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통합관리

검색결과 633건 처리시간 0.042초

항만건설사업관리시스템 통합화 (Integration for Port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 정성윤;김영진;김태학;옥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1-432
    • /
    • 2013
  • 본 연구는 기존에 운영 중인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 시스템 운영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을 통합화하였다. 도로와 항만 건설사업관리는 대상목적물만 다르고 기본적인 업무프로세스는 유사하다. 따라서 통합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안정적으로 통합화하기 위해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을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도로건설사업관리시스템으로 통합하는 방식으로 추진하였다. 도로건설사업관리시스템은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보다 시스템 사용이 쉽고 편리하며 건설사업관리 업무프로세스 지원 및 관리기능이 안정적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시스템 통합화 과정에서 겪었던 애로사항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타 시스템을 통합화할 경우에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면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통합 건설관리 환경과 일관된 정보처리 체계의 구현 (Advanced Construction Management through an Integrated Information Control Environment)

  • 문성우;김용범;김영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137-142
    • /
    • 2003
  • 경제${\cdot}$사회적 개발에 투자할 수 있는 한정된 국가자원을 고려했을 때 공공사업을 위해서 투입되는 자원은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배분되어야 한다. 건설관리는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사항에 따라서 건설사업의 최적화라는 개념으로 도입되고 있으며, 통합 건설관리 환경은 정보화 환경의 구현으로 건설관리를 선진화 시킬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감독원과 시공사가 계약 상의 업무를 추진한 때 생성되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건설관리 환경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할 건설관리는 건설 CALS에서 목표로 하는 발주처, 시공사, 용역사 등을 포함한 건설 e-비즈니스를 구현함으로써 건설사업의 추진 시 정보 처리의 효과를 높이고, 일원화된 정보 처리로 자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라이프싸이클 각 단계에서 생성되는 건설정보를 일괄되게 관리하기 위해서 XML을 중심으로 한 데이터의 조회와 저장이 가능하도록 고려해야 하며, 향후 예상되는 건설 B2B 환경에 대응해야 한다. 한국수자원공사의 수자원 건설통합정보관리시스템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통합 건설관리 환경은 기간 시스템과의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서 전략적 기간 시스템으로 설계${\cdot}$구현될 수 있다. 국내 건설사업이 시공 분야에 있어서 갖고 있는 장점을 극대화하기 인해서는 건설관리의 고도화가 필요한 바 통합 건설관리 환경의 도입을 통해서 경쟁력의 획기적인 발전을 도모해야 하겠다.

  • PDF

건설표준 ERP템플릿 개발 사례 (A Development the Standard of Construction to ERP Template)

  • 이민남;오동환;권오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939-942
    • /
    • 2003
  • 본 연구과제는 건설업체의 현재 문제점은 각 업체별로 상이한 분류 및 식별코드체계를 사용, 품목표기방식, 속성 포맷의 불일치, 용어와 단위의 불일치, 현 업계에서 사용하는 코드 분류체계는 호환이 되지 않고 국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부적합한 실정이다. 따라 기존의 통합정보시스템과 별개로 관리 운영이 이원화되어 오던 각종 건설정보를 건설CALS/EC 핵심기술을 적용하며 건설표준 ERP 템플릿시스템을 개발 할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표준 ERP 템플릿시스템과 건설통합분류체계의 표준코드의 연계로 건설CALS/EC 핵심기술이 적용된 건설표준ERP(통합DB)를 구축과 건설공사의 물량산출 데이터의 체계화된 물량예측과 물량공정의 통합화와 설계정보, 시공정보 및 관리유지정보의 연계하여 그리고 현장관리 및 원가관리정보의 통신망접속으로 건설통합정보를 제공한다.

  • PDF

Work Packaging Model의 개선을 통한 공정 - 공사비 통합모델 구축 (A Study on the Cost and Schedule Integration Model based on the Improvement of Work Packaging Mode)

  • 김양택;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권4호
    • /
    • pp.82-90
    • /
    • 2000
  • 낙후된 국내 건설관리기술을 선진화$\cdot$합리화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공정-공사비 통합관리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정부에서도 공정과 공사비의 통합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의 도입을 적극검토하고 있다 실제로 해외공사를 통해서 양성된 국내 공정관리 전문가들의 노력으로 최근 일부 공공기관의 건설사업에서는 공정-공사비 통합관리를 부분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그 기법 및 전산모델이 이론에 국한된 것이거나 국내의 특수한 여건을 수용하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활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국내 건설환경에 완전하게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관리의 정착을 지연시키는 국내의 특수한 여건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건설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공정-공사비 통합모델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 PDF

건설정보 분류체계에 의한 설계도서 통합 관리 방안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Documents and Drawings by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 서정헌;박성식;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589-592
    • /
    • 2003
  • 국내에서는 건설공사지원정보체계의 활용을 촉진하고, 건설공사의 제반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상호교류를 촉진하기 위하여 통합건설정보 분류체계를 제안하고 있으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의 미흡과 건설공사의 중요한 정보인 설계도서의 체계적인 통합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Database : DB) 중심의 전산관리시스템의 구축미비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활용과 설계도서의 체계적인 통합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데이터베이스 설계하고 이를 웹(Web)기반에서 관리할 수 있는 설계도서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 하였다.

  • PDF

비용$\cdot$일정 통합관리를 이용한 자원소요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by Integrating Schedule and Cost)

  • 송영웅;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06-113
    • /
    • 2003
  • 건설 프로젝트의 자원관리는 공사원가의 절감, 건축물의 공정 및 품질확보에 직접적으로 관계되어 이외의 공사관리요소와 함께 매우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자원소요계획은 공사초기에 수립되고 고려요소가 다양하여 전사적 차원의 자원소요계획을 수립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관리자간의 정보단절로 실적정보관리가 불가능하다. 건설공사의 유기적 관리를 위해서는 각 관리요소의 체계적 구성이 필요하며, 각 관리간의 사업수행정보와 실적자료의 주기적인 갱신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현장변동상창을 반영하고 효과적인 자원소요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비용 일정 통합관리의 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원소요량 산출근거를 명확히 하고, 효율적인 자원소요계획체계를 구성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용$\cdot$일정 통합관리를 이용한 자원소요량 산출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비용$\cdot$일정 통합관리를 이용한 자원 조달관리 업무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자원소요계획 체계를 마련하였다.

공정${\cdot}$공사비 통합관리시스템의 실무적용 효율화 방안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for Practical Application)

  • 이우식;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500-503
    • /
    • 2003
  • 현재, 국내 건설업에서 공정과 공사비 정보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공정${\cdot}$공사비 통합관리시스템(EVMS)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일정규모 이상의 대형건설공사에 적용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EVNS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공사분류체계(WBS)를 연계하는 방법론을 제안하고 있으며, 또한 실무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방법론 기초한 웹기반 공정${\cdot}$공사비 통합관리시스템의 시안을 구축하였다.

  • PDF

건설정보공유를 위한 정부기관 통합 홈페이지 구축사례 연구 (Case Study of Local Government Homepage for Integrated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 강인석;이홍기;김현수;권중희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63-566
    • /
    • 2006
  • 일반적으로 건설정보 통합제공은 정부차원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국의 산재된 현장을 관리하고 통합된 건설정보를 제공하는 정부차원의 홈페이지 구축은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지자체 최초로 구축하고 운영되고 있는 경상남도 건설정보 통합 홈페이지 구축사례를 소개하며, 이를 통하여 건설정보 홈페이지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 기능을 제시한다. 또한 유사 건설관련 홈페이지의 컨텐츠 비교분석을 통해 건설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주요 요구정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유사 사이트 구성을 위한 개선사항을 제안하며, 이러한 결과는 정부기관 건설정보 공유를 위한 기반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대형 건설업체 자재수급관리시스템 효율적 운영방안 (An Efficient Operation Scheme for the Material Procurement System in Construction Firms)

  • 김태겸;박종혁;박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299-302
    • /
    • 2003
  • 대형 건설업체에서는 전산화를 통해 구축된 통합관리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자재수급관리 분야도 그 일부분이다. 이러한 자재수급관리시스템은 건설업체마다 개별적인 체계와 방식을 달리하여 운영되고 있으나, 건설업체별 자재수급관리의 효율성 향상보다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성, 운영, 관리에 문제가 있다고 하겠다. 자재수급관리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일부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 시스템의 테두리에서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근본적인 처방이라 보기 힘들다. 대형 건설업체 자재수급관리시스템의 해결방안은 통합관리적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의 대형 건설업체에서 운영되고 있는 자재수급관리시스템을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해 시스템의 체계, 구성, 운영 및 관리의 실태분석을 통하여 시스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