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기 총 유출량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ffects of Changes of Climate, Groundwater Withdrawal, and Landuse on Total Flow During Dry Period (기후, 지하수 취수 및 토지이용 변화의 건기 총유출량에 대한 영향)

  • Lee, Kil-Seong;Chung, Eun-Sung;Shin, Mu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4-168
    • /
    • 2006
  • 본 연구는 SWAT 모형을 이용하여 기상, 지하수 취수, 토지이용 변화에 대한 건기 총유출량의 민감도를 제시하였으며 더 나아가 보다 일반적인 건기의 총 유출량을 추정하기 위해 건기 총강우량, 전 우기 총강우량, 평균 일 최대온도, 일평균 태양복사량과 같은 기상 변수들과 지하수 취수량 및 도시면적 비율을 이용하여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식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온도와 강우량의 변화에 대한 건기 총유출량의 변화율을 제시하였는데 기후변화로 인해 온도가 $1^{\circ}C$ 상승할 경우 7.7%, $2^{\circ}C$ 상승시 17.1%, $3^{\circ}C$ 상승할 경우 27.9%의 건기의 총 유출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건기 총 강우량이 5% 감소할 경우 유출량은 5.63%, 10% 감소할 경우에는 10.41%, 15% 감소할 경우는 14.2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 취수량은 총 유출량과 관계가 높은데 반해 토지이용 변화는 산간유역인 대상유역의 경우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식은 기저유출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강우와 기온 및 태양복사량을 포함하는 기상상태, 지하수 취수량, 도시면적 비율을 변수로 갖는 식이므로 대상유역에 대해 미래 건기의 수자원 확보량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Effects of Changes of Climate, Groundwater Withdrawal, and Landuse on Total Flow During Dry Period (기후, 지하수 취수 및 토지이용 변화의 건기 총유출량에 대한 영향)

  • Lee, Kil-Seong;Chung, Eun-Sung;Shin, Mun-J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11 s.172
    • /
    • pp.923-934
    • /
    • 2006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variability in climate, groundwater withdrawal, and landuse on dry-weather streamflows were investigated by input sensitivity analysis using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ince only dry-period precipitation and daily average solar radiation among climate variables hav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to total flow (TF), sensitivity analyses of those were conducted. Furthermore, an equation was derived from simulation results for 30 year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may be used to estimate effects of various climatic variations (precipitation during the dry period, precipitation during the previous wet period, solar radiation, and maximum temperature). If daily average maximum temperatures increase, TFs during the dry period will decrease. Sensitivities of groundwater withdrawal and landuse were also conducted. Similarly, groundwater withdrawals strongly affect streamflow during the dry period. However, landuse changes (increasing urbanization) within the forested watershed do not appear to significantly affect TF during the dry period. Finally, a combined equation was derived tha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runoff during the dry period and the climate, groundwater withdrawal and urban area proportion. The proposed equation will be useful to predict the water availability during the dry period in the future since it is dependent upon changes of temperature, 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urban area ratio, and groundwater withdrawal.

ILLUDAS-NPS Model for Water Quality in Urban drainage (도시유역의 수질해석을 위한 ILLUDAS-NPS 모형)

  • Kim Tae-Hwa;Lee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482-486
    • /
    • 2005
  • 불투수지역의 증가에 따른 도시지역의 비점오염원 해석 및 예측은 수자원 관리측면에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측자료의 부족, 오염물질 발생경로의 불명확, 간헐성, 강우 및 유역특성에 따라 오염부하량 및 첨두농도 등의 변화가 심하므로 인하여 연구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자료수집과 국내실정에 맞는 모형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강우에 의한 수질항목별 오염부하량 및 농도계산이 가능한 ILLUDAS-NPS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국내의 도시지역 유출해석에 주로 사용되는 ILLUDAS 모형에 건기 및 우기시의 수질해석 과정들을 추가하여 해석되어 진다. 건기시의 경우 유량 및 수질 계산은 계수지정법을 사용하였으며, 우기시의 경우 유량계산은 기존 ILLUDAS 모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였고, 수질 계산은 일일 오염물 축적법과 쓸림방정식을 적용하여 계산시간별 오염물질 부하량 및 농도 등을 계산하였다. 모형의 검정을 위하여 홍제천 시험유역의 총 3가지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총부하량, 첨두농도, 첨두농도 발생시간 등에서 전반적으로 실측치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ILLUDAS-NPS 모형과 SWMM, STORM 등의 기존 도시유출$\cdot$수질 모형들에 의한 결과들의 비교에서 SWMM 모형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합리적이고 보다 정확한 비점오염 해석을 위하여 도시지역의 건거시 오염물질의 축적율 및 초기강우에 의한 오염물질 쓸림량 등에 관한 실험 및 현장자료 축적이 필요하다.월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유입수가 저수지로 유입되면서 초기수위가 높은 경우에 운동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멸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탁수층의 두께도 8월 성층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층의 8월 수온분포 또는 밀도분포가 상대적으로 균일하기 때문에 연직방향 이송$\cdot$확산이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이는 토성간의 침투속도 및 투수속도의 경향이 반영된 것이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지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I(mm)=I_{10}{\times}1.17{\times}e^{-0.0164s(\%)}$로 나타났다. 같은 조건에서 강우량과 유거수의 관계는 $Ro_{10}(mm)=5.32e^{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

  • PDF

Removal Efficiency and Applicability Analysis of Suspended Solids in Nonpoint Source Reduction Equipment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부유물질 제거효율 및 적용성 분석)

  • Jang, Suk-Hwan;Lee, Jae-Gyeong;Lee, Hae-Gwang;Oh, Ji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5-245
    • /
    • 2018
  • 최근 도시화 및 산업화의 발달로 불투수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건기 시 토지 표면에 축적된 오염물질이 강우유출수와 함께 하천으로 유출되는 등 수질오염의 가중과 불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집중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환경기초시설 등의 건설로 점오염원 관리는 강화되었지만, 비점오염원의 부하량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환경부 및 관계부처에서는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여러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점오염저감장치는 자연형 시설과 장치형 시설로 구분되는데, 이 중 장치형 시설은 필터를 사용하여 비점오염저감의 효율성을 증가시키지만,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유지관리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필터가 없는 장치형 시설을 고안하여 자연 순환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고, 오염물질을 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리실험을 통해 비점오염원의 제거효율을 분석하였다. 수리학적 상사법칙에 따라 원형대비 1/3축소모형과 2가지의 원형모형에 대해 총 3가지 모형에 대해 환경부에서 고시한 비점오염저감장치 기준을 뛰어넘는 유역면적, 강우강도 및 부유물질의 양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유입수 농도에 대한 유출수의 농도로 계산하였으며, 장치에서 유출 직후 5분 간격으로 채취한 후, 수질공정시험법을 참고하여 부유물질에 대한 실험 중 하나인 유리섬유여과방법을 이용해 실험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고안한 장치형 시설은 필터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환경부 기준인 부유물질 제거효율 80%이상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치형 시설보다 유지관리 및 경제성 등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ies on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in the Keum River Estuary, Korea 1. The Cycle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 General Considerations (금강 하구에서의 화학적, 생물학적 제과정에 관한 연구 1. 질소계 화합물의 순환 : 전반적 고찰)

  • 김경렬;기준학
    • 한국해양학회지
    • /
    • v.22 no.3
    • /
    • pp.191-206
    • /
    • 1987
  • Keum River discharges 6.4billion tons of fresh water annually into the Yellow Sea. More than 60% of the total discharge is concentrated in summer, differentiating distinct low-discharge and high-discharge periods for the estuarine environment. The concentration of SPM(Suspended Particulate Matter) is, in general, very high, except sometime during rainy season, and turbidity maximum is often observed, especially during spring-tides(Lee and Kim, 1987).

  • PDF

Analysis of pollutant behavior in sediments in a Rain Garden through long-term monitoring (레인가든 내 장기모니터링을 통한 오염물질 거동분석)

  • Jeon, Minsu;Choi, Hyeseon;Reyes, N.J. DG.;Kim, Le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39-339
    • /
    • 2020
  •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와 기후 변화로 인한 강우패턴의 변화 자연적 물순환 체계에 악영향을 미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도시 내 빗물관리 및 비점오염원 저감이 가능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를 적용하고 있다. 건기시 도로, 주차장등 차량통행 및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는 입자상 물질들이 많이 발생되어 노면에 축적되어 있다가 강우시 강우유출수를 통해 시설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시설 내 오염물질 및 퇴적물이 축적되어 여재 공극막힘현상 및 침투율저하의 문제가 발생되어 시설 내 효율이 감소된다. 따라서, 레인가든의 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시설 내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성상 분석 및 시설 내부의 퇴적물 분석을 통해 LID시설 운영의 효율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모니터링은 강우시 모니터링과 건기시 집수구역, 침강지, 시설 상부, 중부, 하부 등 총 5곳에서 채취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은 평균 선행건기 일수는 5.46±4.7 days, 평균 강우량은 14.31±11.4 mm, 평균 강우강도는 5.33±6.7 mm/hr의 강우사상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시설 내 평균 유입수농도는 TSS 98.0 ± 32.7 mg / L, COD 133.6 ± 6.3 mg / L, TN 5.77 ± 4.05 mg, TP 0.54 ± 0.03 mg / L으로 분석되었다. 유입부 내 퇴적물 종류는 Sandy Clay Loam으로 나타났으며, Cr 0.36mg / kg, Cu 5.17 mg / kg and Pb 6.04 mg / kg으로 중금속의 함유량이 높은것으로 분석되었다. 퇴적물은 침강지 및 시설 유입부에서의 입자크기는 49-113㎛ 약 60%의 퇴적물이 축적되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내 침강지에서 50㎛ 이상의 입자들이 여과, 흡착 및 침전으로 인하여 40% 이상의 입자들이 제거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50㎛ 미만의 입자들은 시설 내 중간부, 유출부에서 제거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침강지에서 유입수 대부분의 입자상물질들이 흡착 및 여과로 인한 제거가 이루어지기에 침강지 여재부는 넓은 표면적, 우수한 흡착능 및 여과율을 고려하여 선정하영 하며, 잦은 교체를 위하여 중량성이 낮은 우드칩 등이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stormwter runoff from highways with unit traffic volume (고속도로 자동차 통행량에 따른 강우유출수 유출 특성 분석)

  • Choi, Jiyeon;Hong, Jungsun;Kang, Heeman;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8 no.3
    • /
    • pp.275-281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highway depending on the number of vehicles and to provide the installation proposal of an NPS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There were a total of 5 monitoring sites used for the study namely, Gyeongbu, Seohaean, Honam and Tongyeoung Dageon highway. Monitoring events started from 2006 until 2015 having a total of 44 storm events. According to monitoring statistics, the average antecedent dry days (ADD) and rainfall was 6.2 days and 19.2 mm, respectively. The Gyeongbu Highway (H-4) was recorded having the highest Average Daily Traffic and Catchment Area (ADT/CA) with $49.4car/day{\cdot}m^2$ while other site were less than $10car/day{\cdot}m^2$.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NPS pollutants generated from monitoring sites were 63.5 mg/L(TSS), 24.9 mg/L(BOD), 3.35 mg/L(TN), 0.63 mg/L(TP) and 298 ug/L(Total Zn). This exhibited lower values in comparison to the remarks of highway related runoff EMC values published in Korea. Moreover, through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ontaminant concentration and ADT/CA, $R^2$ value of S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585. Through the correlation equation between ADT/CA and EMC of TSS, when there is 73.7 mg/L of TSS EMC found from a domestic highway, ADT/CA ratio is normally $13car/day{\cdot}m^2$. Therefore, in a case of more than 13 cars passing through a certain area, the area can be considered and present as the point of gener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Also, in this study, since it considered a unit area ADT indicated in previous studies, it was determined that it has a high applicability and utilization in generalized units than conventional study which were conventionally done.

Suspended Sediments Influx and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Composition in Semi-enclosed Bay -Spring Season in Yeoja Bay South Coast of Korea- (반폐쇄된 만내 부유퇴적물 유.출입과 표층퇴적물 조성 변화 -남해 여자만 봄철-)

  • Choi, Jeong-Min;Woo, Han-Jun;Lee, Yeon-G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0 no.1
    • /
    • pp.1-12
    • /
    • 2007
  • Mooring survey for measurement of tidal current and suspended sediments was carried out at 4 inlets of Yeoja Bay in April, 2000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urce of sediment supply. Net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load during 2 tidal cycles through the M-1(West Inlet) was $133.88\;kg{\cdot}m^{-1}$ toward the Yeoja Bay, whereas the flux through the M-2(Jabal Inlet) was outward the Bay with the amount of $146.43\;kg{\cdot}m^{-1}$. The influx through the M-3 and 4(Bulgyo and Dong Isa Stream) was $23.25\;kg{\cdot}m^{-1}$ and $4,312.31\;kg{\cdot}m^{-1}$ toward the Yeoja Bay, respectively. Influx of suspended sediment on Yeoja Bay mainly occurred in the Dong Isa Stream. In the wet season the composition of surface was coarser-grained than dry season, possibly due to the influx of silty sediment from Dong Isa Stream In the wet season.

  • PDF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 and Size for Underground Sluiceway Design (지하방수로 설계를 위한 적정 위치선정 및 규모 결정에 관한 연구)

  • Lee, Jong-Tae;Lim, Taek-Sun;Hur, Sung-Chul;Park, S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5
    • /
    • pp.137-145
    • /
    • 2008
  • In this study, to reduce the flood damage caused by flood discharge exceeding project flood, the primary technology was applied to determining the optimal location and size for underground sluiceway. The Jungrang Stream was selected for this study because the stream was overflowed and the embankment section of the stream was destroyed owing to localized torrential rainfall in 1998 and 2001. Considering 200-year frequency storm, the inlets of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were located at Seoul City limits, the confluence of Danghyun Stream, Wolgye 1-gyo, and the confluence of Mukdong Stream. The outlets were located at the estuary of Jungrang Stream and rightbank of Banpo Bridge in Han River. The transverse discharg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overflow depth at the inlet of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was estimated and the effect of inundation reduction was analyzed. To examine the appropriate scale of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the 8 operation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outlet discharge were compared considering four rules (only storage, the constant discharge rate, the constant discharge volume, and the mixture of the constant discharge rate and discharge volume). As a result, the effect of inundation reduction was most 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inlet was located at the confluence of Danghyun Stream. The appropriate size of underground sluiceway for 200-year frequency storm was studied, and as a result, the appropriate diameters of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were 12 m in case of only storage(Rule D), 9m in 50% of discharge(Rule E), 8 m in constant discharge volume(Rule F), and 7 m in mixture method(Rule G). This investigation process can be applied to design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when the inundation damage is significant in coastal area due to embankment overflow.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in Jungrang Stream can also be used as an underground road to link Seoul City to Uijeongbu City during dry sea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