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진단 program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6초

인지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gnition Promoting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 김혜순;이여진;박광희;강운구;이병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27-23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치매를 진단 받지 않은 60세 이상의 1,251명의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처치로써 인지학습과 유희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인지건강증진 프로그램을 12주에 걸쳐 주 2회씩 실시하고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실험처치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들은 실험처치 후 인지기능(t=-13.903, p<.001), 우울(t=9.544, p<.001) 및 삶의 질(t=-4.613, p<.001) 점수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인지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정상노인의 인지기능을 높여주고 우울을 낮추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 축전지 사업장의 질환 요주의자 및 유소견자의 사후관리 실태 연구 (Follow-up Management State of Lead Battery Workers in Periodic Health Examination)

  • 리갑수;황보영;김용배;김화성;함정오;이성수;안규동;이병국;허정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4호
    • /
    • pp.733-746
    • /
    • 1996
  • 연 업종별 보건관리 대행기관에 의해 근로자의 보건 관리를 하고 있는 5개 연 축전지 회사의 전체 근로자들 중 1995년에 일반 건강진단 및 특수 건강진단을 동시에 시행한 전체 1,919명의 근로자 중에서 C(건강관리 상 계속 관찰이 필요한자)와 D(유소견자)의 판정을 받은 365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중 퇴직자 35명, 조사 기간중 출장, 휴직 및 야간 근무자 8명, 그리고 조사에 응하지 않은 근로자 29명 등 총 72명을 제외한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1995년도 일반 및 특수 건강진단 결과표를 통하여 건강진단 결과에 따른 사후관리 조치실태 및 관련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요주의자 이상근로자의 86%가 건강진단결과표를 받았으나 이에 대한 교육설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자신의 건강진단 결과를 잘 알고 있지 못하였다. 2. 사후관리 조치가 있었던 근로자는 23%로 낮았으며, 사후관리조치의 내용은 단순한 추적관찰이 가장 많았다. 3. 조사대상 근로자들은 현재의 건강진단은 필요하지만 형식적이라고 하였다. 4.사후관리 조치의 유무를 피설명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유의한 설명 변수는 건강진단 결과에 대한 설명의 유무뿐이었다.

  • PDF

비닐하우스 농작업자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진단적 연구 (A Diagnost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Vinyl House Farmers)

  • 김정남;임경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0-101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problems which the vinyl house farmers had experienced. Method: Based on PRECEDE model, this study was done with 110 respondents(50 to 69 years old), working in vinyl house and living in the remote area where the primary health post located. Results: Quality of life was low in economical status, emotional status, and physical function. Health problems were founded as pain and chronic fatigue that were caused by physical symptoms, weakened physical strength, and increased blood pressure and cholesterol. Behavio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related with lack of exercise, irregular eating habit, curtailed sleep, overwork, wrong working postures, stress, and non-fulfillment of safety standard during spraying pesticide. Self efficacy was low in excercise practice, working way, and stress management. Conclusio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vinyl house farmer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elf efficacy, to reduce stress, and to strengthen physical function.

  • PDF

환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연구 (Analysis on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Oh, Hyun-Soo;Kim, Young-Ran;Park, Won;Song, Jeong-Soo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42-353
    • /
    • 2000
  • 본 연구는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된 관절염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통증, 우울, 활동장애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수행되었다. 유사실험 설계를 적용하여 1998년 11월 11일부터 12월 24일까지 인천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의 류머티스 내과 외래에서 류머티스 관절염이라는 진단을 받고 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 중 중재에 참여한 실험 군 18명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 군 1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중재는 건강증진적 기술 향상을 목표로 개발된 7주간 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CHPPRA)이었으며 프로그램 제공 후 CHPPRA가 통증, 우울, 활동장애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프로그램에 참여 후 이들 변수들에 대한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Hotelling's T =.30, F=3.11, p=.04). 어떤 변수가 이러한 차이를 나타내었는지를 ANOVA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우울과 통증은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는데 유의한 변수였으나 (F=4.22, p=.05; F=4.35, p=.05 순) 활동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F=.04, p=.84).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11가지 건강증진 기술 향상을 위해 7주간 제공된 본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통증, 우울, 그리고 활동장애 등으로 대변되는 대상자의 삶의 질에 전체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는데 특히 통증과 우울을 감소시킴으로써 대상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홍채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출입관리 시스템 (Smart Healthcar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Iris Recognition)

  • 이관희;김지인;권구락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971-980
    • /
    • 2023
  • 기존의 산업현장에서 안전사고 및 산업재해들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근로자의 육체적·정신적 피로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체계적인 관리 및 다양한 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생체정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의 개발로 근로자의 효율적인 건강관리, 출입통제관리 기능 개발을 수행한다. 출입통제를 위해 얼굴인식을 통해 근로자를 확인하고, 건강상태 유무는 홍채인식을 통해 판별한다. 근로자의 홍채 및 눈의 충혈 상태를 통해 건강이상 징후를 진단하여 정확도를 높이고 보다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최종적으로 개발 내용은 현장 출입관리 시스템, 관리자용 출입통제 프로그램, 사용자 건강이상 징후 진단을 위한 진단하는 메인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의료보험 건강진단사업의 개선방안 (Reform Measures of Health Examination Program in Health Insurance Scheme)

  • 박재용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5-233
    • /
    • 1999
  • This study is an effort to make policy suggestions by analysing the current health examination program as a benefit service provid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cluding health screening for the insured, screening of cancer and chronic diseases for their dependents. Analyses found some issues being gave attention to; 1) The insured under the community health insurance system do not get the health examination benefit. A program for them should be set to have equity in benefit services. 2) Low rates of using screen services compromise purpose and the efficiency the services have first intended to. An immediate attention should be made to increase low rate of use of screen test to detect chronic diseases in particular. 3) Selection of diseases and test items covered by health examination program does not reflect the need of the insured, but to reflect financial resource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4) Lack of health screening facilities and their geographical maldistribution is observed, which with preference of a general hospital as a screening post by the insured may lead to unreliable test. 5) A follow-up system should have been developed for the suspected classified by test results of carrying chronic diseases. They should be cared for within the health examination program. Public health care systems incorporate such a system, along with caring for those who are in need of having a health counselling on preventive care. In conclusi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should be a medical insurance of giving a higher priority on preventive care benefits, health examination program in particular. That could be done by making rearrangements of test items, screening methods and system, rationalizing current reimbursement system of service fee, increasing accessibility to and utilization of the services, and making an establishment of follow-up system.

  • PDF

성인의 건강상태, 건강행위가 당뇨병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the Diabetes Mellitus Prevalence)

  • 홍지연;박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98-209
    • /
    • 2014
  • 당뇨병은 유병률과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질병이다. 본 연구는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당뇨병 유병률의 감소를 위한 중재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19세 이상 성인으로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5995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 분석 모듈을 사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세 이상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10.5%였고, 당뇨병 유병 오즈비는 학력에서 대졸 이상에 비해 중졸은 2.51배, 주관적 건강상태가 매우 좋은 경우에 비해 매우 나쁜 경우 4.77배, 비만인 경우 1.44배, 고혈압을 진단받은 경우 2.57배, 고지혈증을 진단받은 경우 2.63배, 체중조절을 하지 않는 경우 1.31배, 식이요법을 하는 경우 2.75배로 높았다. 본 연구는 당뇨병 유병률을 예측하는 변수로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비만 유병 여부, 고혈압 의사진단 여부, 고지혈증 의사진단 여부, 체중조절 여부, 식이요법 여부를 밝힘으로써 당뇨병 유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와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요가자조관리 프로그램이 섬유근통증후군환자의 건강상태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Yoga Self-help Management Program for the Patients with Fibromyalgia syndrome Effect on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 임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457-468
    • /
    • 2018
  • 본 연구는 섬유근통증후군환자를 대상으로 요가자조관리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대상자의 건강상태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섬유근통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이다. 참여자 수는 총 43명으로, 실험군 21명과 대조군 22명이다. 실험군에게는 8주간 주 2회 총 16회의 요가자조관리프로그램을 요가센터에서 실시하였고, 가정에서도 시행 할 수 있도록 개발한 요가DVD와 사진자료, 교육용 책자를 제공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중재 없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미하게 건강 상태(압통점, 섬유근통증후군영향척도)가 향상되었고, 우울은 감소하여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중재전략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신건강시범 중학교에서 수행된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A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AT A MENTAL HEALTH MODEL MIDDLE SCHOOL)

  • 곽영숙;고혜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2호
    • /
    • pp.251-260
    • /
    • 2005
  • 목적 :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정신건강시범학교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제주도교육청 지정 정신건강시범학교인 제주시내 1개 중학교 2, 3학년 학생 748명을 대상으로 Young의 인터넷중독진단척도(IAS), Conner와 Wells의 청소년 집중력 자가보고척도(CASS) 그리고 다면적인성검사(MMPI)를 사용하여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전, 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사회정신건강연구소에서 개발한 인성교육 중에서 발췌하여 12시간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시 프로그램 전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유의수준은 p<.05수준으로 하였다. 결과 : 프로그램 전후 MMPI상 임상적 수준의 문제를 보인 청소년이 $12.9\%$에서 $11.0\%$로 감소를 보였다. 2학년에서는 감소를 보였으나 3학년에서는 증가하였다. 소척도 점수는 편집증과 경조증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IAS에서는 인터넷 과다사용 또는 중독 청소년이 $16.0\%$에서 $6.8\%$로 감소를 보였다. CASS에서는 집중력 문제 위험 청소년이 $22.7\%$에서 $18.3\%$로 감소하였다. IAS와 CASS 점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IAS 점수의 감소는 임상적 유의도가 중등도였다. 결론 :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정신건강 문제, 인터넷 중독 위험 또는 집중력문제 위험이 있는 청소년의 감소를 가져왔고 인터넷 중독 예방에 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는 시범학교의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지지하며 일반 학교로의 확대 실시를 제안한다. 향후 프로그램에 맞는 특정화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재확인하여야 하겠다.

  • PDF

여성노인의 고혈압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 체질량 지수 및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hysical Activity, Body Mass Index and Depression on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Hypertension in the Elderly Women)

  • 김애실;배한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43-553
    • /
    • 2020
  • 본 연구는 2018년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여성노인의 신체활동, 체질량지수,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자는 고혈압 진단을 받은 여성노인 550명, 고혈압 진단을 받지 않은 여성노인 375명으로 구성되었다.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 t-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다중 선형 회귀 분석결과, 고혈압군에서 나이, 교육, 신체활동, 체질량 지수,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예측인자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26.9%였다(F=14.30, p<.001). 즉 신체활동량이 많을수록(t=3.02, p=.003), 체질량 지수가 낮을수록(t=-3.12, p=.002), 우울이 낮을수록(t=-7.69,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반면, 비고혈압군에서 교육과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인자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31.7%였다(F=5.37, p<.001). 즉, 우울이 낮을수록 (t=-5.53,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고혈압 질환을 갖고 있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다른 구체적 신체활동의 특성을 비교하는 연구와 여성노인의 우울 및 비만 감소를 위한 신체활동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