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요인

Search Result 5,32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Related Factors to Health Behavior by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건강신념모형에 기초한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 관련요인)

  • Lee, Eun-Sun;Na, Baeg-Ju;Lee, Moo-Sik;Lee, Jin-Yong;Hong, Jee-Young;Lim, Young-Shi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1057-1060
    • /
    • 2011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의 주요 변수와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를 촉진하고 더 나아가 만성질환 보건사업 및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09년 07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총콜레스테롤이 240mg/dl 이상이고, 중성지방이 200mg/dl 이상으로 고지혈증을 진단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14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SPSS WIN(14.0 한글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ronbach's alpha의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TG에 대한 인지수준 중 TG에 대한 인지가 가장 높았고, 3가지 모두를 인지한 경우는 28.08%였다. 또한 9가지 항목에 대한 고지혈증 지식수준은 9점 만점에 평균 6.51이었으며,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건강행태수준도 높았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하여 10개의 건강행태를 2개 요인으로 재분류 하였다. 그 결과, 건강행태 요인 1은 '식이, 운동 습관 및 고지혈증 검사 및 관련 검사요인', 건강행태 요인 2는 '흡연, 음주 습관 및 고지혈증 치료 관련 요인'이었다. 건강행태 요인1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건강신념변수는 심각성, 이득, 장애로 나타났고, 취약성은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신념 요인들과 건강행태 간의 상관되는 순서는 이득(r =.455), 심각성 (r=.38), 장애(r=-.244) 순으로 나타나 고지혈증에 대한 이득 인식이 건강행태 요인1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건강행태 요인2는 건강신념변수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동계기에 따른 건강행태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육을 받았을 때 건강행태 요인1과 요인2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이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넷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고지혈증 건강행태 요인1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유의한 요인으로 인지된 심각성 및 이점 신념요인, 교육여부, 보건소 교육정도 이었다. 건강행태 요인2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여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건강신념모형이 고지혈증 건강행태를 예측하는데 적합한 모형이라고 판단 할 수 있으며, 건강행태 요인 특성에 따라 건강신념변수 중 고지혈증 예방에 대한 이득을 높이 인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교육목표를 설정하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Self-rated Health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Differences in Home Environmental Factors, Health Behavi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Dietary Habits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가정환경, 건강행태, 심리적 요인 및 식습관)

  • Hwang, Seonghee;Kye, Seunghee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
    • v.19 no.1
    • /
    • pp.27-45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가정환경, 건강행태, 심리적 요인 및 식습관 요인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의 차이를 분석하고, 주요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분석자료로서 2015~2016년도 한국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자 수는 중학생 53,791명, 고등학생 50,959명, 총 104,750명이었다. 학생들의 건강수준은 주관적 건강상태를 기준으로 건강집단과 비건강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성별, 가정환경, 건강행태, 심리적 요인 및 식습관이 검토되었다. 이들 요인 간 건강집단과 비건강집단의 비율차이 검증을 위해 표본설계 정보를 반영한 Rao-scott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결론: 주관적 건강수준은 양친부모와 살지 않은 경우, 모의 교육수준이 낮을 때, 주관적 가정경제수준이 낮을수록 낮았다. 음주군, 고강도운동이나 근력운동을 실천하지 않는 군, 과체중이나 비만인군에서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았다. 또한 스트레스나 우울감 등 부정적인 감정이나 행복감을 느끼지 못할 때도 주관적 건강수준은 낮았다. 아침을 결식하거나 탄산음료, 고카페인음료, 패스트푸드 등의 비건강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군에서도 주관적 건강수준은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국 청소년들에게서 건강 불평등(health inequalities)은 가정환경, 건강행태, 심리적 요인, 식습관 등 여러 요인들로부터 제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을 충분히 반영하여 청소년들이 건강해 질 수 있는 다각적 접근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Effect of Active Aging on the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People (고령자의 활동적 노화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Yu, Chae-nam
    • 한국노년학
    • /
    • v.36 no.4
    • /
    • pp.1075-1088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active aging on life satisfaction and present an improvement strategie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people. Active aging is divide into three aspects; health, participation and security. The subjects were people older than 55 years who were enrolled in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The influencing effect was analyzed by a hierarchial regression. Key factors associated with active aging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were subjective health, mental health,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income, and housing while subjective health was a determinant factor that best describes the effect of the active aging on life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abov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needs to be an effort in improvement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housing at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Determinants of Internet Addiction among the Korea Youth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건강 요인, 일탈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 Park, So-Youn;Lee, Hong-Ji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2
    • /
    • pp.291-29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health, and delinquent behavior factors on internet addiction among the Korean youth. This study used the 2009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data. It selected 73,238 cases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raw data and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eing male, living without parents, low economic status, poor academic record,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poor subjective well-being, high level of stress, presence of depression and experience of drug use significantly increased likelihood of internet addiction. Findings may be used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deal with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in Korea.

Analysis of Health-related Push and Pull Factors in Mountain Climbing (등산활동의 건강관련 동기요인과 유인요인 분석)

  • Kim, Jae Jun;Lee, Hye Rin;Lee, Min Ha;Kang, Min Ji;Park, Su 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3
    • /
    • pp.327-333
    • /
    • 2011
  • This study was aimed to specify health-related push and pull factors in mountain climbing and provide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for mountain-based recreational setting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ush and pull factors. The results of survey by 440 mountain climbers at Mt. Dobong, Mt. Bukhan, Mt. Kwanak, and Mt. Cheonggye showed that three dimensions were respectively derived from health-related 15 push items and 11 pull items; therapeutic care, mental health, physical fitness in push factors and cultural, socio-economic, and natural environment in pull factor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influence between push and pull factors, natural environment was reported to be the greatest influencing pull factor on therapeutic care and physical fitness,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 was on mental health.

Anteceden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여대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Shin, Hye-Sook;Shin, Hyun-Sook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 /
    • v.14 no.1
    • /
    • pp.78-86
    • /
    • 2008
  • 본 연구는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가설적 모형을 도출하고, 여대생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를 횡단적으로 조사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선행 문헌의 고찰을 근거로 선정되었으며, 총 280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설문지는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으며, 조정요인 5문항, 건강상태 지각 3문항, 건강 통제위 4문항, 자아 존중감 5문항, 건강증진 행위 24문항의 총 41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개발된 항목에 대하여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인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모형에 대한 구성개념의 파악을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항목에 대한 요인별 단일 차원성 확인 및 통계적 검정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는 카이제곱은 244.04(자유도=121, p<0.001), GFI=0.91, CFI=0.97, NNFI=0.96, RMSR= 0.022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여대생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위는 건강상태지각 및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여대생의 건강상태지각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lated Factors for Health Check-up Attendance among Korea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Based on the 2020 KNHANES Data (한국 20·30대의 건강검진 수검률 관련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2차년도(2020) 자료를 중심으로)

  • Young-Ran Kim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2 no.2
    • /
    • pp.135-141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check-up recipients in their 20s and 30s in Korea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rate in order to enhance the rate of health check-ups. The study population and methods utilized data from the 8th year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pecifically the 2nd year (2020), and targeted 1,453 Korean residents aged between 20 and 30.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check-up participation were divided into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 behavior factors, mental health factors, and medical utilization factors, and both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type of health insurance, employment status, and subjective level of health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check-up participation among Korean individuals in their 20s and 30s. These research finding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the health check-up participation rate among individuals in their 20s and 30s.

An Analysis of 2012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Data for Exploring Physical Health Determinants of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생의 신체적 건강 영향요인 규명을 위한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 분석)

  • Lee, Hong-Ji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0 no.1
    • /
    • pp.117-124
    • /
    • 2015
  • This study explored the determinant variables of physical health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Specifically, it explored how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ctor, school factor, delinquent behaviors factor of the students affect their physical health using the 2012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Using the case of 36,889,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test,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 of tot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gender, father's educational level, sibling(s), economic status, grade, academic record, problem drinking, drug 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 variables of physical health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lso, it delivered som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ir physical health.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Examination Acceptance Rate: Focused on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건강검진 수검률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자료를 중심으로)

  • Yoo, Ah-Hyeon;Jo, Su-Hyeon;Shin, Hye-Won;Lee, Sung-Wo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9 no.1
    • /
    • pp.1-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examination rate by presenting the current state of national health examination. To this end, demographic factors(Gender, age,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and health factors(Smoking, alcohol, obesity,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elected, and whether the selected factors were different for each group, and the examine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spitals and income level were visualized. As a result, except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in health factors, population factors, and number of hospitals were all related to the examination. In addition, among the age factors of the demographic factor, those in their twenties and those with a low income level and those who were underweight among the health factors of obesity had a high rate of non-testing.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omote, support, and educate those untested by these groups.

University research Laboratory worker health damage Factors Influencing (대학 연구실험실 종사자 건강피해 영향요인 분석)

  • Jang, Ung-Bur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91-29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연구실험실에서 이루어지는 연구 활동에 따라 다양한 유해요인이 존재하게 된다. 생물 관련 실험실에서 근무하는 연구 활동 종사자들은 바이러스, 박테리아와 같은 유해요인, 화학 관련 실험실에서 근무하는 연구 활동 종사자들은 다양한 화학물질에 노출되고 있고 이렇게 노출되는 유해요인에 따라 연구 활동 종사자들이 경험하는 건강요인도 다르다. 외국에서는 연구 활동 종사자들 대상으로 실험실 근무와 건강영향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가 있는 편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일부 대학의 생물 및 화학실험실의 연구 활동 종사자를 대상으로 건강상의 영향을 조사하고 연구 활동 종사자의 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