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양상

검색결과 618건 처리시간 0.032초

흉통환자의 관상동맥중재술 시행 여부에 따른 건강행위 및 건강지표 비교 - 간호정보조사지와 전자의무기록 분석-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Indices According to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Chest Pain -Analysis of Nursing Information Chart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

  • 권미수;이숙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79-288
    • /
    • 2019
  • 본 연구는 흉통이 발생되어 관상동맥조영술을 실시한 후 재입원한 대상자의 관상동맥중재술 시행 여부에 따른 건강행위와 건강지표의 차이를 종단적으로 비교하고자 수행되었고, 2010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일개병원에서 247명의 흉통발생자의 간호정보조사지와 전자의무기록을 분석한 2차 자료 분석연구이다. 대상자는 관상동맥중재술 비시행자와 시행자로 구분하여 병원 1차 입원 시점과 재입원 시점에서 흡연, 음주, 수면장애등 건강행위와 혈압과 혈중 지질 수치등 건강지표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 초기 입원시에는 관상동맥중재술 시행자와 비시행자간 건강행위와 건강지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재입원시에는 관상동맥중재술 시행자가 비시행자에 비해 흡연과 지질 수치에 있어서 유의하게 건강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관상동맥중재술 비시행자의 경우 관상동맥협착의 위험이 많은 환자임에도 불구하고 흡연률이 높았고, 전체 대상자중 60%가 퇴원후 6-12개월 사이에 흉통으로 재입원하여, 흉통환자에게 의학적 치료와 더불어 건강행위를 도모하는 지속적인 통합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관상동맥중재술 실시 여부에 따른 건강행위와 건강지표를 종단적으로 비교하여 관상동맥질환자와 위험환자의 건강행위의 중요성을 확인한 것이다.

다차원적 사회적 고립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연령집단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Social Isolation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of Age Groups)

  • 이상철;조준영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2호
    • /
    • pp.61-86
    • /
    • 2017
  • 다차원적 사회적 고립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위험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사회적 고립과 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핵심 논의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객관적 주관적 사회적 고립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경로들의 역동성과 관련한 논쟁이 존재하고, 두 번째는 사회적 고립과 건강과의 관계에서 연령집단이 과연 선형적인 관계인가 또는 비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가와 관련한 논쟁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분산을 설정한 상호작용모형을 활용하여 선행연구들에서 논의하고 있는 객관적 주관적 사회적 고립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경로를 주효과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아울러 이질적인 연령집단에 따른 관계를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는 다차원적인 사회적 고립 개념의 특성을 충실히 반영한 KSHAP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경로모형 분석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 사회적 고립 수준이 높아질수록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가 유의한 반면, 주관적 사회적 고립은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고립과 이질적인 연령집단과의 상호작용효과는 신체적 건강에 대해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객관적 사회적 고립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장년층에 비해 전기노인의 경우 신체적 건강의 기울기는 부적으로 보다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사회적 고립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장년층에 비해 후기노인의 신체적 건강의 기울기는 부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집단에 따라 다차원적 사회적 고립과 신체적 건강과의 관계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위험요인에 해당하는 객관적 사회적 고립과 주관적 사회적 고립의 수준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강원지역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채소류 섭취에 대한 인식 및 섭취태도 연구 (Study on perception and eating attitude towards vegetabl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Gangwon area)

  • 김미경;오혜숙;이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34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기피 식품 중의 하나인 채소류 섭취에 대한 인식 및 섭취 태도를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강원도 소재 초등학교 학생과 그의 학부모 각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총 742부, 학생 391, 학부모 351),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사 시 건강 관심도는 학생 64.3%, 학부모 84.9%가 (매우) 관심 있다고 하여 두 그룹 모두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아동 46.6%, 학부모 52.4%가 편식을 한다고 하였고, 편식하는 식품은 대부분 채소류로 버섯, 당근, 마늘, 피망, 파, 김치, 호박이나 콩이었다. 편식 여부는 식사 시 건강고려도(p<0.01), 아동의 건강관심도(p<0.05)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편식 아동의 70.9%가 편식 개선 의지를 보였고, 건강에 관심이 많은 경우 편식 개선의지도 높았다(p<0.01). 학교급식에 주로 사용되는 20종 채소류에 대한 인지도는 고추, 깻잎, 브로콜리, 배추, 양상추, 시금치, 양배추, 열무, 무, 오이, 피망, 호박은 90%이상이 들어본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근대, 비름나물과 아욱은 들어보거나 먹어본 경험이 적은 생소한 채소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 무(62.7%), 오이(62.1%), 깻잎(60.4%), 양상추(58.1%), 시금치(54.5%) 등이 자주 먹는 채소류였다. 각 채소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양상추, 오이, 배추, 깻잎, 시금치, 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고, 마늘종, 쑥갓, 피망, 고추, 아욱은 선호도 순위가 낮았다. 아동과 학부모의 채소류 선호도 사이에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p<0.01, p<0.001) 학부모의 선호도가 아동의 채소류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선호하는 채소류 조리방법은 쌈장, 국과 비빔밥이었고, 소금 간을 이용하는 것보다 고추장 무침을 선호하였다. 향이 강한 채소의 섭취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맛이 없었던 채소는 다음에도 섭취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아 채소의 향과 맛이 없었던 경험은 아동의 채소류 섭취 태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먹어본 적이 없는 채소도 먹으려 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건강관심도(p<0.05), 식사 시 건강 고려도(p<0.001)와 먹어본 적이 없는 채소의 섭취 태도 사이에는 유의적 상관을 보였다.

  • PDF

빈곤지위의 변화에 정신건강이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 (Poverty Status Transition and Mental Health: The Effect of Mental Health on the Poverty Status Transition)

  • 이상록;이순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4호
    • /
    • pp.277-311
    • /
    • 2010
  • 빈곤에는 인적자본 및 가족구조 등의 물질적 결핍 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측면이 주요하게 관련되어 있음이 널리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관련 연구성과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빈곤층의 심리사회적 측면이 빈곤지위의 결정 및 이의 변화에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지를 정신건강 변수들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서는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우울 및 자아존중감 등의 정신건강 요인과 빈곤지위의 관계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는데, 주요 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층과 비빈곤층의 정신건강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빈곤층 내부에서도 빈곤이 심각할수록 정신건강이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빈곤과 정신건강의 부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빈곤탈출 집단과 빈곤지속 집단의 정신건강 수준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정신건강이 빈곤지위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빈곤경험 양상은 정신건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정신건강수준이 양호하지 못할수록 빈곤 경험율 및 빈곤지속의 경험이 높고, 빈곤경험기간도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의 빈곤 탈출율은 낮은 반면 빈곤 지속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타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모델에 대한 분석에서는 정신건강이 빈곤지위 및 빈곤지위 변화에의 주요 결정 요인의 하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빈곤지위 및 이의 변화에 정신건강의 주요한 영향을 보여주는 바로, 우리사회의 빈곤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물질적 결핍에 대한 지원에만 치중된 정책적 접근에서 벗어나 빈곤층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 및 지원이 요청됨을 정책적 함의로 시사하여 준다.

은행추출물을 이용한 면직물의 항균가공

  • 이범훈;박종호;이동균;권철기;정재윤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31-431
    • /
    • 2003
  •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에 따른 생활의 양상도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보다 쾌적한 생활 환경을 추구하려는 노력으로 최근 쾌적 섬유의 제조 및 가공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합성 항균제를 사용한 항균 가공 직물의 경우 안전성 및 환경친화성에 대한 소비자의 기피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천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키토산을 비롯하여 양파, 쑥, 계피정유, 및 기타 한약재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균성을 확보하고자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중략)

  • PDF

모바일 리뷰 / 유선 서비스와 함께 공존하는 무선 인터넷 콘텐츠 세상

  • 임영모
    • 디지털콘텐츠
    • /
    • 1호통권140호
    • /
    • pp.62-65
    • /
    • 2005
  • 디지털 컨버전스 개념이 속속 도입되고 있다. 휴대폰은 어느덧 디지털 카메라 기능과 MP3기능은 물론 DMB수신 기능을 갖춘 방송 수신기기의 역할 까지 맡고 있다. 또 최근에는 혈당 및 체지방 등 건강 관련 수치를 측정하고, TV리모콘 기능에 하드디스크 기능 까지 갖추고 있다. 콘텐츠 분야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이제 콘텐츠 분야에서는 유선 콘텐츠와 무선 콘텐츠의 경계가 없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유선에서 사용하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무선에서 바로 이용하고, 유선 인터넷 사용자와 함께 게임을 즐긴다. 이러면서 유무선의 경계는 점점 옅어져 간다. 이제 소비자들은 콘텐츠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그저 같은 콘텐츠로 느끼기 시작했다고도 할 수 있다.

  • PDF

환경오염피해분쟁조정제도

  • 장창훈
    • 소음진동
    • /
    • 제7권4호
    • /
    • pp.552-554
    • /
    • 1997
  • 산업의 고도성장으로 물질문명은 발전하고 있으나 원치않는 환경오염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의 양상도 인체의 건강에 미치는 피해와 재산사의 피해 등 그 양태가 매우 다양하다. 환경오염피해가 발생하면 피해자는 책임 있는 자에게 피해의 배상을 요구하고 정당한 배상을 받도록 해야 할 것이나 당사자간의 의견차로 인하여 분쟁이 빈발하고, 이러한 환경분쟁이 주로 환경오염 피해분쟁조정법에 의한 조정으로 해결되고 있으며, 특히 건설공사로 인한 소음.진동 피해분쟁이 전체 환경분쟁의 63%에 달하고 있어 관련법규를 소개함으로써 분쟁의 발생 예방과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치주영역에서의 교합성외상과 치료원칙

  • 이재목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8권11호통권378호
    • /
    • pp.1026-1031
    • /
    • 2000
  • 치주영역에서의 교합기능은 치주조직의 유지에 필수적이며 교합력이 치주조직의 적응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치주조직의 파괴가 유발되며 이러한 현상을 교합성외상, 교합성외상에 의한 병소라고 한다. 교합성외상에 의한 조직파괴양상은 염증성 치주질환과는 많은차이를 보이며 그 원인과 시간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며 치주조직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교합성외상의 영향과 치료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 PDF

ND백신 예방접종 현황과 앞으로의 방역대책

  • 김재홍
    • 월간양계
    • /
    • 제34권8호통권394호
    • /
    • pp.65-69
    • /
    • 2002
  • 과거에는 뉴캣슬병(ND)과 같은 바이러스성 질병은 뜨거운 여름보다는 추운 겨울에 발생이 많았다. 영양분만 있으면 생체 밖의 외부 환경에서도 스스로 증식할 능력을 가진 세균은 날씨가 더워지면 환경에서의 증식속도도 빨라서 오히려 여름철에 발생이 많다. 이에 비하여, 생체를 벗어나면 스스로 증식할 능력이 없어 항상 숙주세포에 감염된 후 숙주세포의 유전자 및 효소와 영양분을 이용해야만 증식이 가능한 바이러스는 외부온도가 올라가면 오히려 환경에서의 생존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여름보다는 추운 겨울철에 환경에 오랫동안 오염되어 있다가 건강한 계군으로 여러 경로를 통하여 전염됨으로써 피해를 일으키곤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뉴캣슬병의 발생이 과거와는 완연히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그 원인과 이에 따른 앞으로의 방역대책을 살펴보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