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기계

Search Result 5,04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언론보도 현황 - 건설경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66
    • /
    • pp.28-29
    • /
    • 2012
  • 대한설비건설협회(회장 정해돈)와 대한설비건설공제조합(이사장 김명국)이 기계설비건설산업의 미래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해 대한설비공학회에 의뢰해 추진 중인 '기계설비건설 종합발전전략' 마련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설비협회는 9~10월 중에 최종보고서를 확정한 후 국토부 산하 민관합동 공생발전위원회는 물론 여야 대선캠프에 제안해 내년 이후 건설정책에 반영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열린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제시된 업계 현황과 주요 연구 내용을 정리해 본다.

  • PDF

노무관리 - 건설업 인사노무 실무 ①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315
    • /
    • pp.49-57
    • /
    • 2016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는 회원사의 경영환경 개선을 위해 지난 9월 20일부터 전국 시 도회를 순회하며 노무강습회를 실시하고 있다. 본지는 회원사의 노무관련 업무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국 시 도회 노무강습회 교재로 사용된 '건설업 인사노무 실무'를 연재한다.

  • PDF

노무관리 - 건설업 인사노무 실무 ②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316
    • /
    • pp.74-77
    • /
    • 2016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는 회원사의 경영환경 개선을 위해 지난 9월과 10월에 걸쳐 전국 시 도회를 순회하며 노무강습회를 실시하고 있다. 본지는 회원사의 노무관련업무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국 시 도회 노무강습회 교재로 사용된 '건설업 인사노무 실무'를 연재한다.

  • PDF

협회사업 - 대한설비건설협회 2013회계연도 사업계획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72
    • /
    • pp.67-75
    • /
    • 2013
  • 대한설비건설협회는 지난 2월 21일 설비건설회관 대회의실에서 제48회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2013회계연도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2013년도 사업추진의 기본방향은 ▲설비건설의 원도급시장 진출 확대 ▲회원사의 하도급 환경개선 추진, ▲기계설비 미래 발전을 위한 기계설비기준법 추진 및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을 통한 기계설비 위상강화 방안 등이며 이밖에 회원사의 적정공사비 확보 및 정부 위탁업무의 공정하고 신속한 처리 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 PDF

연구원_2015 연구과제 ⑤ - 대용량 지열설비 이용을 위한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용량 설계 Tool 개발

  • Ryu, Hyeong-Gyu;Yun, Hui-Won;Choe, Seung-Hyeok
    • 월간 기계설비
    • /
    • s.309
    • /
    • pp.48-50
    • /
    • 2016
  • 대한기계설비산업연구원(원장 이언구)은 지난해 4월 연구심의위원회에서 선정된 ${\triangle}$기계설비건설업 동향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triangle}$기계설비건설업체의 부도예측 모형 연구 ${\triangle}$기계설비건설공사 시공상세도면 작성비 산정기준 연구 ${\triangle}$플랜트 건설현장 외국인력 고용 개선방안 ${\triangle}$녹색기술 기준에 근거한 연구과제 도출을 위한 기초연구 ${\triangle}$대용량 지열설비 이용을 위한 지중열교환기 용량 설계 툴 개발 ${\triangle}$기계설비배관 및 장비 단열 기준 연구 등의 기본과제와 외부기관과 공동으로 수행한 ${\triangle}$플랜트 건설현장 외국인력 고용 개선방안 ${\triangle}$기계설비건설업 관련법규 개선방안 연구를 추진했다. 본지는 지난 2월호부터 연구결과 요약 보고서를 연재하고 있다.

  • PDF

Estima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Expenses - Bulldozer and Loader - (표준품셈의 기계경비 산정 현실화를 위한 자료 조사.분석 -불도우저와 로우더를 중심으로-)

  • Huh, Young-Ki;Kim, Kyung-A;Ahn, Bang-Ryul;Tae, Yong-Ho;Park, Hee-Sung;Kim, Chang-Wa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9 no.1
    • /
    • pp.155-166
    • /
    • 2008
  • The Equipment Expenses section of the Poom-Saem that is used for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of public sectors in Korea has been rarely revised, and so does not reflect changes of Construction Equipment technology and construction methods, since it was established based on data from Japan and the U.S in the early 1960s. In order to make reasonable estimation of equipment expenses for a bulldozer and a loader, the domestic and overseas documentary records were investigated. Further, 16 construction sites were visited, and 20 Construction Equipment leasing services were surveyed. The optimum level of each item which consists of equipment costs was reveal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figures of equipment costs calculation from the Poom-Saem and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 will be the foundation for applying the rapid development of Construction Equipment and technology to the appropriate cost estimations and the ground work of related studies.

KOSHA 18001 - 자율안전관리체계 구축의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61
    • /
    • pp.73-79
    • /
    • 2012
  • 최근 몇 년간 지속된 국내 건설경기 침체로 설비건설업계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금년 1월 1일부터 기계설비공사의 겸업제한이 폐지되면서 일반건설사도 기계설비의 면허취득이 가능해지는 등 설비건설업계에 많은 변화가 일고 있다. 이처럼 개방과 불황의 파고를 넘기 위해서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기업은 신기술 신공법 개발 및 알뜰경영으로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사적인 안전관리로 근로손실에 의한 생산성 저하, 재해보상금 지급 등 안전사고와 관련한 지출을 크게 줄이는 것도 경쟁력 강화의 한 요인으로 주목되고 있다. 최근들어 안전 보건 및 환경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설업계는 기업경영의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취득이 늘어나고 있다. 더구나 설비건설업계의 숙원사업인 분리발주와 유사한 주계약자공동도급이 올해부터 기계설비공사에 적용되면서 일반건설업체도 기계설비건설업체와 공동도급을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럴 때 설비건설업체가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요건은 무엇일까? 기술력, 신뢰도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도 한 몫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01년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이 도입된 이후 지난 3월 30일 현재 설비건설업계는 14개 업체가 인증을 취득했다. 본지는 지난 2006년 9월호에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특집으로 소개한 바 있다. 최근들어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문의가 많아짐에 따라 이번 호에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 대해 다시 한번 알아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