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_2$ absorption of concrete during life cycle of building

건물 생애주기 동안 콘크리트의 이산화탄소 흡수에 관한 연구

  • 이상현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 대학원) ;
  • 이한승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
  • 송훈 (요업기술연구원)
  • Published : 2008.04.24

Abstract

Concrete absorbs $CO_2$ in the air because of carbonation. according to rising concern for lasting earth environment efforts of reducing greenhouse gas, especially co2, are occurred whole industry throughout the world. In this paper selected one building and computed amount of production and absorbtion of co2 during its lifecycle at concrete. In computing amount of absorbtion of co2 considered amount of absorb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concrete changing senarioes of servicelife(40,60,80 years) and deconstruct preiod(60,40,20 years). As a result, size of concrete and maintenance period of disused concrete work increasement of $CO_2$ as main factors.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maintenance period is more important than recycle of unused concrete as a method for reducing environmental load in architectural industry.

콘크리트는 탄산화 현상을 통하여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최근 지구 환경 지속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인 온실가스 중 특히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려는 노력이 전 지구적, 전 산업에 걸쳐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축산업에서의 주요한 건축재료인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하나의 건물을 선정하여 건물의 생애주기(생산-사용-해체) 동안 이산화탄소의 발생량 및 흡수량을 산정하였다. 특히 이산화탄소의 흡수량 산정에서는 100년의 기간 중, 건물의 사용기간(40, 60, 80년) 및 해체기간(60, 40, 20년)에 변화를 주는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콘크리트 표면적 변화에 따른 흡수량의 변화를 고려하였다. 그 결과 이산화탄소 흡수량의 증대에는 건물의 해체 후 콘크리트의 크기, 즉 표면적과 폐콘크리트의 존치기간이 중요한 영향인자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건축산업에 의한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방안으로 폐콘크리트의 재활용 이전에 존치기간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