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물 에너지 부하

Search Result 23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ventilation performance of a vertical exhaust duct in a high-rise building (초고층 건물의 입상배기관을 통한 환기성능)

  • 김신도;김경분;황의현;김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75-376
    • /
    • 2001
  • 건축 기술의 발달과 도시토지 이용의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초고층 건물이 많이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초고층 건물은 에너지 절약적인 설계로 높은 기밀성을 가질 뿐 아니라, 외주부 또한 개폐할 수 없는 유리벽에 의하여 구획되므로 자연 환기에 열악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초고층 건물의 경우 배기시스템으로 중앙집중배기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중앙배기시스템은 배기입상덕트의 형상 및 규격, 흡출기의 성능, 그리고 기상조건 등 여러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중략)

  • PDF

Time-series big data analytics software on IoT streaming data (빅데이터 기반 대용량 시계열 에너지 데이터 처리 시스템)

  • Kang, Jeonghoon;Yoo, June-Ja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8.05a
    • /
    • pp.52-53
    • /
    • 2018
  • 본 논문은 에너지 빅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대용량의 시계열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설계, 구축 방법을 제시한다. 이미 사용 중인 건물이나 공장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서 정부는 효율자원 시장 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에너지 소비 설비에 따라 고효율 자원으로 변경 설치하는 데 필요한 자금의 일부를 지원하고 있다. 정부지원으로 고효율 설비로 변경함에 따라 실증 사이트에서는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효율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에너지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였다. 해당 측정 정보는 IoT 전력량계를 통해 수집되며, 수집된 데이터는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다양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적용되어, 에너지 소비 효율 평가에 필요한 성능 지표를 연산한다. 구현된 진단 시스템은 기축 건물의 에너지 효율향상 상황을 분석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빅데이터 기반의 에너지 분석 기능을 사용하여 에너지 고효율 장비의 운영시간, 부하율 등의 효율성과 성능통계를 연산할 수 있다.

ESCO탐방-한국하니웰(주)

  • O, Hye-Eun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2
    • /
    • pp.18-21
    • /
    • 2008
  • 한국하니웰(주)(대표 박성호)은 지난 1997년, ESCO사업부 설립 이후 약 10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ESCO사업과 빌딩 자동제어시스템의 접목으로 생산성과 에너지효율 극대화는 물론 자산 가치를 최대로 높이고 있는 하니웰은 최근 서울시가 진행하는 '건물에너지사업' 우선협상권자로 선정되는 등 그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 PDF

Investigation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through Evaluation of Zero-Energy Buildings (제로에너지 빌딩 평가를 통한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한 조사 연구)

  • Chae, Sookwon;Kim, Juhwan;Chae, Hyunbyung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5 no.3
    • /
    • pp.83-94
    • /
    • 2016
  • Energy use has been recognized worldwide as a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and it is at the center of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problems and measures of zero-energy building construction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evaluation criteria of the zero-energy building are suggested. Performance related factors(Q) representing the environmental grade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s outdoor, indoor environment and maintenance. Energy related factors(LR) representing the energy load were divided into an energy, materials & resources, water cycle management, land use and transportation. Detailed fifty three items are listed for the evaluation under the consideration of energy, water cycle management sections gave weight. Upon receiving the first in the environment 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Seoul Central Post Office and Seoul Metropolitan Water Supply Center evaluated. The reason why this score difference is due to lack of use of new generation energy building construction is required expensive costs so need expansion of governmental support. This effort is successful zero energy building construction and copes with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A Study on the Efficient Energy & Manpower Management in Post Office Building : Focused on Introduction of Total Resource Group Management System (우정건축물(郵政建築物)의 효율적(效率的)인 에너지 및 인력(人力) 관리(管理) 방안(方案) - 통합 자원 군(群) 관리시스템의 도입을 중심으로 -)

  • Gang, Oh-Sik;Lee, Sang-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25-30
    • /
    • 2007
  • Most part of the energy consumption of MIC(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mainly due to operation/maintenance of the post office buildings. In this paper, the pattern of energy consumption & operating status in post office buildings in Korea is analyzed. The authors suggest integrated and grouped management of the dispersed post office buildings using internet, through which we can expect increased efficiency.

  • PDF

Development of Simplified Building Energy Simulation Program for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alysis (건물에너지 성능 분석을 위한 간이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Jong-Il;Kang, Yoon-Suk;Ihm, Pyeong-Chan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1 no.1
    • /
    • pp.9-15
    • /
    • 2009
  • There are various types of energy simulation tool to predict both thermal load and energy use. However, the problem about these software is that they have too much input variables and need expert with skills to run the simul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hermal analysis simulation program with input variables which eliminates coordinates of building components instead of using full coordinates by using DOE2. Since the simulation engine of the program is DOE2, the validity of S-DOE is performed by comparing peak heating and cooling load results with VisualDOE and annual energy use results with actual energy use of 1996.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re are little difference between VisualDOE and S-DOE. Also it showed that there are little difference between actual energy use and S-DOE energy use results. S-DOE took less time to model a building than VisualDOE. These results reveals that the application of S-DOE have potentials in accurately predicting both energy load and energy use of the building and still have an advantage of taking less time to model a building.

산업용 축냉시스템의 전력부하평준화 효과분석 기술

  • 양승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315
    • /
    • pp.44-47
    • /
    • 2003
  • 축열시스템(Thermal Storage System)이란 열에너지의 공급과 수요 사이에 있을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 그리고 양적. 질적 부하 격차를 해소함으로써 에너지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이다. 특히 축냉시스템은 심야전력을 이용해서 생산된 냉열을 저장하였다가 주간의 건물 냉방부하에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계절간, 일간 전력부하 격차를 해소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활용된다. 하지만 국내 축냉식 심야전력기기는 건물 냉방용으로만 적용대상이 한정되어 있어 보급에 한계가 있으며, 활용기간도 짧아 국가적으로도 자원 낭비적인 요소가 있다. 따라서 하절기 주간 전력부하의 평준화 효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활용기간이 길며, 적용범위가 광범위한 산업(상업 또 농수축산업 포함)용 냉장$\cdot$냉동 시스템에 축냉시스템 적용을 확대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국내 산업용 축냉시스템 적용의 타당성 및 전력부하 평준화효과 분석기술 개발현황 및 방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건설정책 - 2025년부터 모든 건축물 '제로에너지' 의무화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33
    • /
    • pp.44-46
    • /
    • 2009
  • 국토해양부는 지난 10월 5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녹색성장위원회 회의에서 '녹색도시 건축물 활성화 방안'을 보고했다. 이 방안은 온실가스 감축과 저탄소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해 건축물의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내용의 장기 마스터플랜이다. 녹색건축물 활성화 전략은 에너지소비총량제 등 신축건물 대책과 에너지소비증명서 등 기존 건축물 대책으로 나뉜다. 정부는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단계적으로 강화하여, 2025년부터는 모든 신축 건축물에 대하여 제로에너지 건축물(외부에서 유입되는 에너지가 제로인 건축물)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 PDF

BIM based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BIM을 활용한 친환경 건축 성능 분석(완(完)))

  • Moon, Hyeun-Jun
    • Korean Architects
    • /
    • s.480
    • /
    • pp.57-61
    • /
    • 2009
  •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에너지 사용과 이에 따른 온실가스의 증가로 기후변화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는 산업화에 따른 에너지소비가 주요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에너지소비와 이산화탄소 방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3년부터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 이행국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어 지속가능(sustainable)한 국가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저탄소 녹색성장을 화두로 적극 대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10대 에너지 소비국이면서 97%의 에너지를 외국에 의존하고 있다. 더욱이 이산화탄소배출량은 세계9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선진국과 경쟁을 하기위해서는 산업구조를 시급히 개선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적극적으로 억제하여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전체 에너지 가운데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약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물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환경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건축물의 구축이 시급하며, 관련 기술 개발 및 실제 건축물에 적용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친환경 건축 관련 기술은 오늘날 많은 신축 건물에 적용되고 있으나, 그 성능은 아직까지 미흡한 부분이 많다. 건축물의 설계단계에 환경성능 분석결과가 적절히 반영된다면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매우 우수한 친환경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설계절차 및 성능분석 지원 시스템으로는 건축 설계단계에서 에너지 소비량을 포함한 친환경 성능을 분석하기에 많은 시간의 투입과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다행히 최근에 이러한 건축물의 친환경 성능 분석에 건축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건축정보모델링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설계 데이터뿐 만 아니라 관련 모든 정보를 모델링 하여 건축물의 설계단계부터 건물의 폐기단계까지 활용하는 기술이다. 이미 선진 외국에서는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실무적용 단계에 있으며, 국내에서도 초기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건축정보모델링 기술이 친환경 건축물 구축기술에 활용된다면, 친환경 건축물 구축 및 성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녹색 성장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가 가능해 질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재에서는 지속가능한 설계와 건축정보모델링을 활용한 건축 환경 성능을 분석에 관한 내용을 주제별로 다루고 그 사례를 살표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