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폐기물 원단위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건설공사 공정별 건설폐기물 발생량 비교 및 폐기물 발생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Comparison of the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by the Project and the Estimation of the Waste Generation Unit)

  • 송태협;성진욱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427-434
    • /
    • 2017
  • 건설폐기물의 발생은 해체단계와 신축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폐기물은 해체단계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 신축 건설공사가 연간 150조 규모로 확대됨에 따라 신축공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건설폐기물 배출이 많은 건축공사의 규모가 100조를 초과함에 따라 신축현장에서의 건설폐기물 발생량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신축현장은 해체공사 현장과 달리 발생된 폐기물을 성상별로 분리하여 배출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이물질 함량이 적게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축현장의 건설폐기물 성상별 발생량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설폐기물 발생 원단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발생 원단위가 콘크리트와 혼합폐기물 중심으로 되어 있어 합성수지, 폐목재, 폐보드류를 추가적인 항목으로 설정하여 원단위 설정을 하였다. 원단위 조사는 총 공사 기간별 발생하는 성상별 폐기물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신축건설현장은 초반 30%까지와 70% 이후의 공정에서 대부분의 폐기물이 배출되는 것으로 보사되었으며, 혼합건설폐기물의 비율이 45%로 높게 나타났다. 원단위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산출한 결과는 기존의 표준 품셈에 비하여 약 1.9배의 폐기물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축아파트 현장의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개발을 위한 자재별 폐기물 수량 예측 방법: 건축공사 내역서의 투입 물량을 중심으로 (Estimation Method of Waste Amount from Materials to Develop Generation Rates of Construction Waste in New Apartment Construction Sites: Focused on Bill of Quantities for Architectural Works)

  • 정종석;송상훈;박성식;이석제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1호
    • /
    • pp.41-51
    • /
    • 2014
  • 국내 신축 공동주택 건설은 2002년 11% 이상의 증가를 기록한 후 매년 3~4% 대의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공공부문의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폐기물 분리발주제도에 의한 최초 발주물량과 실제 발생물량의 과다한 차이가 발주자와 수급인 사이에서 빈번하게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현장 환경관리 미흡, 초기 계약물량의 과소 등 다양한 원인이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건설폐기물 수량 예측에 적용되는 발생원단위 기준에 대한 개정 요구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현행 원단위는 2000년대 초에 수립되어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롭게 적용되는 자재와 공법으로 인한 폐기물 발생 유형과 수량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다 정밀한 신축아파트 폐기물 발생 원단위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현장의 공종별 폐기물 발생 유형과 수량 예측방법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에서 2013년 사이에 착공한 신축 아파트 10개 현장의 건축공사 내역서를 확보하고, 건설폐기물 전문가와 현장 폐기물관리 담당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각 내역항목에서 발생가능한 폐기물 유형과 실질 할증률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설공사부터 지급자재부문까지의 건축공사 내역항목별로 정리한 폐기물 발생여부와 유형, 수량예측 시 반영여부, 손실률 등의 자료는 향후 보다 현실적인 데이터에 근거한 간접추계방식의 원단위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건설폐기물의 원단위 산정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ng Units of Construction & Demolition Debris)

  • 김효진;김창학;이철규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00-503
    • /
    • 2004
  •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복지 및 생활여건의 개선에 따라 재개발 $\cdot$ 재건축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맞추어 건설공사의 규모 또한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재개발 재건축 등의 활성화로 인하여 도심지 해체공사가 증가함에 따라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이 대폭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건설폐기물의 적정관리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 되어 가고 있으나, 발생 폐기물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통주택의 해체물량을 정확히 예측학 수 있는 건설폐기물 원단위 산정 기준을 제시한다. 이것은 해체공사 시 발생 가능한 건설폐기물을 손쉽고 정확히 예측할 수 있으며, 이것은 국가 폐기물 정책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공동주택의 분별해체를 위한 부위별 원단위 산정사례연구 (A Case Study of Estimating Units of Deconstruction Waste by Each Parts for the Apartment)

  • 김창학;이경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1D호
    • /
    • pp.73-81
    • /
    • 2008
  • 향후 국내의 주택건설 산업은 신규 택지개발에 의한 주택공급 방식보다는 기존 주택의 재개발 및 재건축에 더 큰 비중을 둘 수밖에 없으며, 현재 그러한 추세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또한 재고주택 중 공동주택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유지보수, 리모델링 및 재건축은 주거지의 슬럼화 방지, 건물성능 저하에 따른 재난방지 등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분야가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재개발 재건축 등의 활성화로 인하여 도심지 해체공사가 증가함에 따라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이 대폭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건설폐기물의 적정관리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 되어 가고 있으나, 발생 폐기물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해체물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원단위 산정 기준을 제시한다. 이것은 해체공사시 발생 가능한 건설폐기물을 손쉽고 정확히 예측할 수 있으며, 이것은 국가 폐기물 정책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원단위를 활용한 공동주택의 건설폐기물 산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 및 사례분석 (A Case Study and Development of Computing System of Construction Waste for an Apartment by Using the Estimating Waste Units)

  • 김창학;김효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D호
    • /
    • pp.607-614
    • /
    • 2012
  •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최근의 추세에서 해체산업은 자원의 재활용이나 재생측면에서 중요성이 더욱 커져가고 있다. 주택건립 및 기존주택현황을 고려할 때 해체시장의 규모는 계속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해체폐기단계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을 정확히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 하다. 그러나 국내에는 이러한 폐기물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의 개발이 미흡하고, 또 이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및 단독주택 등의 건설폐기물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 원단위를 개발하였다. 본 원단위는 공동주택의 도면을 실측 분석하여 원단위를 산정한 후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회귀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전산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의 적절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회귀모형은 공동주택의 바닥면적 및 세대수를 근거로 22개 폐기물을 비교적 쉽게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모형은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재개발, 재건축 등에서 발생 가능한 폐기물을 정확하고 쉽게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체물량의 정확한 산정과 예측은 건설폐기물관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공동주택의 분별해체 시험시공을 통한 건설폐기물 발생량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Generated Construction Waste Quantities in a Case Study for Deconstruction of an Apartment)

  • 김효진;강인석;김창학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63-70
    • /
    • 2014
  • 건설폐기물의 재활용과 재사용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분별해체 공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시험시공을 실시하였다. 먼저 해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건설페기물을 건물의 각 부위별로 조사하였다. 해체대상 건물의 도면을 작성하고 이 도면을 분석하여 각 건설페기물의 발생량을 예측하였다. 공동주택의 한 빌딩씩 분별해체와 일반해체과정을 실시하면서 이 과정에 투입되는 인력 및 장비의 소요시간을 측정하고, 또한 각 해체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을 정밀 계측하여 이것의 체적, 단위중량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자료의 분석을 통해 도면분석 결과와 현장에서 발생된 건설페기물의 양을 비교분석하여 현장 회수율, 체적 및 중량 환산계수, 폐기물 원단위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계수는 건설페기물의 발생량 예측과 운반비 산정, 작업 공정계획 수립 등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시멘트 산업에서의 자원재활용

  • 오재현
    • 세라미스트
    • /
    • 제20권1호
    • /
    • pp.103-118
    • /
    • 2017
  • 1. 2014년도 우리나라 전체 폐기물 발생량은 146,607천 톤이며, 건설폐기물이 46.2%(67,644천 톤), 사업장 일반폐기물이 38.1%(55,914천 톤), 생활폐기물이 12.4%(18,219천 톤), 사업장 지정페기물이 3.3%(48,810천 톤)을 나타내고 있다. 2. 건설폐기물의 97.9%, 배출시설계 폐기물의 77.3%, 생활폐기물의 67.0%, 지정폐기물의 57.3%가 재활용되고 있다. 3. 2015년도 우리나라 시멘트산업에서 18,801천 톤의 순환자원을 재활용하였다. 폐기물이 6,136천 톤이고, 부산물이 12,665천 톤이다. 부산물은 11,000천톤이 제철슬래그이고, 1,600천 톤이 폐석고(탈황석고 중화석고)로 추정된다. 그리고 폐기물 6,136천 톤은 사업장 일반폐기물의 약 11.0%에 해당된다. 4. 시멘트 톤당 순환자원 사용량(재활용 원단위)은 일본이 400kg/톤 이상이고 우리나라는 300kg/톤 대를 나타내고 있다.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재활용량/톤이 많은 이유를 다음에서 찾을 수 있다. (1) 고품위 석회석 원료 (2) 법 제도(지원금 포함) 5. 원료 대체율의 산출은 다음 두 산출방법으로 나타낼수 있다. (1) 이론적인 원료 상한 대체량에 대한 실제 원료 대체량 (2) 이론적인 원료 조합량에 대한 실제 원료 대체량 2015년도 우리날 전체 원료 대체량(17,770천 톤)은 (1)에 의한 대체율 : 71% (2)에 의한 대체율 : 27% 6. 자동차 슈레더 더스트(ASR)를 시멘트산업에서 자원화 하게끔 ASR처리의 보완 및 법적지원(지원금 포함)이 요망된다. 7. 부산물 및 폐기물의 자원화는 시멘트산업에서의 이용이 가장 우수한 장점을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시멘트산업에서 폐기물의 자원화를 적극 추진하게끔 제도의 보완 및 시설지원 등 정부의 대책수립이 간절하다.

건설폐기물 자원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발생원단위 적용에 관한 연구 (The Investigation on Application of Construction Waste Unit to Establish Resource Recycling System through Case Study)

  • 손병훈;홍원화
    • KIEAE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181-186
    • /
    • 2010
  • Research on construction waste unit was in progress in the 1995 when 'Proper Disposal and Recycling Measures for Construction Waste' was made by the Seoul Development Institute. Such an effort has been made in order to cope with the lack of natural resources in Korea and to utilize the reusable resources. Furthermore, these efforts have also increased due to the improved standing of Kore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 large number of residential buildings were built in the response to the government's policy by increasing the supply of houses between the 1970's and 1980's. In 2000, more reconstruction and redevelopment was done because of the aged buildings and change of use for those buildings. And the project has been actively promoted until now, which caused a sharp increase in the generation volume of construction waste. In Korea, 8 kinds of construction waste unit, including the standard construction manpower and materials estimation, are introduced. Currently, they provide standards to different building categories and waste properties while for construction sites different standards are applied.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actual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after sample buildings are dismantled and analyzes the estimation of the waste quantity by using various standard units. Through comparison, this study will figure out the differences among the standard units in order to find out how to apply the standard units properly. Moreover, this research will provide practical measures to apply such units to construction sites.

건설폐기물의 물량 자동화 산정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Automatic Quantific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 김창학;김효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43-746
    • /
    • 2007
  • 현재 국내에서는 많은 경제성장과 생활여건의 개선에 따라 기존주택의 재건축과 재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중 건설폐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더 커져가고 있다. 따라서 정부나 민간에서는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정확히 예측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노력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폐기물의 발생량을 예측하기 위한 기준의 미비로 인해 많은 사회적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쉽게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그 방법으로는 원단위 할용, CAD도면의 활용, 3D object의 활용과 같이 현장여건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모듈은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개별 모듈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