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기능공

Search Result 18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건설기능공 의식구조의 실상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58
    • /
    • pp.98-102
    • /
    • 1995
  • 대한건설협회는 $\ulcorner$견실시공은 건설현장에서 직접 시공을 담당하는 건설기능인의 손에 달려 있다$\lrcorner$는 생각으로 건설기능인들이 선조들의 장인정신을 계승하여 건설공사에 임함으로써 건설기능인들이 이제는 의식구조가 바뀌어 견실시공하는데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원하며 $\ulcorner$기능공의식구조의 실상에 대한 자료$\lrcorner$를 작성하였다. 본 자료는 건설현장 기능공들과의 직접 대화를 통하여 기능인들의 의식구조와 부실요인 및 견실시공을 위한 방안을 현장 목소리를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 PDF

2006년 하반기 적용 건설업 노임단가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10 s.195
    • /
    • pp.35-37
    • /
    • 2006
  • 2006년 상반기 건설업 전체 평균임금이 98,155월으로 전년 하반기 대비 1.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기계설비부문은 해외건설경기의 호조에 힘입어 플랜트제관공은 91,288원으로 상반기 대비 5.5%의 증가율을 보였고, 기계설치공이 79,538원으로 상반기 대비 3.5%의증가율을 보였다.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한 2006년 상반기 건설업 임금현황에 따르면 상반기 업종 전체 직종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일반공사직종은 전체 직종 상승률 1.5% 상승 하였으며 동 직종 중 현장에 많이 투입되는 형틀목공, 철근공, 보통인부 등의 주요 15개 직종은 1.0% 상승하는데 그쳤다. 월급제 기능공이 대부분인 원자력직종은 5.0%의 상승률을 보인 반면, 광전자직종의 경우 0.4% 상승하는 등 전반적으로 전년도 하반기보다 임금상승률이 크게 둔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임금이 가장 높은 직종은 294,659원인 송전활선전공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측부는 40,269원으로 가장 낮은 임금을 기록했다. 금번 임금실태 결과의 상승요인을 살펴보면 원자력 · 플랜트 · 지적 지종 등 월급제 기능공의 임금 상승이 전체 직종의 임금상승을 주도하였으며 물가 상승 및 임금인상 심리등으로 건설경이 위축에도 불구하고 건설업 임금이 소폭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에 공표한 임금은 대한건설협회가 전국의 1,700개 건설현장의 건설관련 145개 직종을 대상으로 2006년 5월 한달간 실제 지급된 임금을 8시간 기준으로 조사한 것이다. 이번에 발표된 노임은 2006년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공사에 적용된다. 다음은 설비건설부문과 관련 직종 노임단가 분석 및 개별직종 노임단가 현황이다.

  • PDF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for Foreign Construction Laborer (외국인 건설 근로자 현황 및 개선방안)

  • Park, Hee-S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9
    • /
    • pp.555-561
    • /
    • 2015
  •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 labor-oriented and quality, cost, and schedule performance is effected by technicians. However, the construction industry have faced a labor shortage problem. Therefore, technician graying and no new workers inflow cause labor shortage and decline of worker's skill level. The utilization of foreign technicians instead of domestic technicians has been increas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is paper performed questionnaire survey for 43 managers on 14 project field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nstruction technicians and to propose a improvement plan. As a result, most foreign technicians are carpenters and iron workers, but the skill levels are generally lower than domestics. The major problems for foreign technicians are communication and non-skilled. Then, labor productivity and accident rates of foreign technicians are higher than domestics. This paper proposes that skill training programs, language lessons, and multi-cultural programs are effective to improve foreign workers' problems.

Algorithm Development for Effective Material Management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s (알고리즘 개발 연구방법론 기초연구 - 초고층 공사에서의 물류효율화를 위한 장비간 통신 방법 모델설정을 중심으로)

  • Cho, Chang-Yeon;Kwon, Soon-Wook;You, Seuk-Joon;Lee, Joo-Hy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230-233
    • /
    • 2009
  • 3D(Difficult, Dirty, Dangerous) 산업의 대표적인 산업으로 인식되는 건설업은 현재 노무기능인력의 고령화와 신규 기능인력 육성의 어려움이라는 문제에 당면하였으며, 이러한 3D 산업이라는 이미지의 탈피 및 노동집약적 사업구조에 대한 변화에 대한 대안으로써 타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한 이미지 쇄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자동화 및 정보화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자동화 및 정보화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방법론에 대한 기초연구로써, 초고층 공사에서의 물류 효율화를 위한 장비간 통신방법에 대한 모델을 설정하고, 해당 모델에 대해 적용 가능한 알고리즘을 도출하는 프로세스를 규명함으로써, 건설 자동화 및 정보화 연구를 진행하는 단계에서 최적화(Optimization)를 위한 알고리즘 규명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보호기능이 향상된 지오컴포지트의 제조 및 물성

  • 전한용;정진희;김소영;최윤희;김홍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56-159
    • /
    • 1998
  • 토목섬유는 목적에 따라 보강, 필터, 차수, 분리등의 기능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가지 기능을 강화하거나 다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복합화한 재료들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토목섬유는 여러종류의 관련제품이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있으나 널리 사용되고 있는 품목은 가정용ㆍ산업용 폐기물 매립시 발생되는 침출수 차단 목적과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 부등침하방지에 의한 지반보호, 흙 댐, 터널 건설 등에 이용되는 지오멤브레인과 세립토ㆍ자갈ㆍ돌덩어리ㆍ블럭등의 혼합을 막아주는 분리기능, 자체의 인장강도에 의해 흙 구조 물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보호기능을 갖는 지오텍스타일이 있다.(중략)

  • PDF

터널 연구 및 기술동향

  • 터널기술위원회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a
    • /
    • pp.410-430
    • /
    • 2004
  • 근년에 와서 터널이 건설 프로젝트의 주요 분야로서 국가 건설인프라의 중심 축으로 떠오르는 분야임을 감안할 때 그 중요성은 건설분야뿐만 아니라 국가기본사업 및 사회 간접시설 등 전반에 걸쳐 있다. 국내 터널 기술은 재래식 굴착에서 근접시공, 도심지 연약지반 통과, 대단면 굴착 등으로 이어져 그 한계에 도전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 추세인 기계화 시공에 대해서도 진일보하고 있다. 최근의 전파, 기계,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터널 현장에서 기계화 시공의 비율이 높아지도록 견인하고 있으며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일반적인 터널의 기능에 첨가하여 쾌적한 터널을 요구하는 실정이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Progress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M (BIM 기반의 건설공사 진척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Shin, Yoon-Kyung;Kim, Sun-Hyo;Park, Sung-Han;Yun, Seok-Heon;Paek, Joon-Ho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25-528
    • /
    • 2010
  • 본 논문은 BIM기반 건설공사 진척관리 시스템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기존 4D 진척관리프로그램인 Synchro 4D와 Navisworks를 분석을 하여 문제점을 도출했다. 이를 극복하고자 국내실정에 맞는 방안 및 공정과 3D객체 연계의 효과적 방안을 제안하였고 예상공정과 실제공정의 시각적 비교 기능 및 통합건설정보관리 기능 추가를 제시하여 이 프로그램의 본 목적인 효율성 증진을 위해 향상된 진척관리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Analysis of Inundation Pattern of Excavation Site Using Hydrodynamic Model (동수역학 모델을 이용한 굴착공사 현장 침수 양상 해석)

  • Yoo, Dong Hyun;Lee, Ka Young;Sim, Ye Jin;Song, Chang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0-300
    • /
    • 2020
  • 최근 전체 산업재해율은 계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는 반면, 건설업의 재해율은 증가하는 추세를 내타내고 있다. 이러한 건설업 공종별 재해유형은 임시구조물과 관련된 가설공, 굴착공, 철근콘크리트공의 재해율이 타 공종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이는 공종 진행에 따라 변화되는 건설현장의 위험요소를 사전에 인지하여 제어·관리할 수 있는 사고예측 기술 및 대응 기술의 부재로 안전사고가 높게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건설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다양한 재해 상황에 대하여 공사별, 규모별, 공정별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굴착공사 중 침수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용적인 긴급대응 방안을 확보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공사 현장 재해 상황 중 침수는 태풍 또는 집중호우 시 공사구간이 침수되어 근로자 수몰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절토면이 붕괴되는 등 2차적인 피해로 이어진다. 이러한 침수의 원인은 공사 현장의 저지대 위치, 집중호우 시 최대 강우량에 대한 대비 소홀, 양수기 부족 및 고장, 인접 배수로 배수기능 불량 등의 복합적인 원인들로 인하여 발생한다. 또한 굴착공사 현장의 침수는 공사기간 동안 개별 공종에 따라 침수발생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각 공종별 발생 가능한 침수 양상에 대한 예방/대응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HDM-2D 수리 동역학 모델은 2차원 흐름해석 프로그램으로 복잡한 하천지형이나 공사현장과 같은 불연속면에서 유속 및 수심 등을 계산한다. 또한 마름/젖음 현상 등 복잡한 수리현상에 대한 정교한 모의 기능 및 침수해석 등 어떠한 계산영역이나 흐름조건에서도 정확하고 안정적인 모의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현장과 같은 불연속면에서 각 공종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침수양상에 대한 모의를 진행하고 각 공종별 침수양상을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서 굴착공사 현장 침수피해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개발된 기술을 사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 증가와 이에 따른 수재해로 인한 건설현장 침수 발생 및 인명,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