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안전사고

검색결과 722건 처리시간 0.026초

건설현장사고의 공종별 위험요소 분석 및 재발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the Reoccurrence Prevention in Construction Site Accidents)

  • 허준규;최미르;오광진;신주열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6-2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토교통부로부터 위탁받아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건설사고조사위원회 사무국에서 '15년부터 축적한 총 90건의 건설현장사고를 대상으로 공종별 위험요소 및 재발방지대책을 key word 행태로 발굴하여 유사한 원인으로 재발되는 건설현장사고를 방지하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한 건설사고 모집단은 건설사고 전체를 대표하기는 어려우나 일정 규모 이상의 건설사고에 대한 분석 자료로 통계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보다 신뢰성있는 분석을 통한 피드백을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건설사고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제도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금번 분석된 내용은 현장에서 건설안전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건설안전정책 방향설정의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 기대효과 제안 (Proposal of Expected Effects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Control System)

  • 김덕진 ;;박광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44-647
    • /
    • 2023
  • 건설은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산업은 타 산업에 비하여 고위험 산업으로, 매년 많은 사고와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노동부 중대산업재해감독과에 따르면 2022 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발표 결과, 건설 사고 사망자는 341 명으로, 전체 산업재해 사망사고자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사회 변화와 다양한 경기 변동, 물가 상승에 따라 건설 공사 비용 절감을 위한 안정성 결여, 시공 품질 관리의 어려움, 근로자 안전 의식 부족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현장의 근본적인 안전문화의 정착과 함께,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다. 그리고, 건설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SCMS)의 기능과 적용 범위를 더욱 확대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다양한 연구와 데이터 수집과 분석 등 기술적인 연구와 함께 법과 제도에 대한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

건설현장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a Parts Evaluation Framework Using a Construction Site Digital Platform)

  • 신연철;문유미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102
    • /
    • 2023
  •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산업재해의 약 20~30%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위험성평가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모든 관리자 및 근로자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에 있다. 이를 통해 종합적인 안전관리를 실현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며,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 적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안전사고 미연에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가능하다.

  • PDF

소규모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관리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of Safety Manage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Construction Site)

  • 이상도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1-142
    • /
    • 2023
  • 소규모 건설 사업장에서는 한 사람이 과도하게 많은 관리영역에 대해서 책임을 져야하므로 특정 영역에 대해 집중적인 관리가 불가능하다. 실제로 이와 같은 소규모 프로젝트는 작은 규모로 인해서 정부의 관리 통제에서 면제되고 있는 바, 이는 소규모 건설 사업장에서의 안전관리와 안전관리에 대한 의식 수준이 낮은 주된 이유 중 하나이다. 정부는 그간 전국적 사고 발생 건수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매년 백여 명이 넘는 근로자가 건설현장에서 사망하고 있다. 이는 그간의 관리 방법으로는 일정 수준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함에 있어 상당한 한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건설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는 건축물의 대형화 복잡화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며 그 중 대형건설사는 지속적인 안전관리를 통해 안전관리 수준이 향상되었고 상대적으로 소규모 건설 사업장과는 안전수준의 격차는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안전 관리가 미흡하고 전체사고의 반 이상을 차자하는 소규모 건설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Bayesian Network를이용한 아차사고에 영향을 주는 민감요인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Sensitive Factors Influencing Acha Accident Using Bayesian Network)

  • 김상현;신연철;문유미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2-163
    • /
    • 2022
  • 기술발전에 따라 건설현장은 스마트 안전관리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의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22.1.27)이후 50인 이상 사망사고는87건(96명)으로 전년 동기109건(111명)대비22건(20.2%), 15명(13.5%)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국토교통부,2022). 반면에 단순비교지만 일본0.14%, 미국0.37%, 영국0.03%에 비해 한국의 재해율이 높으므로 다양한 안전관리활동의 과제가 남아 있다. 이에 아차사고 유형이 건설현장 특성간의 민감도모델 제시를 기반으로 근본적인 재해관리가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이루기 위해 국토교통부의 아차사고 발굴데이터를 분석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공사기간, 공사규모, 신체부위 등의 요인간의 아차사고 민감성요인에 대하여 Bayesian Network를 이용하여 아차사고에 영향을 주는 모델링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건설현장의 추락 및 접촉사고 방지를 위한 스마트 세이프티 센서 개발 (Development of Smart Safety Sensors to Prevent Falling and Contact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 이주희;안요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47-54
    • /
    • 2021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산업재해통계 보고서 최근 4년 동안의 자료를 확인하면 2017년부터 2020년 6월까지 건설현장의 재해자 수가 약 93,158명, 사망자 수가 약 1,977명으로 건설업이 재해율 총 3위, 사망률 총 1위로 높은 안전사고 추이를 보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전체 직업군에서 추락으로 인한 사망사고 및 접촉으로 인한 사망사고는 전체 사고 유형 중 3위 안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안전사고이다. 본 논문은 건설현장의 다양한 유형의 안전사고 중 발생 비율이 가장 높은 추락과 접촉 사고 두 유형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감지 장치를 개발하여 직접 현장 작업자가 경험하게 한 결과, 설문참여 작업자의 69.5%이상이 센서의 현장 적용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건설업 안전사고의 전체 비율을 감소하는데 일조 하고자 한다.

건설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개선과 공정관리와의 연계운영 방법 (A Study of Methods on Safety Checklist Improvement and Integrated Operation with Schedule for Construction Accident Prevention)

  • 양용철;최훈;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23-135
    • /
    • 2004
  • 건설공사에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안전조직, 교육, 점검과 평가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안전사고가 감소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관리자, 안전교육, 점검과 평가, 공정관리,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의 활용에 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에 따라 작업에 관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를 상세하게 사전에 작성하여 전산화하고 부가적인 정보를 연계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체크리스트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체크리스트와 공정표상의 작업과의 연계방법과 운영방법을 제시하여 체크리스트가 시간개념을 갖고 체계적으로 활용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물인터넷과 실시간 위치추적 기술을 활용한 건설 장비의 안전 사고 방지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utilizing IoT and RTLS technology)

  • 류한국;김태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79-186
    • /
    • 2019
  • 건설 현장의 잠재적 사고 파악은 건설업계의 주요 관심사이며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한 사전 안전대책이 필요하다. 한국산업안전공단에 따르면 특히, 장비로 인한 안전사고의 사망 비율이 2016년 기준 19.8%로 매우 높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4차산업에서 사물인터넷(IoT)은 스마트한 새로운 제조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현장에서는 IoT가 광범위하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IoT는 건설사고 관리에 더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운영체계의 구축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 장비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IoT 기반 건설 장비 안전 사고 예방 시스템을 제안한다. 향후 본 시스템의 개선을 통하여 작업자의 안전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장비와 인력 운용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이 건설근로자의 사전사후 안전과 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Smart Experiential Safety Education on pre- and Post-construction Safety and Unsafe Behaviors of Construction Workers)

  • 문유미;조춘환;김용훈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5-157
    • /
    • 2022
  • 기존의 안전교육 교수방법은 강의 방식으로 전달하고 있어 근로자의 참여를 이끌어내는데 한계점이 있으며,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배경/목적]: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은 건설현장에서 근로자들이 보다 더 빠르게 위험을 인지하고 여기에 맞는 안전작업 이행과 위험발생 시 응급대처 능력 등을 향상시키므로 사전사후 학습전이의 효과성을 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본 연구는 안전교육의 체험학습방법과 참여방법, 교육콘텐츠 접근방법을 통하여 근로자의 안전행동 유도와 불안전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검증이 목적이다. [연구방향/범위]:실제 건설현장과 동일하게 작업환경을 구성해 놓은 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시설에서 추락체험, 낙하물체험, 장비협착체험, 화재, 감전재해 등의 실제 사고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체험학습 방법과 가상(VR, AR, 메타버스)공간에서 간접경험 할 수 있는 참여방법을 다룰 것이다. 그리고 안전체험교육 사전사후의 분석을 통하여 안전 학습전이 성과를 분석한다. [연구 분석방법]:연구의 주요 변인으로는 Human-Error, 안전행동요인, 불안전행동요인, 위험감수성, 조직특성, 조직의 안전문화, 조직의 역량, 안전교육특성, 교육콘텐츠 변화가 사전사후 분석을 통하여 현장 작업 시 안전 학습전이의 효과성을 검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