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 관련 삶의 질

검색결과 826건 처리시간 0.03초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Medicaid Beneficiaries)

  • 홍선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80-489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Korean Medicaid beneficiaries.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and HRQoL were analyzed. Methods: Data from the 2007 survey on Health Services Use and Health Status of Medicaid Beneficiaries conducted by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were examined. To analyze the sample survey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survey regression analysis with SAS 9.1.3 package were used with SURVEYMEANS and SURVEYREG procedures, which incorporate the sample design into the analyses in order to make statistically valid inference for the whole Medicaid population. Results: The HRQoL correlated with limitation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r=-.509, p<.001), stress (r=-.387, p<.001), depression (r=-.385, p<.001), alcohol consumption (r=.216, p<.001), and exercise (r=.293, p<.001).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HRQoL of Medicaid beneficiaries were gender, region, limitations in ADL, stress, depression, alcohol consumption, and regular exercise. These variables explained 44.6% of HRQoL (F= 215.00, p<.001).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o improve the HRQoL of Medicaid beneficiaries it is important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focus on psychological health and health behavior and to give consideration to differences in gender and region.

일부 농촌지역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 취약계층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 (EQ-5D) 수준 및 관련요인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 김종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9-109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evels of quality of health-related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vulnerable elders aged 65 or higher receiving visiting health care benefits by a public health center in a county. Results: Levels of health-related EQ-5D were high when the subjects were males, their ADL and IADL were high. The EQ-5D of the vulnerable elders and social support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ir IADL and depress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EQ-5D. We can see that the EQ-5D related factors are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ce influence on gender, subjective health status, BMI, IADL, depression levels, and social support. Conclusion: To improve the EQ-5D of the vulnerable elderly, it needs maintenance of independent IADL levels, social supporting systems using small meeting of the elderly in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maintain independent IADL levels, enhance social supporting systems including small group gatherings for elders living alone by means of places like community halls, and develop specific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epressive elders.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웰다잉 인식, 건강 관련 삶의 질 및 노인시설 관련 거부감 (Recognition of Well-dy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Repulsion-related Nursing Home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김소영;이현주;김숙남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1-41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well-dy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nd repulsion-related nursing homes and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 A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among 505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over 65 year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5 to November 30, 2023, and analyzed using a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WIN 26.0. Result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subjects' recognition of well-dying was 2.30, HRQoL was 0.84, and repulsion-related nursing home was 3.31 points. Recognition of well-dy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RQoL (r=.10, p=.024).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centered, well-dying education programs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continuously through effectiveness verification.

가족식사가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고양시 소재 중학생을 중심으로 - (Effects of family meals on eating behavior, academic achievement and quality of life - Based on the students of middle school at Goyangsi, Gyeonggido -)

  • 신우경;강소영;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49-15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가족식사가 청소년들의 식생활태도와 학업성취도 그리고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경기도 고양시 소재 중학교 1, 2, 3학년 남녀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가족식사를 빈도, 규칙, 인식의 각 요인으로 나누어 청소년의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그리고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조사 항목은 일반적인 가족식사 패턴과, 가족식사는 빈도, 규칙, 인식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각 요인을 조사하였다. 식생활태도는 중학생의 식생활 특성을 반영하여 영양, 배려, 예절, 행복감의 세부항목으로 총 19개의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학업성취도에 관한 설문은 각 과목에 대한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삶의 질은 신체적 건강 관련 삶의 질 4항목, 정신적 건강 관련 삶의 질 10항목, 그리고 경제적 만족도와 관련한 삶의 질 3항목의 총 17개 항목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형태에 따라 가족식사 규칙(p<0.05)과 인식(p<0.05)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이는 반면, 맞벌이여부에 따라서는 가족식사 빈도(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족식사 요인에 따른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빈도와 인식에 따라 식생활태도(빈도 p<0.001; 인식 p<0.001), 학업성취도(빈도 p<0.001; 인식 p<0.05), 삶의 질(빈도 p<0.001; 인식 p<0.001)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규칙의 경우 학업성취도를 제외한 식생활태도(p<0.001)와 삶의 질(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가족식사 요인과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삶의 질 간 관계는 모두 유의한(p<0.01)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가족식사 요인이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족식사 빈도와 식생활 태도가 학업성취도(빈도 p<0.001; 식생활태도 p<0.05 및 삶의 질(빈도 p<0.001; 식생활태도 p<0.001)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식사 요인 중 빈도가 학업성취도(${\beta}=0.298$ p<0.001)와 삶의 질(${\beta}=0.298$ p<0.001)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컸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식사의 중요성을 중학생들과 학부모, 교사에게 교육하고 가정과 학교에서 올바른 지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 경험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014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 활용 (Effects of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Their Families: Using Data from the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 김경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8-87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their families with regard to their health statuses and health behavior experiences. Methods: We used source data from the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some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and analyzed the data of 13,373 elders living alone and 13,322 elders living with family. Results: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their families include gender, age, education, household income, current occupation, subjective stress level, depression, number of diagnosed diseases, walking exercise, the experience of health screening, and the experience of not having necessary medical services (p<.001). Region was a significant variable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with their families (p<.001).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und conditions for working, emotional support, walking exercise and promotion of health screening, and to supplement the environment and institution for them to receive necessary medical services.

암생존자의 주관적 구강건강 및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미치는 영향: 제8기(2019-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Effects of subjective oral and mental health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in cancer survivors :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8th KNHANES, 2019-2020))

  • 정은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79-386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epare basic data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ancer survivors by confirming their oral and mental health statuses and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Of all participants in the 8th KNHANES (2019-2020), adults aged 19 years or older who responded 'yes' to the diagnosis of cancer and 404 cancer survivors who responded 'none' to the current cancer prevalence item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participa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cancer survivors' oral and mental health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Subjective oral health (p<0.01), chewing problems (p<0.05), subjective health (p<0.001), and depression (p<0.01) had an effe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Conclusions: Therefore, oral and mental health promotion may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u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oral and mental health and implement preventive education and programs.

혈액투석 환자의 자아존중감, 극복력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Self-Esteem,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

  • 송충숙;정선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77-86
    • /
    • 2020
  •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자아존중감, 극복력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혈액투석 중인 환자 123명을 대상으로 2020년 2월 1일부터 28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2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혈액투석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 자아존중감, 극복력,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동거형태(r=.262, p<.01), 경제상태(r=.278, p<.01), 현재 건강상태 인식(r=.294, p<.01), 자아존중감(r=.547, p<.01), 극복력(r=637, p<.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를 잘 수용하며 삶의 의미를 찾도록 하는 간호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의의가 있다.

중년기 남성 만성 간 질환자의 삶의 질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of Quality of Life in Middle-male with Chronic Liver Disease)

  • 도은수;이선미;서영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267-27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남성 만성 간 질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은 병원에서 외래치료를 받는 1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전자의무기록지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PASW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중년기 남성 만성 간 질환자의 삶의 질은 48.16점/100점이었으며, 불안과 우울, 증상경험, 건강지각, 질병상태와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은 삶의 질을 68.6% 설명하였다. 결론은 중년기 남성 만성 간 질환자의 삶의 질은 불안과 우울의 정서적 요인이 주요 요인이므로,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전략의 개발을 제안한다.

대학생 성별에 따른 비만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Quality of Life by Gender in College)

  • 박부연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47-151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교 재학중인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만 정도에 따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 보기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차 1차년도(2019년)자료를 사용하였다. 조사자료 중 대학에 재학중인 287명을 대상을 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체질량 지수는 남학생이 23.71kg/m2 이었고, 여학생은 21.31kg/m2로 남학생은 과체중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에는 정상체중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삶의 질 점수는 남학생이 0.97점이었으며, 여학생은 0.98점으로 여학생의 삶의 질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비만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위해 시행된 회귀분석 결과에서 남학생은 저체중에 비해 정상체중(β=0.053, p=0.003), 과체중(β=0.041, p=0.030) 및 비만체중(β=0.046, p=0.012)에서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여학생에서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향후, 대학교의 건강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비만체형에 대한 교육과 저체중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령여성의 발레운동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여가만족 및 삶의 질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omen's Participation of a Ballet Program)

  • 박선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61-170
    • /
    • 2020
  • 이 연구는 고령여성들의 발레운동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여가시간 활용에 대한 만족도 증대와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G광역시의 10개 무용 학원에 등록한 여성고령자 148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삶의 질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자료처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자아존중감과 여가만족 및 삶의 질 간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 결과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여가만족의 하위요인 모두와 삶의 질 하위요인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여가만족의 신체적 만족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 여가 만족의 사회적 만족과 삶의 질의 건강요인, 심리적 요인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여가만족 및 삶의 질 변인 간 연구모형의 적합도 가설검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여가만족이 높을수록 삶의 질 요인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고령여성의 발레운동 프로그램 참여는 고령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여가만족 및 삶의 질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꾸준한 신체 활동을 통한 발레운동은 고령자의 노후에 질병예방 및 건강증대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