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안전사고

Search Result 72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the Reoccurrence Prevention in Construction Site Accidents (건설현장사고의 공종별 위험요소 분석 및 재발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 Heo, Jun Kue;Choi, Mi Reu;Oh, Kwang Chin;Shin, Ju Yeo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Safety
    • /
    • v.1 no.1
    • /
    • pp.16-2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90 construction site accidents accumulated from 15 years ago by the Office of the High Level Investigation Committee of the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under consignment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construction site accident population used in this study is difficult to represent the entire construction site accident, but is considered to have statistical value as analysis data for a given size of construction site accident. The analysis is believed to be available on site as a basic data for securing construction safety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data for establishing future direction of construction safety policy.

Proposal of Expected Effects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Control System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 기대효과 제안)

  • Deok-Jin Kim;Min-Ji Seo;Kwang-You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644-647
    • /
    • 2023
  • 건설은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산업은 타 산업에 비하여 고위험 산업으로, 매년 많은 사고와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노동부 중대산업재해감독과에 따르면 2022 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발표 결과, 건설 사고 사망자는 341 명으로, 전체 산업재해 사망사고자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사회 변화와 다양한 경기 변동, 물가 상승에 따라 건설 공사 비용 절감을 위한 안정성 결여, 시공 품질 관리의 어려움, 근로자 안전 의식 부족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현장의 근본적인 안전문화의 정착과 함께,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다. 그리고, 건설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SCMS)의 기능과 적용 범위를 더욱 확대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다양한 연구와 데이터 수집과 분석 등 기술적인 연구와 함께 법과 제도에 대한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

Development of a Parts Evaluation Framework Using a Construction Site Digital Platform (건설현장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 Shin, Yeon-Cheol;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1-102
    • /
    • 2023
  •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산업재해의 약 20~30%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위험성평가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모든 관리자 및 근로자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에 있다. 이를 통해 종합적인 안전관리를 실현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며,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 적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안전사고 미연에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가능하다.

  • PDF

A Study on the Problems of Safety Manage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Construction Site (소규모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관리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 Lee, Sa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41-142
    • /
    • 2023
  • 소규모 건설 사업장에서는 한 사람이 과도하게 많은 관리영역에 대해서 책임을 져야하므로 특정 영역에 대해 집중적인 관리가 불가능하다. 실제로 이와 같은 소규모 프로젝트는 작은 규모로 인해서 정부의 관리 통제에서 면제되고 있는 바, 이는 소규모 건설 사업장에서의 안전관리와 안전관리에 대한 의식 수준이 낮은 주된 이유 중 하나이다. 정부는 그간 전국적 사고 발생 건수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매년 백여 명이 넘는 근로자가 건설현장에서 사망하고 있다. 이는 그간의 관리 방법으로는 일정 수준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함에 있어 상당한 한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건설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는 건축물의 대형화 복잡화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며 그 중 대형건설사는 지속적인 안전관리를 통해 안전관리 수준이 향상되었고 상대적으로 소규모 건설 사업장과는 안전수준의 격차는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안전 관리가 미흡하고 전체사고의 반 이상을 차자하는 소규모 건설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ensitive Factors Influencing Acha Accident Using Bayesian Network (Bayesian Network를이용한 아차사고에 영향을 주는 민감요인에 관한연구)

  • Kim, Sang-Hyun;Shin, Yeon-Cheol;Moon, You-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62-163
    • /
    • 2022
  • 기술발전에 따라 건설현장은 스마트 안전관리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의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22.1.27)이후 50인 이상 사망사고는87건(96명)으로 전년 동기109건(111명)대비22건(20.2%), 15명(13.5%)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국토교통부,2022). 반면에 단순비교지만 일본0.14%, 미국0.37%, 영국0.03%에 비해 한국의 재해율이 높으므로 다양한 안전관리활동의 과제가 남아 있다. 이에 아차사고 유형이 건설현장 특성간의 민감도모델 제시를 기반으로 근본적인 재해관리가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이루기 위해 국토교통부의 아차사고 발굴데이터를 분석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공사기간, 공사규모, 신체부위 등의 요인간의 아차사고 민감성요인에 대하여 Bayesian Network를 이용하여 아차사고에 영향을 주는 모델링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과천선 사당-금정간 복선전철 제4공구 현장의 터널구간 붕괴재해 원인분석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v.2 no.2 s.4
    • /
    • pp.82-104
    • /
    • 1992
  • 최근 지하철공사 발주량 증가에 따라 일부현장에서 붕괴사고가 발생되고 있고 유사사고의 발생가능성도 높아, 사고예방에 도움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번사고의 원인규명 및 보강대책을 제시한다. -편집자 주-

  • PDF

Development of Smart Safety Sensors to Prevent Falling and Contact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의 추락 및 접촉사고 방지를 위한 스마트 세이프티 센서 개발)

  • Lee, Juhee;Ahn, Joseph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2 no.1
    • /
    • pp.47-54
    • /
    • 2021
  • According to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s (KOSHA) report on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over the past four years, the number of casualties at construction sites from 2017 to June 2020 was about 93,158 and the number of deaths was about 1,977, showing a high trend of safety accidents among the eight major occupational groups, with the construction industry ranking third in total and the death rate being the highest in total. Among them, the number of deaths caused by falls in the entire occupational category is about 1,267, the highest rate of deaths due to contact is about 522, which is a frequent safety accident among the top three accident types. This paper aims to help reduce the overall proportion of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by developing smart safety sensing devices using ultrasonic sensors to prevent two types of safety accidents, which have the highest rate of occurrence among various types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A Study of Methods on Safety Checklist Improvement and Integrated Operation with Schedule for Construction Accident Prevention (건설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개선과 공정관리와의 연계운영 방법)

  • Yang Yong-Cheol;Choi Hoon;Kim Jae-J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5 no.2 s.18
    • /
    • pp.123-135
    • /
    • 2004
  • Construction accident have been increasing in despite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education in construction site. This study surveyed safety organization, education, safety management, scheduling, safety checklist with construction firms in order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A improved method is suggested that safety checklist is supplemented with various safety materials and then stored as database. Furthermore, safety checklists are connected and operated with schedule in ender to more efficiently prevent construction accidents.

Development of a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utilizing IoT and RTLS technology (사물인터넷과 실시간 위치추적 기술을 활용한 건설 장비의 안전 사고 방지 시스템 개발)

  • Ryu, Han Guk;Kim, Tae 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9
    • /
    • pp.179-186
    • /
    • 2019
  • Identifying potential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is a major concern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according to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he death rate of safety accidents caused by construction equipment is particularly high at 19.8% as of 2016. Although Internet of Things (IoT) has not been applied widely in construction sites, it can build an operating system that feeds accurate and useful information to construction accident management for identifying potential acciden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s an IoT- and RTLS-based construction equipment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which can be useful for preventing and managing safety accidents caused by construction equipment. Future deployment of such system would contribute not only to the safety of workers but also to efficient equipment and manpower operat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Smart Experiential Safety Education on pre- and Post-construction Safety and Unsafe Behaviors of Construction Workers (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이 건설근로자의 사전사후 안전과 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 Moon, You-Mi;Cho, Choon-Hwan;Kim,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55-157
    • /
    • 2022
  • 기존의 안전교육 교수방법은 강의 방식으로 전달하고 있어 근로자의 참여를 이끌어내는데 한계점이 있으며,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배경/목적]: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은 건설현장에서 근로자들이 보다 더 빠르게 위험을 인지하고 여기에 맞는 안전작업 이행과 위험발생 시 응급대처 능력 등을 향상시키므로 사전사후 학습전이의 효과성을 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본 연구는 안전교육의 체험학습방법과 참여방법, 교육콘텐츠 접근방법을 통하여 근로자의 안전행동 유도와 불안전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검증이 목적이다. [연구방향/범위]:실제 건설현장과 동일하게 작업환경을 구성해 놓은 스마트 체험식 안전교육시설에서 추락체험, 낙하물체험, 장비협착체험, 화재, 감전재해 등의 실제 사고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체험학습 방법과 가상(VR, AR, 메타버스)공간에서 간접경험 할 수 있는 참여방법을 다룰 것이다. 그리고 안전체험교육 사전사후의 분석을 통하여 안전 학습전이 성과를 분석한다. [연구 분석방법]:연구의 주요 변인으로는 Human-Error, 안전행동요인, 불안전행동요인, 위험감수성, 조직특성, 조직의 안전문화, 조직의 역량, 안전교육특성, 교육콘텐츠 변화가 사전사후 분석을 통하여 현장 작업 시 안전 학습전이의 효과성을 검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