상으로 조사된 시료에서는 대부분 검출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나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건조과일의 색차 측정에서, 건망고의 색 변화가 방사선조사에 가장 민감하였다. PSL 측정 결과, 건포도의 경우 비 조사시료는 음성으로, 조사시료는 중간 값으로 확인되었고 건망고의 경우 모든 시료가 음성으로 확인되었으며, 무화과의 경우 5 kGy 조사시료만이 양성으로 확인되어, 건조과일의 경우 PSL 측정법은 screening 방법으로의 적용가능성이 낮았다. TL 측정 결과 건무화과의 경우 조사시료는 $150{\sim}200^{\circ}C$ 사이에서 특유의 발광곡선을 나타내었고, 신호 강도 또한 조사선량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TL 적용이 가능하였다. ESR 측정 결과 건포도와 건망고의 경우 조사시료에서 multi-component 신호를 보여주었고, 신호 강도 역시 조사선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ESR 적용이 가능하였다.

코덱스 식품 분류에서 식물성 가공식품의 원료식품 분류 (Primary Food Commodity Classification of Processed Foods of Plant Origin in the Codex Food Classification)

  • 이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18-428
    • /
    • 2022
  • 본 연구는 코덱스 식품분류에 포함된 식물성 가공식품에 대해 그 원료식품에 대한 코덱스 식품원료 분류 정보(그룹 및 subgroup)와 국내 식품원료 분류 포함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덱스 주요 가공식품 그룹별로 코덱스 분류 내용을 가공식품 그룹(분류 코드의 수/원료식품이 포함되는 식품원료 그룹 수/식품원료 분류에 포함되지 않은 원료식품의 수)로 보면, 건조 과일류(46/8/0), 건조 채소류(76/11/1), 건조 허브류(54/4/12), 곡류 도정 가공품(36/1/0), 차(19개 코드, 가공식품으로만 분류), 식물성 조제유(17/4/3), 식물성 정제유(34/8/9), 과일 주스(20/8/0), 채소 주스(3/2/0)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식품원료 분류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원료식품의 수는 건조 과일류 9종, 건조 채소류 14종, 건조 허브류 35종, 곡류 도정 가공품 0종, 차 6종, 식물성 조제유 3종, 식물성 정제유 9종, 과일 주스 2종, 채소 주스 0종이었다. 셋째 코덱스와 국내 식품 분류에 차이를 보이는 코코넛(코덱스는 열대과일뿐만 아니라 견과로도 분류), 올리브(유지종실뿐만 아니라 열대과일로도 분류) 그리고 코덱스 분류에서 특이점을 보이는 건조 고추(향신료로 분류, 건조채소류로 분류하지 않음), 토마토 주스(원료식품은 채소류, 주스는 과일주스로 분류), 생강(잎은 식품원료 분류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뿌리줄기는 향신료에 포함)과 같은 식품에 대해 코덱스 식품 분류를 활용하는 데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일.채소중 식이섬유의 분석법 검토 및 함량 분석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 Content in Some Fruits and Vegetables)

  • 이경숙;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7-323
    • /
    • 1987
  • 국내의 공업적 등급의 시판용 효소제를 사용하며 AOAC에서 공인된 enzymatic-gravimetric 방법에 따라 과일 4종류(사과, 배, 복숭아, 감)와 채소 4종류(무우, 상추, 배추, 배추김치)에 대한 식이심유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국내의 시판용 효소제를 사용하였을 때 AOAC가 추천하는 정제된 효소제에 대하여 효소역가 1/10, 반응시간 2배의 조건을 채택하여 과일 채소 중 식이섬유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 과일, 채소의 건조물중 식이섬유의 함량은 과일의 경우 총함량은 $9.4{\sim}28.8%$, non-cellulosic polysac-charide 함량은 $1.8{\sim}7.8%$, cellulose 함량은 $3.7{\sim}5.8%$, lignin 함량은 $1.3{\sim}11.3%$의 범위이었다. 채소의 경우 총함량은 $26.0{\sim}35.7%$, non-cellulosic polysac-charide 함량은 $12.3{\sim}14.4%$, celluose 함량은 $12.3{\sim}19.7%$, lignin 함량은 $1.4{\sim}7.4%$의 범위이었다. 과일, 채소의 건조물중 조섬유함량은 과일의 경우 $3.5{\sim}6.7%$, 채소의 경우 $9.1{\sim}13.8%$의 범위이었다. 따라서 과일, 채소중 조섬유함량은 식이섬유의 $12{\sim}50%$만이 정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