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기계가격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2006년 하반기 건설공사 실적공사비 적용 공종 및 단가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10 s.195
    • /
    • pp.38-48
    • /
    • 2006
  • 정부등 공공기관에서 시행하는 건설공사 예정가격 작성시 적용되는 2006년 하반기 실적공사비 적용대상 공종 및 단가 931개(기계설비 216, 건축 335, 토목 350)가 지난 8월 14일 공표되었다. 실적공사비 단가는 재료비, 노무비, 직접공사 경비가 포함된 공종별 단가를 계약단가에서 추출하여 유사공사의 예정가격 산정에 활용하는 방식으로 공공건설공사의 예정가격 작성시 적용되고 있다. 또한 실적공사비 단가는 공공건설공사의 설계조건이 유사한 공종을 대상으로 계약단가가 설계단가 대비 ±25% 범위 내의 단가로 2006년 하반기 실적단가 설계가 대비 평균 낙찰률이 70% 수준이다. 대부분의 공공기관에서 예정가격 작성시 적용하고 있는 실적공사비 단가는 종전의 표준품셈에 의한 예정가격 작성시보다 공사예정가격이 낮게 산정되고 있다. 따라서 설비건설업계도 이를 감안하여 반드시 적정공사비를 확보할 수 있는 금액으로 입찰에 참가해야 한다.

  • PDF

An Ordinary Management System for Updating Construction Equipment Prices in the Poom-Saem Based on the Standard Market Price1 (시가표준액표를 활용한 건설공사표준품셈 건설기계가격 상시관리 시스템 개발)

  • Ahn, Bang-Ryul;Tae, Yong-Ho;Kim, Dae;Huh, Young-K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5 no.4
    • /
    • pp.397-404
    • /
    • 2015
  • Construction equipment cost is critical to estimate the total construction costs, particularly in large and complicated projects.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re typically estimated using the Poom-Saem which includes hourly rates for workers and equipments. Despite its importance, the construction equipment cost may not properly reflect the current market value because it is being updated every six years at most. To keep the data for construction equipment cost estimation up to date, it is highly recommended to use the standard market price that is reported each year by the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MOSPA). However, there is still a wide gap to directly adopt the standard market price for updating the construction equipment price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an ordinary management systems for updating construction equipment prices in the Poom-saem based on the standard market price.

김현회의 자재칼럼40 - 니켈과 스테인레스

  • Kim, Hyeon-Hoe
    • 월간 기계설비
    • /
    • s.256
    • /
    • pp.66-67
    • /
    • 2011
  • 스테인레스강은 철과 니켈, 크롬이 주 성분이다. 그 중에서 니켈이 차지하는 비율은 304계열 제품의 경우 8%에 불과하다. 그런데 STS 파이프 등 스테인레스 스틸 제품 원가의 60%를 차지하는 것이 니켈 가격이다. 결국 니켈 가격이 스테인레스 스틸 제품 가격을 좌지우지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 설비건설분야에서도 스테인레스 관련 제품이 공종에 따라 많이 투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번 호에서는 니켈의 국제 시세를 중심으로 스테인레스 제품 가격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 PDF

김현회의 자재칼럼(34): 구리 가격 어디까지 뛸 것인가?

  • Kim, Hyeon-Hoe
    • 월간 기계설비
    • /
    • s.248
    • /
    • pp.80-81
    • /
    • 2011
  •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구리는 우리 설비건설산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동관 등 관련 제품만 보더라도 2년여에 걸쳐 꾸준히 가격이 오르고 있고 올해도 하락보다는 상승에 더 무게를 두어야 할 것 같다. 관계자들은 여러 가지로 가격 인상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는데, 크게 세가지 정도로 압축할 수 있다. 아래 본문의 그래프를 보면서 좀 더 면밀히 살펴보도록 하자.

  • PDF

정부입찰.계약집행기준 회계예규 개정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7 s.216
    • /
    • pp.40-41
    • /
    • 2008
  • 기획재정부가 특정규격 자재(단품)의 급격한 가격 변동시 계약금액을 조정하는 기준을 새롭게 마련하여 지난 5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통상 물가변동으로 인한 계약금액조정(ES)은 계약 후 90일이 경과하고, 입찰일 기준으로 가격이 3% 이상 증감시 계약금액을 조정(총액물가조정)하고 있으나 최근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하도급업체 등 중소기업의 경영에 큰 부담으로 작용함에 따라 경제정책조정회의(2008.3.26.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한 중소기업 애로 해소방안)에서 단품ES제도 시행기준을 마련하여 이번에 개정된 것이다. 이번 단품ES 제도의 도입으로 최근 가격이 급등한 단품*(철근,H형강 등)을 취급하는 중소하도급업자의 경영 애로를 다소 완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감사원, 건설제도 개선방안 최종 확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57
    • /
    • pp.30-38
    • /
    • 1995
  • 감사원은 부실시공방지를 위해 건설제도 전반을 일대 혁신하는 총54개 사항의 건설제도 개선 방안을 최종 확정하고 재정경제원과 건설교통부등 관계부처에 통보했다. 앞으로 예정가격이 일정규모 이상인 낙찰자 선정방법이 가격경쟁에서 기술경쟁방식으로 개선되고, 공동도급으로 발주되는 공사의 입찰참가자격이 제한군 입찰대상업자만 입찰할 수 있도록 바뀐다. 또 감사원은 입찰 보증제도에서 일괄입찰보증하는 경우 매 공사별 입찰보증금 납부를 면제하도록 하고, 각종 보증 수수료를 건설업자의 성실도에 따라 차등 징수하도록 했다.

  • PDF

대한설비건설협회, 원자재가격 급등에 따른 위기 타개책 강구.추진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7 s.216
    • /
    • pp.36-39
    • /
    • 2008
  • 원유와 고철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지난 달 원재료 물가가 80% 가까이 폭등하며 28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함에 따라 건설현장의 자재비와 연료비 부담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철, 동 등의 금속재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철강재, 비철금속 가격이 연말 대비 40% 이상 폭등하였고, 지난 해 말부터 오르기 시작한 강관이 5월까지 계속 오르고만 있다. 그리고 앞으로도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처럼 하루가 다르게 값이 오르고 있는 자재를 제때 구매하지 못해 공사현장은 지금 아우성이다. 철강재와 PVC제품을 주자재로 사용하고 있는 설비건설업계는 공사원가 부담 가중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에 따라 대한설비건설협회는 자재값 인상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 추진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