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물밀집도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analysis of GPS accuracy in low-rise and high-density environment. (저층건물 밀집지역에서의 GPS 정확성 분석)

  • Kim, Yoo-Jin;Kim, Jin-Man;Lim, Joa-Sa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491-496
    • /
    • 2009
  • 우리의 생활 속 GPS를 이용한 서비스의 활용분야는 점점 더 넓어지고 있다.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GPS 서비스 품질이 높아지면서 GPS의 정확성을 저하시키는 제한적인 상황들은 정확성 제고를 위한 보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 내 단층건물 밀집지역이 GPS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오차 요인이라고 가정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균 2m 간격으로 밀집된 단층 건물들 사이에서의 GPS의 정확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밀집된 단층건물에서 다중경로 효과로 인한 위도 경도 상의 오차범위와 절대적 오차범위를 산출할 수 있었다. 이것을 바탕으로 단층건물의 밀집도가 관측점에 위치되어 있는 고층건물보다는 GPS 수신에 더 적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GPS 정확성은 앞으로 밀집도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의 GPS 서비스와 건물의 높이에 따른 GPS 정확성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MIMO Channe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Building Density in the Urban Area at the 700 MHz Frequency Band (700 MHz 대역에서 도심 지역 건물 밀집도를 고려한 MIMO 채널 특성 분석)

  • Jung, Myoung-Won;Kim, Jong Ho;Chong, Young Jun;Pack, Jeong Ki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4 no.7
    • /
    • pp.694-700
    • /
    • 2013
  • Urban area is a representative environment of wireless channel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building density has a different distribu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Building density has affect to propagation prediction For this reason, building density is expected to affect to the channel characteristics, we need to analyze it. We measured channel characteristics in urban areas of Jeju island by channel sounder and $4{\times}4$ antenna. Channe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building density were derived based on the measured data in the urban area. In this paper, the measurement data is analyzed and channel characteristics are derived through MIMO Channel measurements at 700 MHz considering the building density in the urban area.

도심건물 밀집지역 배전 Station 건설(상)

  • 강희태;설규환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315
    • /
    • pp.30-37
    • /
    • 2003
  • 오늘날 국민생활에 전기의 의존도는 날로 높아지고 또한 매우 다양하고 고품질의 전력공급을 요구하고 있으며 정보산업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고객의 기대수준에 전력공급설비의 발달이 미처 따라주지 못하고 있어 고객에게 감동을 주는 서비스의 실현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서울 명동지역은 구건물의 밀집지역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고 외국인 관광객들의 명소로 점차 자리잡아 가고 있는데 반해 전력공급설비는 국내 초기 지중화지역으로 기기설치 공간이 부족하여 노후된 건물 옥상에 다수의 변압기, 케이블이 설치 운영되고 있어 설비관리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신규전력공급에 부응치 못하는 한계에 도달, 특히 밀집상가의 화재발생 우려 등 많은 문제점으로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 되었다. 따라서 이 난해한 문제의 해결과 설비개선을 위해 보다 근원적인 대책을 모색하고자 ‘99년 초 한국전력공사 서울지역본부에 설비혁신 Task-Force를 운영, 명동지역에 가칭 배전 Station 건설을 포함한 종합정비사업을 추진키로 하였다. $\ulcorner$배전 Station$\lrcorner$ 이란 건물 내에 개폐기, 변압기 등 전력기기를 모두 수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소형 배전형 변전소 형태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찾아보기 힘든 경우라 할 것이다. 건울과 설비가 복잡하기로 유명한 유서 깊은 명동지역의 특수한 주변 환경과 조화된 안정적 전력공급의 획기적인 대안으로 실현되고 있는 영동 배전 Station은 현재 3개소를 추진하여 준공단계에 있으며 도심건물 밀집지역의 전력공급에 만전을 다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PDF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s of the power induction screening factor in urban and rural areas using the building density distribution (건물 밀집도 분포를 이용한 도시와 시골의 전력유도 차폐 계수 적용 방안 연구)

  • Choi, Mun-hwan;Lee, Snag-mu;Cho, Pyu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500-502
    • /
    • 2013
  • The metallic underground pipes like as metropolitan water supply pipes and gas pipes have a screening effects for power induction phenomenon. Generally, urban area has more metallic underground facilities than rural areas because of its buildings or population density. So we can expect high screening effects for the power induction in urban areas, and we call it the city screening factor. We had carried out the measuring test in urban and rural area respectively 30 sites to prove the actual effects of city screening factor and we derived the numerical value of city screening effects. But we faced with a difficult question that how we can classify the real urban areas or rural areas correctly.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classification method using density of building in test area to apply the city screening factor reasonably.

  • PDF

업계취재 - 사학연금관리공단

  • Jo, Tae-Yeop
    • 방재와보험
    • /
    • s.27
    • /
    • pp.40-41
    • /
    • 1985
  • 고층건물이 집중적으로 밀집돼 있는 여의도 한복판에서 유난히도 눈을 끄는 시원스러운 건물이 있다. 국회의사당앞 지하차도를 벗어나면 오른편에 우뚝 솟아있는 세련된 외관의 사학연금회관 -. 건물 정면의 주차장을 겸한 넓다란 공간은 기능면에서 뿐아니라 균형잡힌 조형미가 뛰어나 고층건물이 항용 지니는 저항감을 크게 상쇄시킨다. 사립학교 교직원들의 복지후생을 목적으로 설립된 지상21층, 지하3층의 사학연금회관의 방재시설 현황은 어떠하며 불의의 재난에 과연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가를 알아본다.

  • PDF

Extraction of 3D Building Information using Shadow and Vertical Lines Analysis of Building from a Single Satellite Image (단일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부터 건물의 그림자와 연직선 분석을 통한 3차원 건물정보 추출)

  • Lee Tae-Yoon;Kim Tae-Jung;Lim 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24-27
    • /
    • 2006
  • 항공사진이나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부터 건물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이전부터 수행되어 왔다. 많은 연구들은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하여 DEM을 생성하고 이로부터 3차원 건물 정보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위성영상만을 이용하여 3차원 건물 정보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가상의 그림자를 영상에 투영시키고, 투영된 그림자와 영상 위에 나타난 실제 건물의 그림자가 일치했을 때, 건물의 높이를 결정한다 결정된 건물 높이를 이용하여 연직선을 생성시키고, 이 연직선을 따라서 건물의 지붕 외곽선을 이동시키면, 이동된 지붕 외곽선은 건물의 바닥 외곽선이 된다. 이를 통해서 건물의 높이와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건물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지표면에 나타난 건물의 그림자가 다른 건물에 가려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은 지표면 위에 나타난 그림자를 이용한 방법과 그림자를 가린 건물 정면에 나타난 그림자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한다.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스테레오 영상에서 추출한 건물의 높이와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으로 추출한 건물의 높이를 비교하였다. 두 방법에 대해서 각각 30개의 건물 높이를 비교한 결과 RMSE는 약 1.5 m로 나타났다.

  • PDF

장려상 서무영, 배충열, 이대범_ 강원대-SAC조와 Cable 현수 구조를 이용한 초고층 건물

  • Korean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 건축구조
    • /
    • v.12 no.4
    • /
    • pp.80-81
    • /
    • 2005
  • 고층화의 최대 장점은 과밀한 수평 밀집 환경을 건축물의 수직적 확장으로 과밀 현상에서 다층 보행자 시스템으로 대지의 공지를 활용하는데 있다. 이러한 초고층 건물은 특성상 건물의 강도, 강성,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가 이루어졌고,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비교적 건물 내의 대공간 확보와 평면의 자유를 얻기 힘들었다. 그래서,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그 대안으로 SAC조와 현수교 구조(Cable)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Flood Analysis on Surface Detail of Inundation Risk Area (지형 해상도에 따른 침수위험지역 침수해석 분석)

  • Tak, Yong Hun;Park, Mun Hyun;Kim, Young Do;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3-113
    • /
    • 2016
  •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도시지역에서는 호우에 의한 침수피해가 더욱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인구와 건물이 밀집한 도시지역은 불투수율이 높아 호우 발생시 홍수 위험도가 커지고 있으며, 침수에 의한 사유재산뿐만 아닌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도시는 건물과 건물 사이로 도로 네트워크가 복잡하게 설계되어있다. 이러한 건물과 도로들은 투수성이 떨어지며, 지하공간과 건물들이 발달하여 유역지표면의 가하학적 형상이 매우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도시지역은 저류 및 침투능이 부족하고, 지역의 특성에 따라 내수배제시설이 부족하여 우수관망에 대한 우수배제의 의존도가 높으며, 호우에 의한 침수와 관거 월류에 의한 침수피해 발생시 우수는 도로를 따라 저지대로 흐르며 침수지역이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도시지역의 침수를 예측하기 위한 침수해석에는 지형의 높낮이, 형상을 고려한 예측이 필요하다. 특히 건물 및 도로망이 복잡한 지역일수록 지형이 정교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지형이 적절히 고려되지 않은 침수해석은 침수예상지역을 다소 과대 또는 과소하게 나타낼 수 있고, 침수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건물과 도로가 밀집된 도시지역에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예상치 못한 지역에서 침수가 발생하여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이는 곧 인명과 재산피해로 이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침수피해가 있었던 도림천 유역을 대상으로 지형자료의 해상도에 따른 침수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수관망과 도시지역의 유출모의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SWMM 모형을 활용하여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10m DEM, 1:1,000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지형상세도의 변화에 따른 침수모의를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