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재고택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건재고택 가랍집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Genjaegotaek Galabjib)

  • 김석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63-269
    • /
    • 2018
  • 아산외암마을은 지금으로부터 약 500년 전부터 형성된 마을이다. 예안이씨가 중심이 된 민속마을이며 국가민속문화재 제 236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현재 지역별 특성을 가지고 있는 초가의 원형이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그나마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 건재고택 가랍집의 건축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건재고택은 외암마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집 구성은 문간채, 사랑채, 안채, 사당으로 되어 있다. 안채는 'ㄱ'자형 집으로, 마주하여 튼'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사랑채 앞의 넓은 마당은 기암괴석과 백년된 소나무, 그리고 오래된 석탑 등과 연못, 정자 등이 있다. 대문 밖 서편에 ㅡ자형 초가집이 있다. 건재고택 가랍집은 하인집으로 ㄱ자형이다. 평면은 부엌-방-대청-방으로 구성된 초가집으로 그 원형이 잘 남아있었다. 건재고택 가랍집이 외암마을의 모든 초가를 대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향후 외암마을 초가의 유형별 분석 등을 통하여 이 지역의 초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때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정원유전자를 활용한 건재고택의 고증복원연구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Geonjae old House Garden Using Garden Genes)

  • 홍승훈;이혁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61-69
    • /
    • 2024
  • 아산 외암마을의 건재고택정원은 마을을 대표하는 설화산에서 비롯되는 마을의 풍수지리적 여건 및 마을을 관통하며 지나가는 인공물길 등과 더불어 마을의 경관을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으나,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유지되고 있는 부분도 있지만 많은 부분이 소실, 교란, 왜곡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외암마을의 주요 가옥에는 전통정원이 조성되어 있었지만, 건재고택의 정원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양식의 정원이 조성되어 서로 다른 정원문화가 하나의 장소에 공존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어, 근대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본연구에서는 건재고택의 정원에 대한 유전자 분석을 통해 과거의 모습을 예측하고, 그 결과에 대한 고증복원을 통해 건재고택의 정원에 대한 복원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또한, 문화재의 원형 복원에 있어 훼손은 최대한 지양하고, 문화재 보전관리의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과거의 사진과의 대조 및 현장고증의 결과, 건재고택의 정원은 왜곡과 훼손이 반복되어 예전의 모습과는 다른 형태를 갖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과거의 모습을 재현할 수 있는 복원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민속마을과 전통사찰 경내의 파초(Musa basjoo)식재 실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Musa basjoo Planting in Folk Village and Traditonal Temple)

  • 김영숙;노재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4-133
    • /
    • 2014
  • 조선시대 후기 그림 및 문헌에 등장하는 조경식물 파초의 식재 현상과 그 문화적 유풍이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가를 규명할 목적으로 문헌연구와 현장관찰을 통해 국가지정 문화재 민속마을과 전통사찰의 파초식재 실태를 파악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6개 국가지정 민속마을을 대상으로 한 식재 실태파악 결과, 아산 외암마을과 성주 한개마을 등 아주 한정된 정원에서만 그 유풍이 전해지고 있다. 파초가 식재된 정원은 외암마을의 경우 건재고택과 참판댁 그리고 설인방 등 3곳의 정원에서 발견되었다. 한개마을에서는 북비고택, 하회댁, 교리댁 진사댁 등에서 발견되었으며 주 식재장소는 사랑채와 안채 정면에 모아심기로 되어있다. 한편 파초식재가 확인된 전통사찰은 총 39개소로 나타났으며 파초식재가 현재 가장 성행하는 사찰은 통도사와 부속암자인 극락암으로 밝혀졌다. 파초가 심겨지는 사찰 전각과 그 위치는 대웅(보)전과 관음전 등 석가모니불과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의 계단 좌우에 모아심기형태로 대식(對植)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파초가 남방계식물인 점을 감안, 파초의 식재분포는 전라남도와 경상도 일원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이는 한반도의 등온선 분포와 상당히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특히 온량지수 $100^{\circ}$, 연평균기온 $12^{\circ}C$를 기준으로 식재분포가 결정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통건축물 창호의 주광성능 측정 및 전통한지의 광특성 평가 (Measurement of Daylight Distribution of Windows and doors in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and an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light on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 이순지;김유신;최안섭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6-3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전통한지의 주광유입 및 광특성 평가를 통해 차양장치로써의 가능성을 발견해 보고자 한다. 먼저 외암 민속마을의 건재고택을 실측하여 전통가옥에서의 한지창호의 주광성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광박스를 제작해 전통한지와 Roller Shade 패브릭의 광성능을 실험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통한지는 Roller Shade 패브릭에 비교하여 건축물의 환경 측면에서 직사일광의 유입을 차단하고 빛을 확산시켜 눈부심을 줄여주는 효용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건축의 사무소나 공동주택에서 전통한지창호의 주광특성을 이용하여 주광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창호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