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중장비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인공진동의 크기가 콘크리트의 강도와 물성에 미치는 영향

  • 정동호;이상은;임한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4.03a
    • /
    • pp.75-80
    • /
    • 1994
  • 지반의 진동은 크게 지진과 같은 자연적인 진동과 발파, 항타(piling) 및 중장비의 가동 등에 따른 건설진동 등 인공진동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 지반진동은 지상 구조물의 안전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양생(養生)중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강도 및 물리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중략)

  • PDF

Heavy Duty용 유성기어 감속기의 성능비교 해석

  • 김관수;김형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277-283
    • /
    • 1991
  • 일반적으로 건설중장비에 쓰이는 주행용 감속기의 종류에는 차동유성기구(Differential Planetary Drive), 2단유성기구(Two Stage Planetary Drive), 3단유성기구(Three Stage Planetary Dnive)가 있으나 전체적인 감속기의 성능 및 특성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않아 주행시스템의 국내개발이 미흡한 상황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1차적 해결책으로서 주행장치에 채용될 Heavy Duty용 유성기어 감속기를 차동유성기구 한개 모델과 2단유성기구 두개 모델을 시제품으로 제작하여 종류별로 동력전달효율과 감속기 내부 온도상승의 관점에서 그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建設機械分野에서의 熔接技術 應用現況

  • 전재각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0 no.4
    • /
    • pp.103-106
    • /
    • 1992
  • 건설기계는 우리나라의 산업발전과 성장해 왔으며, 또한 발전과정에서 기여한 바도 크다. 건설 기계의 수요는 1970년대 초부터 지하철, 고속도로등 사회간접자본 개발이 활발해 짐에 따라 건 설기계에 대한 투자나 내수가 성장하기 시작하여 1980년대 후반 국가 산업규모가 확대됨에 따 라서 크게 신장하여, 1982년 내수규모가 약 2100여대이던 것이 1991년에는 16,000여대로 증가해 왔다. 이 중 대표기종인 굴삭기가 전 건설중장비의 약 76%('91년도 금액비)를 점하고 있고, 또한 건설기계는 건설작업의 성역화에 기여해 왔으며 앞으로도 이 역할은 변함없을 것이다. 최근에는 건설기계의 안전성, 공정의 자동화, 로봇화 등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건설기계는 구조상 연강 후판(두께10-50mm)이 주류를 이루고 내마모부품이 많다. 구성부는 강판이 사용이나(총 중량의 약 30%)일부 주강과 단조품이 사용되고 있다. 경량화를 위하여 고장력강이 사용되고, 기어나 샤프트 등에는 합금강이나 탄소강이 쓰이고 있다. 생산공정은 자동화, 무인화가 추진되고 있고, 설계는 CAD/CAM화가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용접은 탄산가스 아아크 용접이 대부분이고, 일부 MAG또는 플락스 충전 와이어(FLUX CORED WIRE)를 사용하고 있다. 합금강 등에는 마찰용접이나 전자 비임용접이 활용되기도 한다.

  • PDF

건설안전리포트: 소통과 배려로 새로운 안전을 창출하는 현장 - 계룡건설 대전도안지구 동서대로(광로2-10호선) 건설공사 현장

  • Choe, Jong-Deok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60
    • /
    • pp.12-14
    • /
    • 2011
  • 대전 서남부 지역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도안신도시가 한창 개발주인 가운데 일부 아파트는 벌써 입주가 완료되면서 신도시로서의 면모가 차츰 갖춰지고 있다. 이 시기에 맞춰 교통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한 터널공사와 교야 공사도 함께 분주히 진행되고 있다. 오늘 찾은 현장이 바로 터널공사와 교량고사를 담당하고 있는 계룡건설 대전도안지구 동서대로 건설현장(현장소장 이기욱)이다. 총 연장 1.82km의 편도 4차선터널과 3백여미터의 교량 건설이 한창인 이 곳은 중장비가 연신 들락거리는 가운데 각종 차량과 인력이 유기적으로 들어가며 안전시공, 무재해 시공에 연염이 없다. "신바람 나게 즐기면서 재미있게" 일을 하고 있는 계룡건설 대전도안지구 동서대로 건설현장(이하 동서대로 현장)을 찾아 이들만의 안전 이야기를 들어 봤다.

  • PDF

Heavy Equipment Management Plan for BIM-Based Construction Project (BIM을 적용한 건설공사 중장비 투입 계획 방안)

  • Kang, Kyoung-Hwan;Kim, Sang-Hwan;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1-174
    • /
    • 2010
  • Recently, our construction industry progress using the BIM system in the construction designing part. However, there are not preparing government policy about BIM even if there are many good things using BIM system on planning of heavy equipment. Therefore, planning for a input system of heavy equipment using BIM will be a kind of first challenge in this part. However, we've tried using strength point of BIM system to make better condition of our construction fields. So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shorten the construction time and using heavy equipment effectively.

  • PDF

Design of Counter Shaft Automatic Transmission Gear Train Layout for Construction Vehicles (건설중장비용 카운터샤프트 자동변속기 기어열 레이아웃 설계)

  • Jung, G.H.
    • Transactions of The Korea Fluid Power Systems Society
    • /
    • v.6 no.3
    • /
    • pp.23-31
    • /
    • 2009
  • Counter shaft transmission is a popular automatic transmission power train in construction vehicles such as wheel loader and forklift. The gear train layout of counter shaft transmission is a very basic and important development stage because it affects the most of components design including hydraulic system and shift control algorithm, etc.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methodology for the gear train layout from the analysis of power flow path and clutch hook-up of the existing counter shaft transmission that is adopted in commercialized construction vehicles. Also, independent constraints for the meshed gear ratios are derived in order to realize forward 4-speed and reverse 3-speed gear ratio. The layout design principle proposed here was applied to the new original counter shaft transmission that is underdevelopment.

  • PDF

극한기후에서의 엔진 냉간시동(cold starting)과 관련된 트라이볼로지

  • 안효석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8 no.1
    • /
    • pp.1-6
    • /
    • 1992
  • 한$\cdot$CIS(구 소련연방) 관계 정상화에 따라 국내기업의 러시아 진출이 다각도로 검토되고 있다. 이에 즈음하여 국산자동차, 건설중장비류의 러시아 진출도 예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기술적으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부분중에 추운 기온하에서의 원할한 엔진시동을 빼놓을 수 없다. 따라서 본 해설을 통해 이에 대해 개략적으로나마 다루어 보고자 한다. 본 해설의 주된 내용은 러시아 과학원 산하 연구소로 시베리아 야쿠츠크(Yakutsk)에 소재한 비금속연구소(Insititute of Nonmetallic Materials)의 기술자료를 토대로 했으며 과학기술처 조사연구사업 결과의 일부임을 밝힌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DA-based Sensor Gateway for serial sensor device interface (소음 측정용 유비쿼터스 시리얼 센서장치를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PDA기반 센서 게이트웨이의 설계 및 구현)

  • 송호근;서주홍;류대현;신승중;나종화;최만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799-801
    • /
    • 2004
  • 무선랜과 시리얼 통신장치를 지원하는 센서들을 활용하는 원격 소음(Noise) 계측 유비쿼터스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먼저 유비쿼터스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리얼 통신을 지원하는 테스터를 이용하였다. COTS (Commercial Off The Shelf) 개념을 활용하기 위하여 무선랜과 시리얼 통신을 지원하는 PDA를 메인보드로 사용하였다. 구현된 플랫폼은 건설용 중장비의 소음을 원격환경에서 계측하는 응용에서 활용되었다.

  • PDF

Design of an End-to-End Home Network Security frame for Heterogeneous System (무선 환경에서의 진동 소음 분석 시스템의 개발)

  • 이지용;류대현;신승중;나종화;김정태;최만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259-26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무선 랜과 시리얼 통신장치를 지원하는 센서들을 활용하여 무선 환경에서 원격으로 진동 및 소음을 계측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COTS (Commercial Off The Shelf) 개념을 활용하기 위하여 무선 랜과 시리얼 통신을 지원하는 PDA를 메인보드로 사용하였다. 구현된 플랫폼은 건설용 중장비의 소음을 원격 환경에서 계측하는 응용에 활용하였다.

  • PDF

Automated Vision-based Construction Object Detection Using Active Learning (액티브 러닝을 활용한 영상기반 건설현장 물체 자동 인식 프레임워크)

  • Kim, Jinwoo;Chi, Seokho;Seo, JoonOh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5
    • /
    • pp.631-636
    • /
    • 2019
  • Over the last decade, many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a number of vision-based construction object detection algorithms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on site monitoring. However, previous methods require the ground truth labeling, which is a process of manually marking types and locations of target objects from training image data, and thus a large amount of time and effort is being wasted. To address this drawback, this paper proposes a vision-based construction object detection framework that employs an active learning technique while reducing manual labeling efforts. For the validation, the research team performed experiments using an open construction benchmark datase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thod was able to successfully detect construction objects that have various visual characteristics, and also indicated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high performance of an object detection model using smaller amount of training data and less iterative training steps compared to the previous approach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reduce the manual labeling processes and minimize the time and costs required to build a training data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