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증진사업

Search Result 50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Objectives and Strategies of Government Health Promotion Policy (정부의 건강증진사업 목표 및 추진방향)

  • Lee,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3-32
    • /
    • 2005
  •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은 국민의 건강수명 연장과 삶의 질 향상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는 건강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질병을 예방${\cdot}$관리하며 평생 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한 생활양식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반으로 연구와 개발 강화, 법과 규칙의 조정, 기금과 인력과 같은 자원 확보는 필수적이다. 정부의 건강증진전략은 첫째 자원할당의 우선순위를 확보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질병 및 손상의 예방, 재활관련 사업에 더욱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며, 둘째로 국가차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포괄적인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프로그램(건강증진종합계획)과 모아보건, 학교보건, 산업보건, 그리고 만성질환예방프로그램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로, 건강증진기금을 공공보건을 위한 하부기반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투자함으로써 사업의 하부기반을 정비하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하부기반으로는 정책과 위임사항을 들 수 있는데, 국민건강증진법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05년 6월에 서울시 의회를 통과한 건강도시추진위원회를 들 수 있다.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의 법적 기반은 1995년에 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이다. 국민건강증진법은 국민들이 건강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책임의식을 함양하며, 올바른 건강지식을 갖고, 국민들이 건강한 생활양식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증진사업은 대중을 위한 보건교육과 건강상담, 영양관리, 구강보건관리, 질병의 조기발견과 치료를 위한 건강검진, 지역사회 건강문제에 관한 조사와 연구, 담배소비 감소와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를 통한 국민건강상태의 향상을 위한 사업이다. 훈련과정으로는 보건복지부에서 2005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시와 지역을 위한 현장관리 프로그램과 서울시가 수행예정인 지역수준의 지도자 훈련과정이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기금조성은 건강증진기금이 담배세로부터 조성되고 있으며 2004년 12월 31일 현재 담배 한 갑 당 500원으로 인상되어 부과되고 있다. 기금의 관리와 운용은 보건복지부가 담당하며, 기금은 건강한 생활양식형성에 대한 지원활동, 국민을 위한 보건교육과 교육자료 개발, 건강증진과 만성질환에 대한 연구, 질병의 조기발견을 위한 건강검진, 구강보건관리활동에 사용되고 있다. 향후 건강증진사업 투자계획은 1단계 (98-02년)에는 사업기반조성기, 2단계(03-06년) 보건소사업발전기, 3단계(07-11년)통합사업정착기로 구성되고 2단계의 인프라구축에 사용될 투자 비율은 30%에서 3단계에 15%로 감소될 예정이며, 사업실행 영역은 50%에서 65%로 확대될 계획이다. 2005년 건강증진사업의 중점목표는 건강증진사업의 지방 분산화,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 사회적 형평성의 달성에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지방분산화를 위해서는 중앙에 관리센터가 설치되어 기획과 평가, 연구와 개발, 현장관리 훈련을 담당하게 되고, 지역관리센터에서는 자치적인 보건소 중심 건강증진사업의 수행과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을 위해서 효과가 입증된 사업에 우선순위를 두며, 기획과 평가위원회를 설치하고, 건강증진사업의 평가결과를 환류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건강증진포럼을 구성하며 현 건강조사 체계를 수정한다. 한편 형평성 제고의 측면에서는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들과 같은 취약계층의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간${\cdot}$사회적 집단 간의 건강증진사업관련 형평성을 제고한다.

  • PDF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성과평가 지표 개발 및 시범평가

  • 서영준;이동현;손동국;정승원;정애숙;이희원;이무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151-168
    • /
    • 2004
  • 우리나라의 건강증진사업은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을 제정하면서 시작되었다. 동법의 제정과 더불어 보건소법을 지역보건법으로 전면개정하면서 보건소를 지역주민의 평생건강관리 중추기관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지역보건소는 보건의료전달 체계에서 일차의료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고, 국가주도의 사업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난 1999년도부터 3년간 각 시도별로 1개소씩 건강증진거점보건소를 선정하여 건강증진시범사업을 실시한 후 그 사업성과를 평가하고, 2002년도 하반기부터 전국의 100개 보건소에 150억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여 건강증진사업을 추진하도록 기금을 지원하고 있는 것은 건강증진사업을 보건소를 중심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중략)

  • PDF

Health Promotion Practice, Standards and Activities Of Local Health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미국 지방 보건소의 보건증진 사업과 표준 설정)

  • Jung H. Cho;Pat V. OConnor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1999.07a
    • /
    • pp.9-36
    • /
    • 1999
  • 21C기를 맞이하면서 미국의 보건소가 당면한 과제는 시민들을 상해질병에서 보호하고 예방하는 것이다. 금세기 초 남녀 평균수명은 50세에 불과하였으나 후반에 이르러서는 남자 평균 수명 72세, 여자 79세로 늘어나게 되었는데 이것은 공중보건의 기여라고 볼 수 있다. 지난 10년 동안 미국의 보건의료정책은 격변기를 맞았으며 지역사회 병원들은 점차 보건소 활동분야인 예방사업에도 침투하고 있어서 지방보건소 활동과 경쟁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지방보건소는 지역사회에서 보다 광범위한 보건증진계획을 세워야 했고 동반자의 참여를 절실해하고 있다. 미국 의학연구소는 "공중보건의 장래" 라는 지침서를 발간하였고 10대 필수보건수칙이 지방보건소를 위하여 정해졌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선 지방보건소가 갖추어야 할 사항은 1) 건강 평가 2) 정책수립 3) 행정력 4) 건강증진 계획 5) 시민건강 보호대책 6) 질적 확인 체재수립 7) 직원교육 훈련 8) 지역사회 자발력 및 참여 고취 등이 있다. 보건교육 사업이란 그 과제와 재능과 개념 등이 다양해 이의 포괄적인 수용이 모색되어야하며, 그래서 이 논문은 건강증진 사업에 대한 "새 눈의 시야"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보건교육/보건증진" 이란 공중보건의 이론과 실제를 일체화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은 2010년 보건의료 정책수립에 "건강증진/ 보건교육" 역할을 문서화하였고, "보건교육/ 건강증진" 사업은 지역사회 안에서 체계화하여 "건강한 사회에 건강한 시민" 이라는 사회운동의 청사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콜로라도의 "건강한 사회에 건강한시민" 운동을 한 예로 들고 있으며 "보건교육/건강증진" 사업에 대한 표준 설정을 위하여 노스캐롤라이나주 지방보건소의 "보건교육/건강증진" 표준체제를 예로 들었다. 다음으로, 경제적인 효율면에서 볼 때 "보건교육/건강증진" 사업에는 단기 혹은 장기 투자가치가 있는가 하는 것이다. 새로 태어나는 미국 지방 보건소의 "보건교육/건강증진" 활동은 지역 시민 및 그 단체가 광범위하고도 자연 다발적으로 참여할 때만 성공할 수 있다고 결론 지울 수 있다.

  • PDF

Healthy Korea 2010 : Role of the Health Educator (Healthy Korea 2010추진과 보건교육 인력 활용 전략)

  • Choi, E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89-109
    • /
    • 2004
  •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duced the Health Plan 2010 aimed at setting up healthy Korea objectives, policies on preventing chronic diseases, reshaping the country's health and medical infrastructure. The policy goal targets the people's healthy life expectancy at 75 by 2010, and includes healthy life practice measures including health education, health improvement services, and disease management measures, in achieving the objectives. Also, the plan provides life cycle-based health improvement and disease prevention services, as well as pushes ahead with projects with greater ripple effects in each area. To this end, the government is simultaneously pushing to operate an experts-centered health promotion committee and establishing the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augmentation of national health improvement funds. Through its Health Plan 20 I 0, the Korean Government will exert efforts to achieve its policy objectives as addressed in the measures by enhancing the national potential health and providing systematic disease prevention services.

  • PDF

The Comparison with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People between Demonstrating and Non-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Rural Community (농촌 건강증진 시범사업 지역주민과 비 시범사업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생활 행태 비교)

  • Lee, Young-Soo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4 no.1
    • /
    • pp.124-134
    • /
    • 2009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people between demonstrating and non-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rural community. Methods: Objects of the study were 13,000 people by stratified sampling in rural community of H and J Gun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1st December to 30th, 2005,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Research tool of this study were modified Korea BRFSS, Park‘s stress questionnaire and Nutritional evaluation tool suggested b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 Korea. Results: People received 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were significantly more good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in related drinking, exercise and stress than that of non-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Conclusions: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people received 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than that of non-demonstrating. Government suppor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local government finance.

중학생의 건강흥미와 건강요구의 조사분석 -보건교육 교과과정 시안을 위한 연구-

  • 이경자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5 no.2
    • /
    • pp.41-51
    • /
    • 1988
  • 보건교육은 국민의 공중보건사업의 기초사업이며 지원사업이다. 보건교육은 인간의 질적인 삶의 중요한 요소인 건강을 증진하는데 자신을 돌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여 주는 것이므로 심신이 건강한 미래의 성인들을 길러내는 교육의 장인 학교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은 보건봉사의 실시, 건강한 생활환경의 유지, 그리고 보건 교육을 포함해야 한다.

  • PDF

Performances and Limitations of the Health Community Organization Project in 148 Village, Gangbuk-gu (강북구 148 마을 건강주민운동사업의 성과와 한계)

  • Hong, Jong won;Park, Woong-Sub;Kim, Sang-A;Kim, Nam Ju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2 no.3
    • /
    • pp.155-167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formances and limitations of health community building project of 148 village in Gangbuk-gu, Seoul on community health organization perspective. Methods: we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using both a systematic review of this project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operators who had worked for the project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2. Results: In this project, activists worked by gathering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and focusing on their growth. The residents themselves established a community health care plan. Based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y continued projects to solve residents' needs. A variety of programs were activated by providing a health cafe, which was an alternative public participation health promotion space that was not a clinic or a public health center. As the various entities gathered, there were difficulties related to interests and role sharing, and there were limitations such as the fact that the performance and limit of the pilot project could not be clearly predicted beforehand. Conclusions: This case suggested that new possibility of health and medical movement, approaching health issues by the way of community organization principle. Through the health community building project as community health organization perspective is expanded, health promotion effect will be created in the whole society.

동남아제국의 보건교육현황

  • 남철현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1 no.1
    • /
    • pp.115-119
    • /
    • 1983
  • 국민의 건강한 생활영위와 건강증진은 여러 형태의 보건사업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부도 이러한 보건사업이 사회개발이 중요한 한 분야로서 복지사회건설의 기반을 다지는데 필요한 필수 사업임을 인식하고 사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도록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 PDF

The Setting Approaches in Health Promotion Projects (국내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사업: 건강도시를 중심으로)

  • Kim, Keon-Yeop;Kim, Hyun-Jee;Youn, Chang-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2
    • /
    • pp.813-820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etting approach of health promotion in Healthy city projects. We used the secondary data of 2008-2010 Healthy city projects, reports, papers, workshops and symposia and had professional meetings to obtain the implications. Setting approach of health promotion in Healthy city projects conducted 27 (14.7%) in 2008 and 42 (21.8%) in 2009. Looking at the type of setting approach, villages and schools, respectively, was the highest (six, 22.2%) in 2008. In 2009, the school was 12 (28.6%), apartment 8 (19.0%), village 6 (14.3%), day nursery 5 (11.9%), workplace and senior center 4, respectively (9.5%), market 3 (7.1%). School and apartment are the most common setting approach in the metropolitan area, but senior center and village are most common in the rural areas. The good example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healthy workplaces, healthy villages, healthy apartments, health promoting hospitals, healthy markets, healthy senior centers were examined. To sustain and success the setting approach in health promotion, persons in settings must know the exact meaning of 'setting' and 'health promotion' and the efforts that sett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healthy cities (communities) will be required.

Health Improvement;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on and the Settings Approach (건강 향상: 건강 교육, 건강 증진 및 배경적 접근)

  • Green, Jacki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111-129
    • /
    • 2004
  • This paper develops the argument that the 'Healthy Cities Approach' extends beyond the boundaries of officially designated Healthy Cities and suggests that signs of it are evident much more widely in efforts to promote health in the United Kingdom and in national policy. It draws on examples from Leeds, a major city in the north of England. In particular, it suggests that efforts to improve population health need to focus on the wider determinants and that this requires a collaborative response involving a range of different sectors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Inequality is recognised as a major issue and the need to identify areas of deprivation and direct resources towards these is emphasised. Childhood poverty is referred to and the importance of breaking cycles of deprivation. The role of the school is seen as important in contributing to health generally and the compatibility between Healthy Cities and Health Promoting Schools is noted. Not only can Health Promoting Schools improve the health of young people themselves they can also develop the skills, awareness and motivation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community. Using child pedestrian injury as an example, the paper argues that problems and their cause should not be conceived narrowly. The Healthy Cities movement has taught us that the response, if it is to be effective, should focus on the wider determinants and be adapted to local circumstances. Instead of simply attempting to change behaviour through traditional health education we need to ensure that the environment is healthy in itself and supports healthy behaviour. To achieve this we need to develop awareness, skills and motivation among policy makers, professionals and the community. The 'New Health' education is proposed as a term to distinguish the type of health education which addresses these issues from more traditional for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