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 통제위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1초

부산.경남 지역 소비자의 건강식품 섭취자와 비섭취자의 특성 비교 및 섭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between Intake and Non-intake Respondents of Health Foods, and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Consume Health foods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

  • 김미라;임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98-807
    • /
    • 2007
  • 본 연구는 건강식품 섭취자와 비섭취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및 사회 심리적인 변수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향후 건강식품의 섭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부산 및 경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 45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Windows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의 48.%가 건강식품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식품 섭취자의 주된 섭취 이유는 일반적인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서이었으며, 비섭취자의 비섭취 이유는 건강해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식품 섭취자와 비섭취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여성인 경우, 연령이 $30{\sim}39$세이며,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경우, 기혼자이며 월가계 소득이 $2,000,001{\sim}3,000,000$원인 경우 건강식품을 섭취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사회 심리적 요인을 비교해보면 건강식품 섭취자는 비섭취자에 비해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자가 건강 상태 평가 및 동년배 비교시 자가 건강 상태 평가에서 건강 상태가 좋지 않고,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건강식품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내적 통제위 성향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향후 건강식품 섭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향후 건강식품을 섭취할지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집단에 비해 건강식품을 섭취하지 않겠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경우, 학력, 월가계 소득, 결혼여부,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도, 현재 건강식품의 섭취 여부가 유의하였다. 한편 향후 건강식품을 섭취할지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집단에 비해 건강식품을 섭취하겠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경우, 성별, 건강에 대한 관심도,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도, 건강식품에 대한 인식도, 타인 의존 통제위, 내적 통제위, 현재 전강식품의 섭취 여부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대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nteceden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신혜숙;신현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78-86
    • /
    • 2008
  • 본 연구는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가설적 모형을 도출하고, 여대생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를 횡단적으로 조사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선행 문헌의 고찰을 근거로 선정되었으며, 총 280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설문지는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으며, 조정요인 5문항, 건강상태 지각 3문항, 건강 통제위 4문항, 자아 존중감 5문항, 건강증진 행위 24문항의 총 41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개발된 항목에 대하여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인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모형에 대한 구성개념의 파악을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항목에 대한 요인별 단일 차원성 확인 및 통계적 검정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는 카이제곱은 244.04(자유도=121, p<0.001), GFI=0.91, CFI=0.97, NNFI=0.96, RMSR= 0.022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여대생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위는 건강상태지각 및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여대생의 건강상태지각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호대학생의 중동 호흡기 증후군 예방을 위한 손 씻기 수행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Hand washing and Preventive Measures for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 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27-435
    • /
    • 2016
  • 최근 중동 호흡기 증후군의 발현으로 손 씻기가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동호흡기 증후군의 예방을 위하여 손 씻기의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질불안, 건강통제위,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314명의 간호 대학생들에게 중동 호흡기 증후군을 예방하는 방법, 손 씻는 횟수, 기질불안, 건강통제위, 건강증진행위에 대하여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손 씻기 수행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손 씻기 중요도 이였으며, 손 씻기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적통제위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간호 대학생이 손 씻기가 중동 호흡기 증후군의 가장 중요한 예방법으로 인지하였다. 이에 손 씻기의 중요성과 내적 통제위를 강화한 건강교육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의 월경곤란증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premenstrual syndrome in adolescent)

  • 정은자;이유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81-86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월경곤란과 월경 불편 시 대처유형을 조사하고,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들의 건강통제위는 내적통제위, 타인의존통제위, 우연통제위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처유형으로는 적극적 행위대처, 적극적 인지 대처, 회피적 대처 순으로 나타났다. 월경곤란시 대처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내적통제위, 월경불편감, 병원 방문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11.7%이며, 회피적 대처에 대한 모형설명력은 9.6%로 월경불편감, 병원 방문 순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학생들의 생활 양식을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과 영향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Long-term Care Workers)

  • 김향수;김희경;박연숙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591-60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로 신설된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 정도와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서술적 연구로써 D시, C도 G시, C도 C시, K도 O시에 소재하고 있는 요양원 3곳, 재가복지센터 3곳, 요양병원 3곳의 요양보호사 185명을 대상으로 2009년 11월 12일에서 4주 동안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평균연령은 48.1세, 대다수 여성(95.1%)이며, 기혼자로서 배우자가 있고(79.5%), 고등학교 이상 졸업자(76.8%)가 많았다.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 정도는 평균점수 3.68점, 소명의식 3.41점, 외적 통제위 성격 3.23점으로 보통 이상이며, 내적 통제위 성격은 4.12점으로 내적 통제위 성격이 강한 것으로, 교육훈련 유효성은 3.71점, 직업의식은 3.97점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식과 관련 요인들의 관계에서, 직업의식과 내적 통제위 성격은 낮은 정 상관관계(r=.378, p=.000)를, 외적 통제위 성격은 낮은 역 상관관계(r=-.356, p=.000), 자기효능(r=.420, p=.000), 소명의식(r=.636, p=.000), 교육훈련 유효성(r=.441, p=.000)은 보통 정도의 정 상관관계를 보였다.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소명의식(B=.329, p=.000)이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훈련 유효성(B=.250, p=.000), 내적 통제위 성격(B=.216, p=.000), 외적 통제위 성격(B=-.165, p=.002), 요양보호사 선택시 자기 특성 고려(B=.207, p=.004) 순으로 전체 설명력은 57.5%로 나타났다. 추후 요양보호사에게 소명의식 제고 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내적 통제위 성격 강화훈련, 요양보호사의 역할과 업무를 정확히 규명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요인들을 활용하여 직업의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 연구를 제언한다.

여대생의 건강통제위와 운동 자기효능감, 운동 유익성 및 장애성 (Health Locus of Control,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Benefits / Barrie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하주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6-125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benefits / barrie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Convenient sampling was used to recruit participants from a University based in Pusan.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5 to December 20, 2007, and participants were 322 students. The questionnaires administered consisted of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HLOC) Scales, Exercise Self-efficacy Scale, and Exercise Benefits / Barriers Scale.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mean scores for the HLOC among female students was HLOC-I: 22.24, HLOC-P: 16.82, HLOC-C: 15.16. The mean scores were exercise self-efficacy: 37.45, exercise benefit: 2.96, and exercise barriers: 2.89. The 'double external' response pattern of HLOC was the largest group in female student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benefit between response patterns of HLOC.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HLOC-I,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benefit/barrie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ailored health management program by pattern of HLOC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exercise behavior and enhance the exercise self-efficacy and benefit for female students.

여대생의 건강통제위와 건강증진행위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College Women)

  • 신혜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24-23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33 college women at D University in Seoul.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Health Locus of Control developed Wallston et al(1978) (by modified Lee, 1994), Health Promoting Behavior Scale developed by Walker et al(1987) were modified by researcher. The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Hypotheses 1 that higher the score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the higher the score of the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upported(r=.4951, p<.001). Hypotheses 2 that the higher the score of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the lower the score of the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upported(r=-.3383, p<.001). 2. By mean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ealth locus of control provided explained 24.5%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3.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a major field of study, experience in learning health education.

  • PDF

학령기 아동의 비만도, 체중조절 건강통제위와 건강증진행위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장지연;방경숙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27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locus of control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s degree of obesity, and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two variables. Methods: Three hundreds and sixty thre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participa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HLOC) scale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HPLP) were used. Results: Obese children was 16.8% of all research subjects. Internal HLOC in over weight group was higher than normal weight group (F=3.611, p=.014). Chance HLOC in under weight group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F=3.553, p=.015). External HLOC in over weight and obesity group was higher than normal weight group (F=3.553, p=.015). Correlations between HLOC in internal and external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 (r=.347, p<001; r=.207, p<001). Also, children who did not have siblings and have obese parents showed higher rate of obesity, and lack of sleeping time tend to be related to obesity. Conclusion: External HLOC of obesity children is higher than that of normal weight children. Meanwhile, obese children with higher internal HLOC were good at doing health-promoting behaviors. Therefore, if obese children are trained for internal health control, it can lead to their health-promoting behaviors.

  • PDF

만성 간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시행 실태와 건강 통제위의 영향 (Application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Therapies(CAT) and Influence of Health Locus of Control on CAT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 손행미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99-411
    • /
    • 200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CAT)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health locus of control (HLOC) on CAT. Method: Questionnaires on CAT and a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MHLOC) scale developed by Wallston and Wallston were completed by 141 patients. Result: Analysis showed that 44.7% of the patients had experience with CAT and 49.2% of the patients reported being willing to use CAT. Reliability scores for the scale were HLOC-I 0.7376, HLOC-P 0.6383, HLOC-C 0.7351. The mean scores for the HLOC were HLOC-I 24.86, HLOC-P 22.86, HLOC-C 16.00.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scores for HLOC between the patients who had used CAT and those who had not. Eight response Patterns for HLOC were identified. Among them, 'yea sayer' was the largest group (27.0%).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yea sayer' pattern between the group who had used CAT and the group who had not. Conclusion: CAT relates to various cognitive factors such as HLOC. Further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HLOC on CAT and its response patter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