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물안전진단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1초

Georeferencing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건축물안전관리 (Building Safety Management using Georeferencing Video Data)

  • 박기연;김기태;손덕재;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1-87
    • /
    • 2009
  • 본 연구는 GPS기반의 비디오시스템에 의해 노후 건축물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관리할 것인가에 연구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휴대용 GPS기반 비디오시스템에 의한 Georeferencing 비디오자료는 신속한 검색과 도시지역의 복잡다양한 노후건축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Georeferencing 자료는 비디오와 GPS가 연계되어 관측위치를 추적할 수 있고 건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정보를 제공하며, 균열정보는 연속영상의 특징점 추적과 영상모자�掠茱珦� 융합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도록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Georeferencing 비디오 기술은 건물안전진단을 위해 보다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도시건축물관리에 유용한 기술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격납건물의 내진안전성 평가 (Seismic Safety Assessment of Containment Building)

  • 이성로;배용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25-23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응답면기법을 이용하여 격납건물의 내진안전성 평가를 하였다. ABAQUS를 이용하여 하중, 저항과 해석에서의 랜덤변수를 고려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였고 이로부터 변수의 다항식으로 표현되는 구조물의 응답을 얻었다. 그리고 Level II에 의해 신뢰성해석을 하였다. 한계상태함수로는 콘크리트의 2축응력 상태를 고려하기 위해 Drucker-Prager 파괴기준을 이용하였다. 구조물의 수명, 지진의 연발생율과 조건부 파괴확률을 고려하여 격납건물의 파괴확률을 계산하였다. 또한 응답면기법의 안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표본점 선정에 대한 민감도해석을 수행하였다.

IDEF0를 이용한 콘크리트 내구성 진단 프로세스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ncrete Indurance Inspections Processes)

  • 이동운;이상범;임남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13-120
    • /
    • 2005
  • 콘크리트 내구성의 손상정도는 건물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내구성에 대한 다각적이고 효율적인 분석은 재건축 판정을 위한 안전진단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각 안전진단기관에 따라 얻어지는 조사 결과의 변동이 심하여 전반적인 재건축 안전진단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저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DEF0 (Integration DEFinition0)기법을 사용하여 진단 업무를 분석하여 관리시스템 구축시 필요한 정보를 업무순서에 따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정보 교환시스템을 작성한다. 제안된 정보 분류는 효율적인 정보 공유를 위한 기반 자료를 제공하며 결과적으로 안전진단의 신뢰성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기대 된다.

1980년대 국내 철근콘크리트 학교건물의 내진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Seismic Safety Evaluation of Korean R/C School Buildings Built in the 1980s)

  • 이강석;위정두;김용인;이현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5호통권57호
    • /
    • pp.149-15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표준설계도면에 의해서 건설된 국내 학교건물을 대상으로 일본 내진진단 기준, 비선형 정적 및 동적해석을 수행하여 내진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내진진단 결과, 구조내진지표($I_S$)는 0.2~0.4로 평가 되었으며, 이 결과는 150gal정도의 지진 규모에서 중규모 이상의 지진피해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비선형 정적해석결과, 장변방향은 부재각 R=1/150rad., 단변방향은 1/100rad.에서 각각 항복하였으며, 비선형 동적해석결과, Hachinohe. EW(200gal)입력지진동에서 대상건물 1층 장변방향 19.85cm 및 단변방향 23.3cm의 최대 지진응답변위를 각각 나타내었다. 지진피해도 판정법을 이용하여 1980년대 국내 학교건물의 내진안전성을 최종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의하면 150gal이상의 지진에서 중규모 지진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예측되며, 내진보강 등 실제적인 지진대책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우리원전 안전한가-한반도 지진발생현황 진단

  • 김영식
    • 과학과기술
    • /
    • 제28권9호통권316호
    • /
    • pp.68-71
    • /
    • 1995
  • 지난 7월25일 오후7시경 서해 백령도 부근에서 규모4.0의 지진이 발생했다. 비록 50초간의 별 피해없는 약진이었지만 백령도에서는 물론 서울을 비롯한 경기 서부북 일대에서도 건물 유리창이 흔들릴 정도의 수준이었다. 이에따라 한반도 지진발생현황을 살펴보고 우리 원전의 안전성을 점검해본다

  • PDF

국부충격에 의한 전단건물의 손상곡선 (Damage Curves for the Shear Building to the Local Impact)

  • 이상호;황신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247-256
    • /
    • 2004
  • 하층충격에 의한 2층 전단건물의 손상곡선을 엄계변위를 발생시키는 하중최대치 비와 임펄스 비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손상곡선 작성에 필요한 구조물의 거동파악은 하중과 임펄스 응답행렬의 합성곱을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합성곱에 필요한 임펄스응답행렬은 모드중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작성된 손상곡선으로부터 하층충격에 의한 각층의 안전성은 상층은 하중의 최대치에 그리고 하층은 임펄스의 크기에 민감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국형 중진지역의 인공지진파 생성을 통한 학교건물 내진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Seismic Safety in School Buildings Applying Artificial Seismic Waves in Earthquake Magnitude of Korea)

  • 김승현;박영빈;강준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0-18
    • /
    • 2022
  • 국내 발생 지진파형을 분석하여 중진지역 특성을 고려하고 내진설계기준에 부합하는 한국형 인공지진파를 생성하였으며, 획일적이고 미관을 손상시키는 일본식 내진보강 공법을 지양하고 한국형 중진지역의 특징을 반영하여 지진의 빈도가 적고 강도가 비교적 강하지 않은 국내 실정에 적합한 학교 건물의 내진보강 공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과다 설계되어 있는 학교 내진보강 시설물을 중진지역 특성에 맞게 최적화하여 내진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기존 학교건물의 내진성능평가에 비해 미적인 요소를 고려하고 효율성 있는 구조기법을 적용한 합리적 보강 기법을 제안하였다.

건축물 안전등급 산출을 위한 외관 조사 상태 평가 데이터 기반 DNN 모델 구축 (Development of a Building Safety Grade Calculation DNN Model based on Exterior Inspection Status Evaluation Data)

  • 이재민;김상용;김승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65-676
    • /
    • 2021
  • 노후 건축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건물의 안전진단, 유지 보수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외관 조사는 점검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수반되어 평가 결과가 다르고 객관성과 신뢰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통해 기실시된 외관 조사 및 상태 평가 프로세스의 한계를 제시하였으며, UAV, Laser Scanner를 통해 3D Point Cloud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Reverse Engineering 기술을 이용하여 3D 모델을 생성한 후 객관적인 상태평가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이후 기존의 정밀검사 데이터와 정밀 안전진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DNN 구조를 생성하고, 고정밀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얻은 상태평가 데이터를 적용하여 객관적인 건물안전등급을 산출하였다. 자동화된 프로세스는 20개의 노후된 건축물에 적용되며 동일 면적 건축물 기준 수작업으로 실시되는 안전진단의 시간에 비해 약 50% 감소하였다. 이후 본 연구에서는 안전등급 결과값과 기존값을 비교하여 안전등급 산출과정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약 90%의 높은 정확도를 가진 DNN을 구축하였다. 이는 향후 노후 건물의 안전등급 산정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비용과 시간을 절약해 경제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