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pended Sediments Influx and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Composition in Semi-enclosed Bay -Spring Season in Yeoja Bay South Coast of Korea-

반폐쇄된 만내 부유퇴적물 유.출입과 표층퇴적물 조성 변화 -남해 여자만 봄철-

  • Choi, Jeong-Min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Woo, Han-Jun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Lee, Yeon-Gyu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최정민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우한준 (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연구사업단) ;
  • 이연규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Published : 2007.02.25

Abstract

Mooring survey for measurement of tidal current and suspended sediments was carried out at 4 inlets of Yeoja Bay in April, 2000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urce of sediment supply. Net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load during 2 tidal cycles through the M-1(West Inlet) was $133.88\;kg{\cdot}m^{-1}$ toward the Yeoja Bay, whereas the flux through the M-2(Jabal Inlet) was outward the Bay with the amount of $146.43\;kg{\cdot}m^{-1}$. The influx through the M-3 and 4(Bulgyo and Dong Isa Stream) was $23.25\;kg{\cdot}m^{-1}$ and $4,312.31\;kg{\cdot}m^{-1}$ toward the Yeoja Bay, respectively. Influx of suspended sediment on Yeoja Bay mainly occurred in the Dong Isa Stream. In the wet season the composition of surface was coarser-grained than dry season, possibly due to the influx of silty sediment from Dong Isa Stream In the wet season.

여자만 내의 봄철 퇴적물 공급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만 입구(서수도: M-1, 조발수도: M-2)와 하천 유입구(벌교천: M-3, 동천, 이사천: M-4)에서 부유퇴적물의 유 출입량 변화를 관측하고, 만 내 표층 퇴적물 조성과의 상관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여자만에서 2조석 주기동안 단위 폭 당 부유퇴적물은 M-1(서수도)정점을 통하여 $133.88\;kg{\cdot}m^{-1}$ 유입되고, M-2(조발수도)정점을 통하여 $146.43\;kg{\cdot}m^{-1}$ 유출되며, M-3(벌교천) 정점을 통하여 $23.25\;kg{\cdot}m^{-1}$, M-4(동 이사천) 정점을 통하여 $4,312.31\;kg{\cdot}m^{-1}$ 유입된다. 여자만 내의 봄철 부유퇴적물 유입은 만 입구에서는 거의 없으며 북쪽의 동 이사천에서 주로 유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만 내의 표층퇴적물 조성이 건기 때 보다 우기 때가 더욱 조립하게 나타나는 것은 만내 퇴적물 주 공급원인 동 이사천에서 우기시 실트질 퇴적물이 다량 유입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