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리스크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8초

건설 리스크 도출을 위한 SVM 기반의 건설프로젝트 문서 분류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SVM-based Construction Project Document Classification Model to Derive Construction Risk)

  • 강동욱;조민건;차기춘;박승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841-849
    • /
    • 2023
  • 건설프로젝트는 공기 지연, 건설 재해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한 리스크가 존재한다. 이러한 건설 리스크를 기반으로 건설프로젝트의 공사 기간의 산정 방법은 주로 감독자 경험에 의존한 주관적 판단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공기 지연과 건설 재해로 지연된 건설프로젝트 일정을 맞추기 위한 무리한 단축 시공은 부실시공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며, 지연된 일정으로 인한 사회 기반 시설물 부재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건설프로젝트의 리스크 해결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접근과 통계적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실제 건설프로젝트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비정형 텍스트 형태로 저장되어 있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리스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전처리에 많은 인력과 비용을 수반하기 때문에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데이터 분류 모델을 통한 기초자료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프로젝트 문서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반의 데이터 분류 모델을 통해 리스크 관리를 위한 문서 기초자료 생성 분류 모델을 개발하였다. 향후 연구 결과를 통해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서 건설프로젝트 공정관리 등에 있어 효율적이고 객관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리스크 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공사 위험 정량화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Qualitative Risk Assessment Model for Building Construction Sites Based on Claim Payouts)

  • 유영진;손기영;김지명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87-495
    • /
    • 2016
  • 보험통계포털에 따르면 건설 부문의 사고로 인한 손실액이 최근 10년 동안 크게 증가하였다. 이처럼 국내 건설 공사의 리스크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내재된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고 분석해야하며, 불확실성을 다루기위한 통계학적인 기법이 요구된다. 하지만 건설 리스크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정성적이며 포괄적으로 진행되었으나, 신뢰성있는 리스크 분석을 위해서는 영향이 큰 리스크 인자에 집중하고 정량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사 현장에 집중된 리스크 요인을 수집하기 위해 A보험사의 건설 현장 사고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피해율과 상관 관계있는 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인 건설 현장의 사고데이터를 활용한 적정 피해액 정량화 모델을 개발하고자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서 데이터의 축적 및 효과검증을 통해 발전해 나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제방 리스크 지도를 활용한 새로운 침수예상도 작성 (A New Methodology for Flood Prediction Mapping Using Levee Risk Map)

  • 이재영;박준형;한건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6-116
    • /
    • 2016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다양한 원인으로 홍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가상의 강우 시나리오에 대한 침수예상도가 작성되어 해당지역의 주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침수예상도가 나타내는 모든 지역에 대해 예산을 투자하여 대비를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방에 대한 수리학적, 지반공학적 위험도, 제방 자체의 성질과 특성을 반영한 취약도를 포함하는 제방 리스크 지도를 작성하여 외수범람에 대한 안전도를 등급화 하였다. 그 결과 침수예상도를 작성하는데 있어 제방 리스크 지도에서 등급이 높은, 즉 리스크가 높은 제방에 대한 재해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제방 리스크 평가를 실시하고, 작성된 제방 리스크 지도를 바탕으로 제방의 붕괴 및 월류시나리오에 대해 1차원 외수범람 해석 및 2차원 침수해석을 실시하여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기존의 침수예상도는 침수심에 대한 위험도만을 구분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소에 대한 침수예상도를 제시함으로써 연구결과물이 재해예방 및 재해경감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초기 단계 프로젝트 특성을 고려한 리스크 평가 및 예측 툴 개발 (Risk-Based Performance Evaluation and Prediction Tool by Characterizing Construction Projects in Pre-Project Planning)

  • 신강용;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168-175
    • /
    • 2008
  • 국내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되어지는 불확실한 리스크 요소에 의해서 발주자와 시공자의 비용적인 이익이나 프로젝트의 성패는 큰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따라서,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발생가능한 리스크를 파악함으로 인해서 합리적인 관리나 대처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정량화된 리스크 평가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도 리스크 파악 시 사업단계별 혹은 공사단계별로 세분화된 평가방법론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정량화시키려는 시도 또한 상당부분 이루어졌다. 그러나, 리스크에 대한 평가 결과와 최종 프로젝트의 성패와의 연관성에 대한 파악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및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되어지는 비용성과 리스크를 바탕으로 리스크 정량화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비용성과 리스크를 통해서 정량화 된 리스크 평가분석 툴(tool)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리스크 평가 툴은 사업 초기 프로젝트에서 리스크 요소들의 파악을 용이하게 하며, 리스크 요소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분석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발주자나 시공자 측의 의사결정자에게 프로젝트 리스크 정도에 따른 합리적인 대응방안 모색 시 효과적인 도구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리스크 관리 표준화를 위한 건설실패지수 정량화 시스템 설계 (Design of Construction Failure Index Quantification System for Risk Management Standardization)

  • 김웅보;박석천;김성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18-521
    • /
    • 2015
  • 최근 건설 프로젝트의 대형화 및 다양한 신공법들의 도입으로 불확실한 위험도 요인들이 점점 증가함으로써 일련의 시스템적 절차에 따른 리스크 관리(Risk Management) 체계를 수립하여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시공사와 발주사들은 과거 자신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여 리스크를 다루고 있을 뿐 공사와 관련된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수치화하여 관리하는 곳은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설 리스크 관리수준 향상을 위해 건설실패지수를 활용한 기업단위의 정량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표준화하기 위한 정부 연계 시스템 구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국내 CM기업의 리스크 인자별 관리 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표준업무체계 개발 (Development of Standard Systems through Analysis of Business Process the Risk Factors for the Korean Construction Management Firms)

  • 박경모;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73-83
    • /
    • 2015
  • 건설산업의 변화에 따라 대부분의 국내 CM기업들은 공정 원가 품질 안전관리를 중점관리 대상으로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리스크 관리를 위한 전담조직 설치 및 임직원 교육, 시스템개발에 대한 투자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처럼 국내 CM기업들이 리스크 관리 분야에 대한 투자가 부족한 이유는 체계적인 방법론이나 논리에 의해서 리스크를 분석하기 보다는 직관과 경험에 근거하여 판단하는 것이 더 쉽고,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를 위한 표준업무체계 개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CM기업 본사에서 현장 운영관리 시 발생되는 리스크 인자 도출 및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리스크 인자별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표준업무체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전문가들의 면담을 통해 효율성을 검증하여 향후 리스크 인자별 표준 대응 절차서 활용과 리스크 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해외건설공사 EPC/Turnkey 계약조건 핵심 리스크 세부조항 도출 - FIDIC Silver Book 2017년 개정판 기준으로 - (Deriving Key Risk Sub-Clauses for EPC/Turnkey Contract Conditions for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 Based on FIDIC Conditions of Contract for EPC/Turnkey Projects, second edition 2017 -)

  • 홍성열;제재용;서성철;박형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01-110
    • /
    • 2022
  • 최근 세계 건설시장은 2025년까지 연 평균 4.8%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해외건설 리스크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국내 건설업체들은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Turnkey 사업에 집중적으로 참여하였지만, 계약적 리스크에 대응하지 못한 결과, 2013년부터 수조원대의 해외사업 손실을 입은 경험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EPC/Turnkey의 계약적 핵심 리스크 세부조항 도출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컨설팅엔지니어링연맹(FIDIC)에서 발행한 2017년 Silver Book 계약조건을 대상으로 핵심 리스크 세부조항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제건설계약 경험이 10년 이상인 30인의 전문가를 패널로 구성하여 FIDIC Silver Book 21개 조항 170개 세부조항을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62개의 주요 리스크 세부조항을 도출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기법을 활용하여 RPN(Risk Priority Number)을 산정하였으며, Critical Risk 범위에 속하는 25개의 핵심 리스크 세부조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실무관점에서는 해외건설사업에서 입찰 및 계약체결 단계에서 주의 깊게 검토해야 할 계약조항들에 대해 참조할 수 있게 해주고, 학문관점에서는 해외건설 EPC/Turnkey 사업에서 사용되는 계약분야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연구해야 할지의 방향성과 기초적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민관합동형 PF사업의 단계별 리스크 분류 및 위험도분석 (Risk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Public-Private Partenership in Project Financing Process)

  • 박혜성;김선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117-126
    • /
    • 2011
  • 공공-민간 합동개발 형태의 사업방식으로 시행하는 민관합동형 PF(Project Financing)사업은 2001년 도입이후 급격한 양적 증가를 가져왔으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심각한 침체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 PF 사업의 실 사례를 바탕으로 리스크요인을 도출하고 프로젝트 진행 단계별로 리스크를 분류하여 분석하는 것이며, 단계별 리스크 요인의 위험도 및 중요도를 해당분야 실무자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측정하고 리스크인자의 위험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사업추진시 각 단계별 리스크인자를 인지하고, 리스크요인의 위험도에 따른 대응전략 수립 및 리스크 관리에 활용 되기를 기대한다.

VE기반 공동주택 개발사업 리스크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Evaluation of Apartment Development Project based on VE)

  • 이현철;신석배;홍주현;고성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4-25
    • /
    • 2009
  • 공동주택 개발사업은 대규모의 자원과 인력이 투입되는 중장기 복합공정 사업으로 사업 내 외적 영향요인이 복합적으로 관계되는 바, 사업추진 시 현장여건을 비롯한 정치 경제 사회 분야의 내 외부 불확실성 요소로 인한 많은 사업 리스크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리스크는 사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인자로서 작용하게 되며, 종국에 기업의 수익 및 재무구조를 변화시키는 중점 관리요인으로 그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어 이에 따른 리스크 저감을 위한 방안 및 효율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프로젝트 중 공동주택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VE기반 리스크 관리모델 및 절차를 수립하고 이에 따른 사업 추진 시 기획 및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이르는 전 단계에서의 발생 가능한 리스크 요인을 총 3단계 10분류 81개 항목으로 도출, 분석하고, 각각의 리스크 항목별 중요도를 가치공학(VE)을 기반으로 하여 평가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개발사업의 성공적인 추진과 이에 따른 공공 및 민간 건설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강구조물 공사의 품질관리를 위한 리스크 중요도 분석 및 대응방안 (The Priority Analysis of the Risk and Countermeasures for Quality Control in the Steel Structure)

  • 조항민;송영웅;안재봉;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87-96
    • /
    • 2007
  • 최근 국 내외 건설 환경은 대형화, 전문화,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건설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강구조물 프로젝트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강구조물 공사의 효율적 품질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강구조물 공사는 다수의 협력업체와 수많은 공종에 따른 많은 기술력을 요구하는 공사이기 때문에 다양한 리스크와 불확실 요인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강구조물 공사의 리스크 대응 및 관리는 과학적이고 체계적 인 방법으로 진행되는 것 보다 공사자의 직감과 경험에 의존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구조물 공사의 리스크 요인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세우는 것은 강구조물 공사의 품질관리 성패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구조물 공사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를 위하여 전문가들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계층적 분석법(Analysis Hierarchy Process : 이하 AHP)을 통하여 리스크 중요도와 분석된 리스크 요인의 대응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강구조물 공사의 품질관리 체계를 정립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