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식가공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4초

건식분말화 장치설계를 위한 $U_3O_8$ 분말의 미세입자 유동해석 (Analysis on the flow of $U_3O_8$ powder for design of the voloxidizer)

  • 김영환;정재후;홍동희;윤지섭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4-457
    • /
    • 2005
  • Voloxidizer for hot cell demonstration that handle spend fuel of high radiation virulence in limited space should become a small size and not scatter in its exit. This study determine optimum velocity of $U_3O_8$ using Newton-Raphson Method. We have conducted fortran programing on the Newton-Raphson Method, obtained a theory results and, predicted optimum velocity 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U_3O_8$. We have conducted experimentation using acrylic experimental device for verification of theory method, sampled and analyzed using the particle size analyzer In the results, we have found maximum $5\~7\%$ error rate in the comparative value of theory and experimentation. Optimum velocity and experimental results of $U_3O_8$ for scatter prevention have applied for design of demonstration voloxidizer, and produced operation condition of voloxidizer.

  • PDF

건조 선삭의 최적 가공 조건 (Optimal Machining Condition of Drying Turning)

  • 장승순;이정익
    • 한국기계기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9-55
    • /
    • 2011
  • Recently, various efforts to make more speedy and precision machine tool to improve productivity and also various effort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 are going on, so that dry cutting in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needs environmental conscious design and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technique, is becoming a very important assignment to solve. Because dry cutting does not use cutting fluid, we need other methods that can be used instead of cutting fluid, which does cooling, lubricating, chip washing, and anti-corrosion. Especially, because turning is a continuous work, the consideration of tool life and surface roughness due to continuous heat and poor lubrication is important.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he consideration of how well the compressed air can work instead of cutting fluid, and also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 to select the optimum machining condition by the minimum numbers of experiments through the Taguchi method.

목모보드를 이용한 건식벽체시스템 개발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ry Wall System using Wood-wool Board)

  • 김대회;박수영;최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08-215
    • /
    • 2008
  • 기존의 목모시멘트보드는 폐목재칩을 이용한 낮은 품질의 시멘트보드였으나, 최근 목재를 섬유형태로 가공하여 제조되는 목모보드는 미관이 수려하고, 흡음 및 단열성이 우수한 내장재로 외국에는 널리 알려진 재료이나, 국내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함에 따라 고가이며 안정적 자재확보의 문제로 인해 다양한 방면의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2005년부터 국내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경제성 확보 및 자재의 안정적 공급이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이 모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모보드의 활용을 높이기 위하여, 목모보드의 일반특성, 난연성능을 평가하고 건식벽체로 구성하였을 경우 내화성능을 평가함으로써 그 활용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선형 이온 소스 적용을 통한 폴리머 소재의 표면구조 제어 (The surface morphology control of the polymeric material using a linear ion source)

  • 신민호;김병준;박영배;김도근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41.2-141.2
    • /
    • 2016
  • 디스플레이, 센서 등 전자소자는 소형화 단계를 지나 인체 부착형 소자로의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 인체 부착을 위해서는 민감한 피부에 장시간 부착시 무해성과 탈부착의 자유로움이 요구되기에 기존의 화학물질을 활용한 접착 방식에서 개코도마뱀 또는 딱정벌레 발바닥에서 영감을 얻은 자연모사형 건식 접착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폴리머를 이용하여 자연모사형 마이크로/나노구조 형성은 기계적으로 가공된 금형 몰딩과 후처리를 통한 매우 복잡한 공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폴리머 소재에 플라즈마를 활용한 나노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며, 건식 접착용 폴리머 소재(PMMA, PDMS)에 따른 표면구조 변화와 표면에너지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위해서 본 연구실에서 자체 개발한 선형이온소스를 활용하였으며 입사에너지, 노출시간, 사용가스에 따른 표면형상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을 활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처리조건에 따른 표면에너지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물접촉각 변화를 측정하였다. PMMA는 입사에너지, 노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쉽게 나노기둥구조가 형성되었으나, 과도한 입사에너지 또는 노출시간에서는 표면구조가 에칭되면서 무너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PDMS는 동일한 조건에서 주름구조 형태를 보였으며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주름구조의 간격이 늘어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나노 구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PMMA가 피부 부착형 접착 패치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탄화물(SiC, TiC, $B_4C$ ) 입자 강화 7075 Al 합금 기지 복합재료의 건식 미끄럼 마멸 거동 (Dry Sliding Wear Behavior of Carbide-Particle-Reinforced 7075 Al Alloy Matrix Composites)

  • 강석하;박형철;강신철;김용석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27-27
    • /
    • 2003
  • 무가압침투법으로 제조된 부피분율 10~24% SiC, TiC, B$_4$C 탄화물 입자강화 7075 Al 합금 기지 복합재료의 건식 미끄럼 마멸거동을 강화입자의 종류, 크기 및 부피 분율을 변수로 연구하였다. 미끄럼 마멸 시험은 pin-on-disk 형태의 마멸 시험기를 사용하여, AISI 52100 베어링강을 상대재로 상온 대기 중에서 실시되었다. 마멸특성의 분석과 마멸기구의 규명을 위하여 마멸면과 마멸단면을 SEM, ED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제조된 복합재료의 압축 시험을 통하여 측정된 항복강도와 가공경화지수는 서로 반비례하였고, 각 시편간의 경도 차는 크지 않았다. 마멸 시험결과, 크기 및 부피 분율이 7$\mu\textrm{m}$ !0%인 SiC 입자로 강화된 복합재료를 제외하고, 전체 복합재료 시편은 7075 Al 기지 합금에 비해 낮은 마멸 속도를 보였다. 10N 이하의 저하 중에서는 강화상의 종류와 상관없이 복합재료는 낮은 마멸 속도를 보였고, 25N 이상의 고하중에서는 TiC 입자강화 복합재료가 가장 낮은 마멸 속도를, SiC 입자강화 복합재료가 가장 높은 마멸 속도를 나타내었다. 강화 입자의 크기 및 부피 분율이 동일한 경우 SiC 입자로 강화된 복합재료가 가장 낮은 내마멸성을 나타내었다. 강화상의 크기 및 부피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미소 마멸에서 격렬 마멸로의 천이 하중이 증가하였다.

  • PDF

진동을 이용한 건식 마이크로-WEDM 에 대한 실험적 연구 및 프로세스 최적화 (Experimental Study and Process Optimization for Vibration-assisted Dry Micro-WEDM)

  • ;양승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5-222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of a vibration-assisted dry micro-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mu}$-WEDM) utilized in high precision and micro-manufacturing area. The assisted vibration was applied to the workpiece using a piezoelectric actuator, and high pressure air was injected directly into the machining gap through a nozzle. Investig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importance of input parameters and it was observed from experiment results that the width (kerf) of the cutting slot and the machining time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ir injection pressure and input energy. Moreover,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re exists an optim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chining time and input parameters including the air pressure and vibration frequency and amplitude. Central composite design based experiments were also carried out, and empirical models of the machining time and cutting slot kerf have been developed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o analyze and optimize the process.

폴리머의 표면형상 및 표면에너지 제어를 통한 건식 마찰 특성 연구 (Dry friction properties through the surface morphology and the surface energy control of the polymer)

  • 신민호;김병준;박영배;김도근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0-150
    • /
    • 2016
  • 디스플레이, 센서 등 전자소자는 소형화 단계를 지나 인체 부착형 소자로의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 부착형 소자에서는 접착력과 큰 마찰력이 필요하지만 마찰특성이 더 중요하므로 인체 및 물체의 마찰을 위해서는 다양한 표면에 대항하는 마찰 특성과 내구성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개코도마뱀 또는 딱정벌레, 말벌날개와 같은 자연모사형 건식 마찰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폴리머를 이용하여 자연모사형 마이크로/나노 구조 형성은 기계적으로 가공된 금형 몰딩을 통한 매무 복잡한 공정을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공정을 통한 마찰재 제작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활용하여 나노구조 형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며, 건식 접착 및 마찰용 폴리머 소재(PDMS(Poly dimethyl siloxane))에 따른 표면구조 변화와 표면에너지 및 화학결합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위해서 자체 개발한 선형이온소스를 활용하였으며 입사에너지에 따라 표면형상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을 활용하여 관찰하였다. 표면에너지 변화는 접촉각측정기를 활용하였으며, Tribology tester(Ball on disk)를 활용하여 마찰특성을 평가하였다. PDMS(Poly dimethyl siloxane)는 입사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주름형태 구조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표면에너지 및 마찰력 증가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플라즈마 처리 후 표면에너지 변화인 FOTS(Trichloro-(1H,1H,2H,2H- perfluorooctyl) silane) 처리를 통하여 표면에너지 감소와 마찰력이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나노구조에 따라 표면형상 및 표면에너지 변화에 따른 PDMS의 마찰력 변화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마찰재와 피부 부착형 접착 패치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가공경화와 산화층 형성에 의한 이상조직 저탄소강의 건식 미끄럼 마멸 거동 (Dry sliding wear behavior of plain low carbon dual phase steel by strain hardening and oxidation)

  • 유현석;김용석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9-152
    • /
    • 2006
  • Dry sliding wear behavior of low carbon dual phase steel, of which microstructure consists of hard martensite in a ductile ferrite matrix, has been investigated. The wear characteristics of the dual phase steel was compared with that of a plain carbon steel which was normalized at $950^{\circ}C$ for 30min and then air-cooled. Dry sliding wear tests were carried out using a pin-on-disk type tester at various loads of 1N to 10N under a constant sliding speed condition of 0.2m/sec against an AISI 52100 bearing steel ball at room temperature. The sliding distance was fixed as 1000m for all wear tests. The wear rate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weight loss measured to the accuracy of $10^{-5}g$ by the specific gravity and sliding distance. The worn surfaces and wear debris were analyzed by SEM, EDS and a profilomter. Micro vickers hardness values of the cross section of worn surface were measured to analyze strain hardening behavior underneath the wearing surfaces. The were rate of the dual phase steel was lower than the plain carbon steel. Oxidation on the sliding surface and strain hardening were attributed for the higher wear resistance of the dual phase steel.

  • PDF

초경 볼 엔드밀의 TiAlN 코팅 처리조건이 건식가공환경에서 고경도 강재의 절삭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iAlN coated Ball End Mill on Cutting characteristic of High Hardness Steels in Dry Condition)

  • 박동순;원시태;이영주;허장회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4-349
    • /
    • 2005
  • This paper is studied on the effect of TiAlN coated ball end mill on cutting characteristic of high hardness steels in dry cutting condition without coolant. KP4 steels[HRC32] and STD11[HRC60] heat treated steels wert: used as the workpiece and WC-Co ball end mill and single and multi layer TiAlN coated ball end mill were utilized. Results showed that TiAlN coated ball end mill were increased the cutting length than WC-Co ball end mill in the cutting speed$[245\~320m/min]$ about $2\~5$ times for KP4 steels and about $2.7\~4.3$ times for STD11 heat treated steels. The multi layer TiAlN coated ball end mill is good about $1.2\~1.7$ times for KP4 steels and STD11 steels than single layer coated.

  • PDF

반도체 웨이퍼 다이싱용 나노 복합재료 블레이드의 제작 (Fabrication of Organic-Inorganic Nanocomposite Blade for Dicing Semiconductor Wafer)

  • 장경순;김태우;민경열;이정익;이기성
    • Composites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49-55
    • /
    • 2007
  • 반도체 쿼츠 웨이퍼 다이싱용 블레이드는 마이크로/나노 디바이스와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고정밀도의 가공성을 요구한다. 따라서 균일한 마이크로/나노 선폭의 가공을 위해서는 블레이드의 제작 단계에서 균일한 두께와 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실리콘웨이퍼 가공을 위해서는 금속의 블레이드가 사용되고 있지만 쿼츠 웨이퍼 가공을 위해서는 고분자 복합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복합재는 가공성, 전기전도성, 그리고 적절한 강도와 연성 및 마모저항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건식성형 공정으로는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공정과 비용이 소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전성 나노 세라믹스 분말, 연마재 세라믹스 분말에 열경화성 수지, 전도성 고분자를 혼합한 복합재 분말을 습식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복합재 분말을 액상과 혼합하여 블레이드를 제작하였으며, 액상의 종류, 액상 건조공정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평가는 마이크로미터 측정기와 현미경을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였다. 두께편차와 기공률, 밀도, 경도, 등의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습식성형에 의해 블레이드의 두께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경도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