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장비

검색결과 821건 처리시간 0.038초

효율적인 토공작업을 위한 건설장비 운영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Equipment Operating System for Effective Earthwork Operations)

  • 안서현;김성근;임소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153-166
    • /
    • 2017
  • 최근 건설공사는 개선된 건설장비의 투입과 기계화 시공에 적합한 시공법을 적용하여 경제적인 시공을 추구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에 공사관리자의 직관과 전통적인 방식으로 건설장비를 운영함으로써 생산성 및 경제적 측면에서 효과를 증대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의 각종 건설장비의 성능은 급속도로 발전되고 있지만 기계화 시공을 위한 관리방법 및 운영방법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기계화 시공으로 인한 효과를 최대한으로 누리지 못하게 된다. 전문가 설문에 따르면 전통적인 건설장비 운영방법의 문제점은 공종에 적합하지 못한 건설장비의 투입과, 실시간 작업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건설장비의 조합, 건설장비 운전자의 숙련도 저하와, 필요한 작업정보의 실시간 이용불가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건설장비 운영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건설장비 운영시스템은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필요할 때마다 건설장비 할당계획을 수립하고 이러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건설장비 운전자에게 전달함에 따라 건설장비군의 작업시간율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건설장비 운영시스템의 현장적용을 통하여 작업생산성 향상과 연료사용량을 감소함으로써 탄소배출도 저감할 수 있을 것이다.

저탄소 토공을 위한 솔리드 모델링 및 건설장비 플릿관리 방법론 (An Approach for Solid Modeling and Equipment Fleet Management Towards Low-Carbon Earthwork)

  • 김성근;김규연;박주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501-514
    • /
    • 2015
  • 토공작업은 모든 종류의 토목공사에 기본이 되는 공종으로 공기, 공사비와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토공은 그룹으로 형성된 다수의 건설장비들이 필요한 기계화 작업이며 건설장비로 인하여 많은 연료를 소비하는 작업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토공작업은 건설장비 운전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낮은 생산성, 높은 연료사용량 및 탄소를 많이 배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의 하나로 건설장비 플릿관리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건설장비 플릿관리 시스템은 효과적인 토공계획, 최적의 건설장비 할당, 효율적인 건설장비 운영, 빠른 정보교환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장비 플릿관리 시스템 구축시 필요한 주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토공작업을 위한 3D 솔리드 파라메트릭 모델 형성, 옥트리를 이용한 토량배분, 건설장비 플릿구성 및 운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건설장비 플릿관리 시스템의 효용성을 건설장비 가동률, 연료사용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측면에서 검증해 보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토공작업 건설장비 정보 인터페이스를 위한 정보 모델링 (Information Modeling for Construction Equipment Interface in Earthwork)

  • 문성우;조경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699-706
    • /
    • 2015
  • 건설공사에서 토공작업은 구조물이 시공될 공간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토공작업을 위해서는 다수의 장비조합이 필요하다. 이러한 장비들은 토공작업에 투입되어서 상호간에 협업을 통해서 성토 또는 절토와 운반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공작업에 투입된 건설장비 간 정보 인터페이스를 활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토공작업에 투입된 건설장비 간 정보 인터페이스를 분석하고, 속성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 모델링했으며, 모델링 결과를 기반으로 건설장비 협업체계를 지원하기 위한 건설정보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을 제시했다. 프로토타입 결과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토공작업시 처리되는 일반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장비와 장비간 정보 인터페이스를 표현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건설장비 사고예방을 위한 위험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A사 건설장비 사고사례 중심으로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anger Indicator for Preven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Accidents - Based on construction equipment accidents of A company -)

  • 김병용;호종관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9-15
    • /
    • 2021
  • 최근 건축물이 대형화, 복합화되고 다양한 공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건설장비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물론, 그에 따른 안전사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산업재해현황 발표자료에 따르면 건설업 사망사고 중 건설장비로 인한 사망사고 비율이 2009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범죄·교통 등 타산업의 안전분야에서는 평가지표 개발 또는 위험 지수 개발의 요구가 있어 정량적인 지수를 개발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반면에 건설장비는 재해사례를 분석하여 개선대책을 도출하는 연구는 되고 있으나, 위험 지수와 관련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고사례를 기반으로 현장의 건설장비 위험 수준을 선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정량적 지수를 개발하고, 현업에 활용 가능성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도로공사 공정계획을 위한 공정 로직 및 건설장비 효율화 방안 (A methodology for an effective utiliza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for highway construction projects)

  • 송호정;최재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26-34
    • /
    • 2014
  • 도로공사는 선형적이고 반복적인 공사로 공사의 특성상 건설장비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건설장비의 효율적 운용에 의한 생산성 향상 및 공사비 절감 효과가 크다. 또한, 도로공사는 시공순서, 현장상황, 적용 공법에 따라 다양한 건설 장비의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계획 시, 공종 간 연계에 따른 세부 작업 및 공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시공자는 현장조건에 맞는 작업을 선택하고 투입될 장비의 종류 및 성능, 수량 등을 사전에 파악하여, 적절한 건설장비 운용계획의 수립을 통한 경제성 향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한정된 유사 공사의 실적정보 및 체계적인 공사계획 방법의 부재로, 적정한 공정계획 수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공법 및 건설장비의 선정에 있어 대부분 경험과 직관에 의존한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그 결과 시공 이전 공정계획단계에서 수립된 계획은 실행단계에서의 충분한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그 활용도가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도로공사의 초기 공정계획 수립단계에서 적용가능한 주요 공종별 공정로직을 개발하고, 공종 별 세부 시공절차 분석을 통하여 현장상황 및 공종에 적용 가능한 건설장비 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정로직에 따른 다양한 건설장비 대안들을 대상으로 프로세스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경제성 기반의 최적화 장비조합 방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을 이용하여, 계획단계에서의 수립된 다양한 공정계획에 대해 효율성을 평가하고 최적의 자원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작업자의 휴리스틱을 적용한 토량배분 및 장비운영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Soil Distribution Method and Equipment Operation Models Using Worker's Heuristics)

  • 임소영;김성근;안서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551-564
    • /
    • 2016
  • 토공작업은 건설공사에 기본이 되는 공종으로 건설장비에 의한 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최적 토량배분 및 장비운용은 건설공사 생산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토공작업은 다수의 건설장비들의 협업에 의하여 진행되어지는 기계화 작업이며 건설장비로 인하여 많은 연료가 소비되는 작업이다.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토공작업은 건설장비 운전자의 경험과 직관에만 의존하여 작업이 수행되고 있어서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으며, 토공 작업 시에 많은 연료사용으로 인한 탄소배출은 환경적인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근래에는 토공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건설사업의 자동화 및 정보화 기술을 적용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토공작업을 위한 휴리스틱스(Heuristics)는 시간이나 정보가 불충분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하는 전문가의 노하우이다. 이를 의사결정 요소로 고려하여 토량배분 계획에 적용하였으며, 토량배분 계획에 의하여 형성된 작업패키지를 형성하고 해당 작업을 위하여 건설장비의 효율적인 작업경로를 생성하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수행을 통하여 제시된 방법론이 건설장비의 공간간섭 및 전체 이동거리 측면에서의 효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시스템을 적용하여 검증한 결과 건설장비의 공간 간섭률이 최소화되고 이동거리가 단축되어 생산성이 좋아지는 효율을 보였다.

건설 자동화 장비 도입을 위한 기술도입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Technology Adoption Impact Factors for Automated Construction Equipment)

  • 이치주;이강;심재광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56-64
    • /
    • 2013
  • 안전사고와 민원이 많은 건설현장에서 새로운 건설기술, 특히 자동화 장비가 적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자동화 장비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려하여야 하는 기술도입 영향요인들을 도출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영향요인들을 기술과 비기술 요인으로 분류하고, 기술요인을 사용성과 기능성 요인으로, 그리고 비기술 요인을 비용, 공사특징, 조직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각 영향요인들의 중요도와 실현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사용성과 기능성이 중요도와 실현 가능성이 모두 높은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영향요인들의 중요도와 실현 가능성에 대한 건설사와 장비 개발사의 관점 차이를 분석하였다. 사전관계와 운전자 태도, 구성원들 의지, 공사품질들은 모두 건설사가 장비 개발사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장비 개발사는 건설사와의 관점 차이를 인지하고, 건설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자동화 장비 개발 사전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건설공사 시 장비운영에 따른 소음특성 기초연구 (A Study on the Noise Characteristics about Equipment Operating under Construction)

  • 김낙영;강희만;김홍종;신용석;김창용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2호
    • /
    • pp.43-49
    • /
    • 2012
  • 건설공사장에서 사용하는 주요 건설장비에 대한 소음측정을 이격거리별로 수행하였다. 특히, 작업형태에 따라 변동하는 폭이 큰 건설장비에 대해서는 작업형태를 세분화하여 소음측정을 수행하였다. 무부하 및 작업이 이루어지는 시간 동안의 옥타브밴드별 'A'보정 등가소음도(Leq)를 측정하였다. 소음측정결과 대부분의 건설장비가 점음원의 특성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설생애주기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모델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stimation Model for Greenhouse Gas Emission in Construction Life Cycle)

  • 김태영;박희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7-108
    • /
    • 2012
  • 본 논문은 건설산업의 신뢰성 있는 온실가스 추정을 위해 건설단계에서 사용되는 장비, 자재 및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방법론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모델인 Road Construction Emission Model과 시설물탄소배출량 산정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건설장비만을 고려한 배출량 추정은 사용장비의 각종 특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자재 및 에너지사용에 따른 배출량 추정은 장비의 사용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토목공사에서 배제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건설산업의 온실가스배출량 측정은 장비의 사용 또는 자재 및 에너지사용에 따른 포괄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과 이를 위한 기반확충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건설장비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연도별 배출량 변화 추세 (Annual Trends of Exhaust Emission by Construction Equipments)

  • 신문기;최상진;송기봉;장영기;홍지형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5-196
    • /
    • 2001
  • 건설장비에 의한 대기오염 배출비중은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엔진(Compression-Ignition Engine) 특성상 많이 배출되는 NOx는 대도시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물질로 작용한다. 따라서 대도시 지역의 대기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배출량 산정과 경향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장비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연도별 변화(1987∼2000)를 살펴보고, 월별 배출특성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