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물 재활용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case on building reuse of slaughterhouse (용도쇠퇴 도축장건물의 기능전환 재활용 사례 연구)

  • Yoon, Hye-Kyoung;Lee, Yeun-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3-66
    • /
    • 2008
  • In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e, there has been emerging paradigm of regeneration, taking place of demolishing first, and new development next principle. Retrofit and remodeling, thereby, became importan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n to examine a reused space with new function. The target space was the former slaughterhouse in the ailing district of the Bologna City with ever increasing vandalism and fear caused by empty buildings, which was regenerated into a culturally affluent area, such as cultural facilities including cinema, gallery, art school cluster along with elderly club and child care center nearby. Through this regeneration, more affluent life opportunity was provided for citizens and local residents. This case study shows how old the building and interior space have been transformed to accommodate contemporary needs, while preserving historical features.

  • PDF

그린빌딩의 개념과 기술수준(2)

  • 한국온돌난방시공협회
    • 보일러설비
    • /
    • s.86
    • /
    • pp.80-83
    • /
    • 2001
  • 그린빌딩이란 ‘에너지절약과 환경보전을 목표로 에너지 절약(Energy), 고효율설비, 자원재활용, 환경공해 저감기술등을 적용하여 자연친화적(Ecology)으로 설계 건설하고 유지 관리한 후, 건물의 수명이 끝나 해체될 때까지도 환경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계획된 건축물을 말한다.

  • PDF

Alkaline Cleaning Wastewater Treatment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s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세척오수의 처리)

  • 장규만;이민수;정건용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4a
    • /
    • pp.117-119
    • /
    • 1998
  • 1. 서론 : 본 연구에서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대형건물에서 발생하는 오수, 동/식물성 오일과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ㅈ 중국식당 배수 및 자동차 세척 배수를 처리하였다. 대형건물 및 식당 배수에서는 한외여과막 투과수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나 자동차 세차배수의 경우, 한외여과막으로 오일 성분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효성분인 세척제와 세척용수를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Recycling of Nakpokji in Mukjae Diary in the 16th Century (16세기 『묵재일기』에 나타난 낙폭지 재활용에 관한 분석)

  • Eun Kyoung Kim;Ji-Won Kim;So Young Lee;Jae-Min Ch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32-32
    • /
    • 2023
  • 본 연구는 16세기 과거에서 낙방한 시권(試紙)인 낙폭지(落幅紙)가 어떻게 재활용되었는지에 대해 고 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과거 시험 답안지는 시권, 시지(試紙), 명지(名紙), 과지(科紙)라 하였으며 두껍고 품질 좋은 종이가 사용되었다. 국가의 특별한 경사가 있거나 왕이 친림한 과거 시험의 경우 응시자에게 국가에서 시지를 제공하였으나, 그 외 3년마다 치르는 정기시험인 식년시(式年試)는 개인이 별도로 마련하였다. 전국 각 도와 한성부에서 치러졌던 초시(初試)를 비롯한 복시(覆試), 별시(別試), 증광시(增廣試), 춘당대시(春塘臺試) 등 과거 응시자의 수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이 때문에 시지 마련은 응시자 개인뿐 아니라 국가의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조선시대 과거에 합격한 시지는 응시자에게 돌려주었으나 불합격한 시지의 경우는 돌려주지 않고 국가에서 재활용하였다. 낙폭지는 북방 군사들의 추위를 막는 방한용 의복인 지의(紙衣)로 사용되었으며, 화전(火箭), 가슴을 가리는 갑옷인 엄심갑(掩心甲), 비를 막는 장막용이나 우의(雨衣)로 사용되었다. 낙폭지는 건물 내부 도배 재료로 초배(初褙)에 이용되었으며, 그림이나 책의 배접용으로 활용되었다. 16세기 『묵재일기』에는 이문건이 32년간 성주 지방에서 유배 생활을 하며 인근 지역 관인(官人)과 지인들을 통해 주기적으로 낙폭지를 입수했던 기록을 살필 수 있다. 지방의 종이 제작 정도, 종이 수급 현황, 낙폭지 재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양상을 통해 일상 속 종이 재활용 상황을 파악하는 단서를 제공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for the Flame Retardant Lightweight Concrete Panels in Nonbearing (비 내력벽 부위의 난연성 경량 콘크리트패널 개발에 관한 연구)

  • Oh, Jae-Hoon;Park, Hae-Jin;Moon,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377-382
    • /
    • 2010
  •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로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이 증대되면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화재 시 폭열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국 화력발전소에서 매립되는 Bottom Ash와 EPS를 재활용하여 건축소재의 내화기준에 만족하고 자원순환 소재의 새로운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난연성이 가미된 경량콘크리트 패널을 개발하여 그 난연 성능 및 벽체로서의 성능을 실험하였다. 실험은 Bottom Ash를 활용한 코팅 경량골재를 2개 Type으로 개발하여 단위중량, Flow, 압축강도, 열전도율, 부착강도, 건조수축, 흡수율, 난연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데이터가 KS기준에 맞게 나왔으며, 난연 성능 또한 1급으로 나왔다. 이로서 폐자재인 Bottom Ash와 EPS를 재활용하여 화재 시 난연성능이 확보됨은 물론 국가성장핵심 사업인 녹색성장에 걸맞은 새로운 경량콘크리트 패널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Trash Can with Automatic Segregation (자동 분리수거가 가능한 쓰레기통)

  • Yeo, Sang-Sam;Lee, Sang-Bin;Park, Jin-s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165-166
    • /
    • 2020
  • 산업화 이후 무분별한 자원 개발로 인해 쓰레기 배출량은 증가하였으나 그 양을 감당할 쓰레기통의 개수는 부족하다. 그리고 쓰레기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의식 부족으로 인해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쓰레기가 같이 버려져 있는 상태를 흔히 볼 수 있다. 작은 예로 자취하고 있는 대학생들 자취방 앞이나 상가 건물 앞에 분류되지 않고 아무렇게나 버려져있는 쓰레기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환경 미화원이 직접 재분류를 하고 청소하는데 시간과 인력 비용이 낭비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보완하고자 쓰레기를 자동으로 분리수거할 수 있는 '자동 분리수거가 가능한 쓰레기통'기술을 제안한다. 이는 분리수거율을 증가시키고 분리수거 다시 할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과 예산을 줄일 수 있고 재활용된 자원을 사용하여 생산 자원을 줄여 원가 절감효과와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원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탄소와 온실가스 방출량을 감소시켜 지구 온난화를 예방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Maps Updating and Checking System using Construction Drawings of e-AIS(around Building Layer) (건축행정시스템(e-AIS)의 건축 도면을 활용한 수치지도 갱신 및 검수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건물레이어를 중심으로))

  • Ga, Chill-O;Yang, Sung-Chul;Kim, Hyo-Joong;Yu, K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62-263
    • /
    • 2008
  • 수치지도는 다양한 GIS 어플리케이션의 기반데이터로 최신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항공사진과 현지측량을 통한 갱신 방법은 짧은 주기로 변하는 현실 세계를 신속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수치지도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건물은 신축, 개축, 증축이 수시로 일어나기 때문에 기존의 갱신 방안으로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건축행정시스템(e-AIS)의 건축 도면 및 대장 정보를 이용한 수치 지도 갱신 및 검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시스템화 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로 수치지도의 갱신 주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 구축된 자료를 재활용한다는 측면에서 효과적인 갱신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CO_2$ absorption of concrete during life cycle of building (건물 생애주기 동안 콘크리트의 이산화탄소 흡수에 관한 연구)

  • Lee, Sang-Hyun;Lee, Han-Seoung;S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04a
    • /
    • pp.577-580
    • /
    • 2008
  • Concrete absorbs $CO_2$ in the air because of carbonation. according to rising concern for lasting earth environment efforts of reducing greenhouse gas, especially co2, are occurred whole industry throughout the world. In this paper selected one building and computed amount of production and absorbtion of co2 during its lifecycle at concrete. In computing amount of absorbtion of co2 considered amount of absorb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concrete changing senarioes of servicelife(40,60,80 years) and deconstruct preiod(60,40,20 years). As a result, size of concrete and maintenance period of disused concrete work increasement of $CO_2$ as main factors.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maintenance period is more important than recycle of unused concrete as a method for reducing environmental load in architectural industry.

  • PDF

Documentation of the History of Ok-Cheon Catholic Church by standardized 2D CAD and 3D Digital Modeling (표준화된 2D CAD와 3D Digital Modeling을 이용한 옥천천주교회의 연혁 기록)

  • Kim, Myung-Sun;Choi, Soon-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
    • /
    • pp.523-528
    • /
    • 2011
  • Ok-Cheon catholic church has been changed 4 times since it's first construction in 1955. Prior three changes were small ones of windows, doors, roof finish etc. but the last alteration was the extension of it's plan from 一 shape to long cross shape and along with it the size, structure and form of it changed. This history of the church has not been recorded in drawing but only in text with indistinct features not documented. This study makes a new 2D CAD files using layers matched the changes and 3D digital models, these have not only present information but also change informations of the church. They are useful data for effective management, conservation restoration or possible reuse of it.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ata Model for Interoperability of Information in Building Disaster Prevention (건물 방재 분야 정보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데이터모델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 Hwang, ByungJu;Kim, Jang-Wook;Kim, Tae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4
    • /
    • pp.30-40
    • /
    • 2019
  • As the urban scale changes and the construction technology develops, the living space is being expanded in three dimensions. However, despite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represented by the appearance of skyscrapers, damage to high - rise buildings with dense population can be rather high. In order to solve such a situation, digital twin technology that can control and predict the real world in real time can be an alternative, and it is necessary to utilize pre-constructed spatial information active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tandardized data model for using existing such information as well as various information produced in the future to the building disaster prevention field. To this end, we developed a data model that extends the CityGML standard, a representative city information model, to disaster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