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사업

Search Result 3,41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sis on the Water Level Variation due to Remaving the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Lower Han River (한강하류부 신곡수중보 철거에 따른 수위변화 분석)

  • Park, Jae Hyeun;Lee, Jong Jin;Park, Chng 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1-101
    • /
    • 2015
  • 1986년 한강종합개발사업으로 대규모 준설이 실시되고, 수위가 낮아지면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1988년 김포대교 직하류 지점에 신곡수중보를 건설하였다. 당시 수중보의 설치목적은 취수시설 유지를 위한 수위유지가 주요기능이었으나, 30년이 지난 지금 생활용수 취수시설은 잠실 수중보 상류로 모두 이전하였고, 농업용수와 일부 공업용수 등의 일부 시설만이 남아 있어 신곡수중보 시설의 필요성 및 현재 기능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신곡수중보 철거시 변화하는 한강 본류의 수위를 모의하기 위해 수리학적 모형인 HEC-RAS를 이용한 부정류 모의를 실시하였다. 모형의 보정을 위해 저수기를 대표하는 2014년 4월부터 5월까지 45일간과 풍수기를 대표하는 2014년 8월부터 9월까지 45일간을 모의하였다. 조위영향을 받고 있는 강화대교 관측수위를 기점수위로 선정하고, 팔당댐 유량을 유량조건으로 모의하였으며, 본류구간의 전류, 행주대교, 한강대교 지점의 실측수위와 모의결과는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곡수중보 철거시 평가를 위해 팔당댐 방류량이 최소가 되는 조건과 한강의 갈수량, 저수량, 계획홍수량 등 유량조건 변화에 따른 한강 본류수위를 비교하였다. 보 철거시 서해안의 조위영향이 잠실수중보 직하류지점까지 영향을 미치고, 일시적인 수위하강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보 철거에 의해 감조하천으로 변화되는 구간에서는 전반적인 유속이 증가하여,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신곡수중보 직상류 및 지천 합류부 주변의 퇴적문제와 수질 문제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신곡수중보 상류지역에서 잠실수중보 하류까지 발생하는 수위변화와 수면폭변화는 간조대 형성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여 한강변의 퇴적지 면적 증가 및 생태계 서식처 제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신곡수중보 하류지역의 수위는 현재보다 전반적인 상승이 예상되어 장항습지 면적이 일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홍수시 침식 및 퇴적이 가장 활발히 발생하므로 하상변동 등에 대한 면밀한 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홍수기 신곡수중보 구조물에 대한 평가 결과에서는 철거 시 한강 본류의 하천 수위가 일부 하강하는 것으로 모의되어 하천을 횡단하는 구조물이 홍수위 상승에 기여한다고 판단되므로 대안마련을 위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Policies for the Improvement of Groundwater Management (지하수 관리 선진화를 위한 정책제언)

  • Kim, Jinsoo;Lee, Gyu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31-331
    • /
    • 2016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가뭄의 발생이 잦아지고 그 기간은 늘어나고 있다. 특히 2015년에는 충남 서부 지역에 제한급수가 실시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올해에도 일부 지역에 가뭄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뭄에 대비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해수담수화 및 지하수와 같은 대체 수자원 개발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하수의 경우에는 단기간에 최소한의 비용으로 안전한 용수(用水)를 확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효용성이 높다. 그러나 지하수 역시 지표수와 마찬가지로 한정된 자원이며 생성과정에 상당한 시일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 활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고려가 필요해 보인다. 우리나라 지하수는 개별법에 따라 5개 중앙부처 및 지자체에서 소관업무별로 관리하고 있어, 체계적 관리와 자료의 통합 연계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본법 성격을 지닌 "지하수법"에서도 지하수 관리 등에 대해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법률에 따르도록 규정하여(법 제4조), 합리적 제도 개선에 한계가 있다. "온천법" 등 타법에 의한 지하수 개발 이용관련 인허가 사항을 "지하수법"으로 일원화하여 기본법으로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별 사업별 관리는 개별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등 체계적인 지하수의 개발 보전 정책이 필요하다. 국내 지하수 사용은 주로 관정(管井) 개발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무분별한 신규 관정의 개발은 지하수 고갈, 지반침하(sink hole)와 더불어 지하수의 수질 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관정 개발의 실패로 발생하는 실패공은 노후 관정 및 폐관정과 더불어 방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오염물질 유입으로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오염된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하여 수질을 복원하는데 오랜 시일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불용공(不用孔)을 원상 복구하는 등 지하수의 개발에서 사후조치에 이르기까지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국토교통부는 지하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지하수 기초조사', '지하수 수위변동 실태조사' 및 '지하수시설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지하수 기초조사는 "지하수법" 제5조에 근거하여 1997년부터 실시되고 있으나, 예산 및 인력 부족 등으로 2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조사가 마무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지하수 수위변동 실태조사는 "지하수법" 제17조 등에 근거하여 시행되고 있는 반면, 지하수시설 전수조사는 근거 법률이 마련되어 미비하다. 지하수시설 전수조사는 전국의 모든 관정, 집수정(集水井), 지하댐(underground dam) 등의 지하수 시설을 대상으로 실시되므로, 조사의 방법, 대상, 시행 절차 및 주기 등에 대한 규정 마련을 통해 관련 자료를 지속적으로 보완 관리할 필요가 있다.

  • PDF

Study on Rainwater Using in Smart Water Grid (스마트워터그리드내 빗물이용방안 연구)

  • Kim, Man Sik;Lee, Ho Seon;Jung, Seung Kwon;Lee, Su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61-261
    • /
    • 2015
  • 지금까지 빗물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은 모두 치수에 중심을 두어왔다. 즉, 빗물은 내리자마자 곧바로 하수도를 통해 방류수역으로 신속하게 배제해야한다 것에만 관심을 두어 왔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빗물을 버리고 배제하기보다 필요한 곳에서 집수하여 활용하거나 적절히 침투 또는 저류하여 물을 효과적으로 제어 관리해야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 및 공급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대체방안으로서의 빗물이용관리가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도시화 및 인구의 도서집중, 경제활동의 고도화 등 물 사용량이 증대되는 생활방식에 따라 물 공급 중단에 따른 피해 잠재성이 증가되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 과제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대체수자원으로서의 빗물을 이용한 수자원 확보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스마트 워터그리드 관점에서의 빗물이용방안을 제시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 대체수자원의 확보기술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수원을 통한 수자원 확보방안을 제시하고, 이 중 빗물을 이용한 수자원 확보방안에 대하여 스마트워터그리드 관점에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스마트워터그리드 내에서의 빗물이용을 통한 대체수자원 적용성 평가는 도서지역의 제한급수 등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과 산간 농업지역에서의 물부족으로 인한 농작물 생산활동의 저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자원확보를 위한 적정 빗물이용법 도출을 위해 최근 물 관리 패러다임의 변화를 고려한 정책사업으로의 접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노력, 정부-민간 협동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전문가의 활동방법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스마트워터그리드 체계구축을 위한 여러 요소기술 중 다중수원을 통한 용수확보 방안에서 빗물(우수)을 이용한 대체수자원 확보방안을 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서지역에서의 제한급수문제 해결방안과 산간 농업지역에서의 농업용수 확보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Railway Communication Policy Proposal for Interoperability Implementation of Railroad Line on North-South Korean Railway (남북철도 선로분야 상호운영성 구축를 위한 철도통신정책 제안)

  • Park, Eun-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5
    • /
    • pp.797-804
    • /
    • 2019
  • The two Koreas agreed to pursue rail and road connections on September 19, 2018 in the Pyongyang Joint Declaration. In December 2018, they launched a joint investigation for the North Korean railway modernization project. The survey confirmed that the track condition is seriously aging so that it is impossible to operate, and the railway network is well connected to major cities. Therefore, it was reasonable to modernize the aging track of the existing railway network rather than construct a new railway network. This paper proposed the railway communication policy for the improvement of railway line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railway wireless network by analyzing the status of roadbeds and tracks in order to enhance interoperability for the inter-Korean railway connection and safety for preventing the railway accidents.

Assessment of the Water Circulation Plan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West Nakdong River (서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한 물순환 방안 분석)

  • Lee, Sanguk;Hur, Young Teck;Kim, Youngsung;Kang, B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59-459
    • /
    • 2018
  • 서낙동강은 당초 낙동강 본류였으나 1934년 김해평야 일원의 농업용수 공급을 위하여 건설된 대저수문과 녹산수문의 완공 이후 현재의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서낙동강은 대저수문을 통한 유입과 녹산수문, 녹산배수펌프장을 통한 방류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운영은 외해 조위조건에 따라 간헐적으로 운영되고 있어서, 수체의 정체로 인한 오염도가 높은 실정이다. 또한, 서낙동강 유역은 에코델타시티 등 다양한 개발계획이 수립됨에 따라 수질관리를 위한 여건도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개발에 따른 다양한 수질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이를 위한 물순환 개선과 유역에서의 오염부하 저감 등 다양한 수질개선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서낙동강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던 연구결과와 현재 시행중인 물순환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고, 이를 정량화하기 위한 2차원 수리 수질모형(CE-QUAL-W2)을 구축 활용하여 현행 물순환 방안의 운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당초 환경영향평가시 제시되었던 대저수문과 맥도수문을 통한 유입과 맥도배수펌프장을 통한 유출로 서낙동강, 평강천, 맥도강의 수질을 개선하고자 했던 물순환 계획은 여러 가지 여건으로 인해 시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는 매주 강서구청에서 맥도배수펌프장을 이용하여 평강천과 맥도강의 수위를 저하시킨 이후 서낙동강의 하천수를 유입시키는 형태로 물순환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현행 물순환 방안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서낙동강, 평강천, 맥도강 구간에 대하여 2차원 수리 수질모형(CE-QUAL-W2)을 이용하여 모의한 결과 현재의 물순환 방법으로는 물순환 유량이 증가하더라도 수질개선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낙동강에 낙동강 하천수가 대저수문을 통하여 유입된 이후 장기간 체류함에 따라 유역에서의 오염물질 유입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며, 이에 따라 평강천과 맥도강에 유입되는 경우 수질개선이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현재 서낙동강 대비 상대적으로 수질이 양호한 낙동강 본류의 하천수를 신규 수문 등의 시설물을 통하여 유입시키는 조건에 대한 분석 결과 현행 물순환 대비 효과가 크며 당초 예상했던 환경영향평가시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보다 상세한 분석과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duced Loads Characteristics Comparison Between Permeable Pavement and Non-point Pollutants Treatment Facility (투수성 포장재와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삭감부하량 특징 비교)

  • Gil, Kyung-Ik;Jeon, Hye-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193-198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ermeable pavement application upon design and installation stages by analyzing the effect of permeable pavement used on the facility area rather than using non-point pollutants treatment facility upon development business in accordance with recent trend. To perform this study, the area of development target was separately applied as impermeable and permeable developments so 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conomics of cut pollution load and installation construction cost. Consequently, the processing amount and cut load of non-point pollutant sources are influenced much by permeable and impermeable developments, and it was turned out to be better to develop target river area as permeable area rather than installing non-point pollutants treatment facility of equipment type or natural type upon development to yield smaller discharge load. If we can prepare a countermeasure regulating impermeable area ratio to certain level to manage non-point pollutants upon development based on this result, we can minimize the source of pollution caused by the development.

Analysis on the Relative Efficiency of Industrial Complexes by Type Based on the DEA Model (DEA를 활용한 산업단지의 유형별 상대적 효율성 차이 분석)

  • Choi, Myoung Sub;Jang, Seung Il;Park, Hwan Yong
    • Korea Real Estate Review
    • /
    • v.28 no.3
    • /
    • pp.37-52
    • /
    • 2018
  • This paper analyzed the relative efficiency of industrial complexes by type based on the DEA Model. In this analysis, the output and exports of 287 industrial complexes in 2017 were used as output variables, while the industrial land area and the number of employees in the same year were used as inpu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relative efficiency of industrial complexes by type were as follows: The relative efficiency of industrial complexes was affected mainly by type and the operating period of industrial complexes. In the types of industrial complexes, the most efficient industrial complex was the Urban, high-tech industrial complex, followed by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the General industrial complex. Therefore, high-tech innovation and government support for industrial complexes would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dustrial complexes. In the operation period of industrial complexes, relative efficiencies increased with longer operation periods. To maximize the regeneration effect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efficiency must be kept as a priority item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Creating Wildlife Crossing through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환경영향평가 협의 시 생태통로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 Park, Yong-Su;Shim, Yun-J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3
    • /
    • pp.287-298
    • /
    • 2019
  • This study found that wildlife crossing created through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didn't reduce the number of wildlife accidents on the road by review of "A Study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Review for Reproving Bio-Mobile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2018)". Specific considerations to be reviewed at each stage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ultation were presented for practical site appli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sultation step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ere presented in five stages, including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monitor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and detail of the items to be reviewed by public officer. It will be able to prevent loss of habitats and improve biodiversity by improving the practice and institutional problems that were planned and design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n Analysis of the Performance Paths of Rural Area Revitalization Project: Focusing Eup·Myon Comprehensive Improvement Project (읍·면 소재지 종합정비사업의 성과경로 분석)

  • Kim, Jung-Tae;Jung, Nam-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5 no.2
    • /
    • pp.47-62
    • /
    • 2019
  • This paper considers the effect of "comprehensive rural community improvement project" in terms of three factors - physical environment, rural tourism, socioeconomic and analyzed the path effect leading to the final outcome -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using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By doing so, this study looks into why residents prefer the improvement of a physical environment that takes a public natur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ocioeconomic effect did not have an immediat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whereas the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had a static effect on the quality of living at a significance level of 1%. Residents' preference for "hardware" or physical environment may be attributed to lack of their understanding of human factors such as social capital. However, analyzing the impact of specific contents of the project on performance, it is found that as projects fail to generate a tangible socioeconomic effect, residents strategically prefer the repair of their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public facilities that directly affect their daily lives, so that they can maximize an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ving. H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ead of attributing the failure of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to residents, macroscopic problems of rural communities and specific contents of projects should be dealt with before the success of any project can be discussed.

The Effects of Neighborhood Physical Changes caused by CPTED Project on Resident's Fear of Crime,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Neighborhood Attachment in the Poverty Area - Focused on the Gamcheon 2-dong, Saha-gu, Busan - (CPTED 사업으로 인한 근린의 물리적 환경변화가 빈곤지역 주민들의 범죄두려움과 동네만족도, 동네애착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부산 사하구 감천2동을 대상으로 -)

  • Park, Ju-Hyeon;Lee, Kyung-Hwa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6 no.1
    • /
    • pp.105-11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change on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project implemented in Gamcheon 2 Dong on the fear of crime,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neighborhood attachment in the poor. In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through field surveys a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pecifically the SPSS AMOS 25 program.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neighborhood satisfaction was enhanced by the improvement in the walking environment and the reduction in the neighborhood disorder level of the target area through the installation of major CPTED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 that the reduction in the neighborhood disorder due to the CPTED project enhanced the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neighborhood attachment in the local residents.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walking environment caused by the CPTED proje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as the degree of neighborhood disorder decreased, the neighborhood satisfaction increased and the local people's attachment level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