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기술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649, Processing Time 0.092 seconds

Development of A Function supporting estimate of System for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건설자재 통합정보시스템의 견적지원 기능 개발)

  • Song, Jong-Kwan;Han, Choong-Han;Ju, Ki-Beom;Nah, Hei-Sook;Choi,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521-1524
    • /
    • 2011
  • 정보화의 발전은 모든 산업의 시스템화 및 자동화를 이끌어가는 원동력으로 국가 산업에 융복합되어 시너지효과를 발현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의 일환으로 건축공사의 50~60%차지하는 건설자재의 정보화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특히 건설자재의 가격정보는 자재선정을 위한 결정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현장여건에 맞는 정확한 가격정보를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자재선정 의사결정자가 건설자재의 다양한 정보항목을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건설자재에 대한 정보제공 시스템의 필요성과 온라인을 통해 현장여건에 맞는 가격정보 제공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자재선정 의사결정자들이 온라인 자재정보시스템을 통해 검색한 자재의 현장여건에 맞는 가격정보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견적지원 기능을 제시한다. 이 시스템은 관계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정보를 저장하고 활용한다. 본 연구는 건설분야 종사자들에게 건설자재선정을 위한 지원 도구로써 활용될 것이며, 이는 최적자재선정을 통한 건축물의 품질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esign of a Construction CALS System Architecture on the cloud computing base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건설CALS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 Yang, Sung-Hoon;Kim, Nam-Gon;Kim, Tae-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818-821
    • /
    • 2012
  • 건설CALS 시스템은 건설사업의 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방대한 정보를 관리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으로 건설CALS 포탈 및 항만건설통합정보 등 6개 단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각 시스템들의 개발 시기가 개별적이고 하드웨어 구성 또한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신규 시스템 추가 시 기존 시스템과의 연계가 어려우며 별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추가하여야 한다. 또한, 시스템 운영 중 발생한 유휴자원을 다른 시스템에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스템 운영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건설CALS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아키텍처는 시스템 확장이 용이하고 자원에 대한 동적 할당과 더불어 잉여 자원에 대한 높은 활용성, 시스템 가용성을 증대 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다.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aterial based on international data attribute (국제 데이터 속성 기반 건설자재 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 Choong-Han 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645-648
    • /
    • 2008
  • 최근 건설 분야의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건설생애(Life Cycle) 과정에서 파생되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수집·가공·축적·제공 하는 시스템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특히, 건설공사의 주요요소인 자재 정보를 제공하는 Web 기반 온라인 시스템만 현재 110여개 이상으로 토목·건축·설비·소방 분야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서 제공 중인 정보가 표준화 및 정형화 되지 않아 건설현장 실무자들의 정보 획득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형화되고 표준화된 건설자재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건설자재 분류체계를 정의하고 건설자재 속성정보를 정형화하여 자재별 분류체계검색, 통합검색, 카테고리검색 뿐만 아니라 전자카탈로그로 변환 및 생성이 가능한 건설자재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A study on applying asse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for highway transportation facilities (도로교통시설 관리를 위한 자산관리정보시스템 도입방안)

  • Jeong, Seong-Yun;Seo, Myoung-Bae;Na, Hei-Suk;Choi,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409-410
    • /
    • 2010
  • 미국, 영국, 호주 등은 도로교통시설을 기존의 사후 대응적 방식에서 예방적 유지관리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자산관리체계를 도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자산관리 체계 사례와 자산관리정보시스템과 관련한 연구들 조사, 분석하여 국외의 자산관리정보시스템이 갖는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국내 실정에 적합한 도로교통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한 자산관리정보시스템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A Mobile Application Plan of The Construction CALS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모바일 기술 적용 방안)

  • Ok, Hyun;Kim, Young-Jin;Yang, Sung-Hoon;Kim,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415-41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ICT 기술특성을 건설 전 생애주기에 걸쳐 활용하여 미래 건설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실시간 현장 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건설사업정보시스템(CALS)의 하위 업무시스템인 건설사업관리시스템,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건설인허가시스템, 용지보상시스템에 모바일 기술을 적용하는 스마트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Method of Transparency Guarantee for Compensation Budget expenditure using Connection of Construction CALS and dBrain (건설CALS와 국가재정정보시스템 연계를 통한 보상비 집행의 투명성 확보 방안)

  • Seo, Myoung-Bae;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608-1609
    • /
    • 2011
  •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사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건설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건설기술관리법 제15조의 2에 따라 건설공사지원통합정보체계의 구성.운영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고 1998년부터 건설사업정보화(Continuous Acquisition Life-Cycle Support : CALS)를 추진중에 있다. 건설사업정보화의 일환으로 건설공사비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개인의 소유권과 관계되어 있어 민원 소지가 많은 보상자료를 관리하기 위해 용지보상시스템이 기 개발되어 운영중에 있으나 보상비 지출의 핵심과정인 지급단계가 국가재정정보시스템과 별도로 운영중에 있어 체계적인 보상자료 관리 및 보상비 지급의 이력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 지고 있지 않다. 이는 곧 부적절한 보상비 집행으로 인한 국고예산 낭비의 소지가 있고 보상비 집행에 대한 대민 신뢰도 저하로 인해 다수의 소송으로 이어질수 있다. 이에 기존의 보상비 집행업무 프로세스 개선 및 건설CALS 용지보상시스템과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의 연계를 통해 보상비 집행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민원인들에게 대민행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Unification Plan of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s in Social Overhead Capital fields -the subject for Business Process of the first stage of Project Management- (SOC분야의 건설정보시스템 통합 방안 연구 -건설사업관리 초기단계 업무 대상-)

  • Kim, SeongJin;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689-1690
    • /
    • 2012
  •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의 도로 하천 항만건설분야에 적용중인 건설정보시스템(건설사업관리시스템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 간에 차이점을 파악하고, 공사계약이 체결된 이후인 사업관리 초기단계에서 건설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등록, 사업 공사등록 및 공사 대장 작성 보고 업무를 대상으로 시스템간 통합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Proposal of an Application Characteristic Model of Inform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Decision-making Support (건설 의사결정지원용 정보시스템 활용특성모델 제안)

  • Lee Jong-K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4.11a
    • /
    • pp.145-152
    • /
    • 2004
  • Many construction companies have developed many kinds of information system to integrate the information created in the phase of planning, design, procuremen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the previous researches for the state of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e efforts of the analysis of the present information system launched in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s very rare. There also has been short of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decision-making support theory in construction business and industry. Hence this paper would contribute in identifying the stat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e theory of decision-making support of the information system in general construction company. and suggest the characteristic model on the information system for the construction decision-making support. The model consists of the two dimensions; (1) organizational hierarchy (2) data analyzing technology. This research, especially, can be expected to initiate the discussion on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onstruction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in construction industry. The model is nut a practical methodology, but a window that offers a new perspective un sources of information system in each construction company, and thus can provide a clue of the useful guide to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approach for road facilities operation &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based on asset management (자산관리기반의 도로시설물 유지관리정보시스템 개발 방안 연구)

  • Jeong, Seong-Yun;Na, Hei-Suk;Choi,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409-1410
    • /
    • 2011
  • 미국, 영국, 호주 등의 나라들은 최소의 비용으로 도로시설물의 기능을 유지 또는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산관리(asset management) 체계를 기반으로 한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은 아직까지 자산관리정보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는 사용자관점의 서비스 수준(level of service)과 경제성 분석기법 간의 관계를 토대로 도로시설물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자산관리정보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Improvement of Official Document Exchanging System in construction field (건설분야의 전자문서 유통 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Seong-Jin;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226-227
    • /
    • 2010
  • 건설현장이 공사비 대금지급, 공사비 변경요청, 실정보고 등과 같은 중요한 공문일 경우 직접 방문하거나 이메일 등을 통해 공문초안을 사전에 발주청에 보고하고 검토를 받은 후 건설사업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문으로 발송한다. 본 연구는 건설사업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주청과 건설현장간에 온라인으로 공문을 사전검토 및 승인 반려할 수 있도록 공문 유통 방식을 개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