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신념모델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2초

건강신념모델 기반의 골다공증 예방 중재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f Osteoporosis Preventive Intervention Studie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 노은영;류소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0-8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clarify an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osteoporosis prevention intervention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HBM). The analysis includes HBM constructs,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from prior studies. Methods: We extensively searched eight electronic databases to identify peer-reviewed studies that implemented HBM-based interventions for osteoporosis prevention until June 2023. Results: Initially, 638 articles were identified, and after a rigorous evaluation process, 11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evidence synthesis. The analysis revealed that HBM-based interventions significantly improved likelihood of taking action including knowledge, HBM constructs and adopting preventive behaviors such as calcium intake and exercise. However, most interventions included in this study did not fully encompass all five HBM constructs or specify the particular components adopted.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additional research and intervention refinement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steoporosis preventive interventions. This should involve a concerted effort to incorporate all HBM constructs into the context of osteoporosis prevention. Thus,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promoting optimal preventive behaviors and reducing the burden of osteoporosis can be developed.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한 청소년 흡연 행위 예측 (Predicting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 홍윤미;이정렬;이경희;배선형;함옥경;한주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8-22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ain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that influence smoking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A total of 1.535 adolescents attending 21 high schools in one district of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susceptibility, severity, benefits, and barriers were significant in predicting smoking behavior of adolescents. Likewise, the degree of juvenile delinquency, gender, the amount of pocket money, and having smoking parent(s) and friend(s) significantly affect smoking behavior of adolescents.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incorporate HBM components in smoking cessation programs, and to include parents and friends in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PDF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치과위생사의 손씻기 수행 관련요인 분석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hand washing practice of dental hygienists by health belief model)

  • 임미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3-200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hand washing practice in dental hygienists by health belief model, one of the major predictors of health behavior including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riousness,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and cues to action. Methods : The subjects were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ospitals, dental clinics,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 to September 30, 2011. Results : Analysis of health belief of dental hygienists in hand washing, they revealed the highest marks of 4.39 to perceived benefits, followed by perceived susceptibility(4.29), perceived seriousness(3.94), cues to action(3.30) and perceived barriers(1.81). The mean was 4.13 in hand washing practice. The senior and well educated dental hygienists in general hospitals had a tendency to wash hands frequently.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regard to the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health beliefs, suscepti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seriousness, benefits and cues to action, and serious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benefits and cues to action.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hand washing education program for dental hygienists focusing on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which are two of the health beliefs affecting the hand washing practice.

건강신념모델 기반 임상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Infection Control Practice of Clinical Nurse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 박주영;우정희;이수연;오지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21-12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감염관리 중요도와 건강신념이 자신들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D시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42명 대상으로 2016년 12월 10일부터 15일까지 수집되었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중요도와 건강신념 중 인지된 장애성이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F=43.61, p<.001)으로 확인되었으며, 감염관리 수행도에 대한 이 두 요인의 설명력은 38.0% 이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감염관리활동이 중요하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인식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다. 다만 감염관리 실천이 간호사에게 업무 부담이나 고통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노인 대상 식품안전·영양교육 프로그램 효과 평가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derly and Assessment of Program Effectivenes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 최정화;이은실;이윤진;이혜상;장혜자;이경은;이나영;안윤;곽동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66-1374
    • /
    • 2016
  • 노인은 면역취약집단으로 다른 인구 집단보다 만성질환과 식품매개 질병에 걸릴 위험이 크며 식행동은 오랜 세월 굳어져 왔기 때문에 변화하기가 쉽지 않다.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식품안전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식품안전 영양 시범 교육은 서울 마포, 충북 청주, 경북 의성, 충북 진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1년 7월 28일부터 9월 9일까지 총 5주간 매주 1회, 35~40분씩 교육을 시행하였다. 교육 전후 조사가 완료된 최종 연구대상은 교육군이 5회 교육 중 3회 이상 교육에 참여하고 교육 전후 평가를 마친 대상자로 137명, 대조군은 사후 설문조사를 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83명으로 총 220명이었다. 교육은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노인들이 식습관을 변화하지 않을 경우 질병 가능성을 알려 심각성을 인지하도록 하였으며 노인들이 식행동 수정 시 얻게 되는 이들을 알려주고 행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자아효능감을 제공해주고자 하였다. 교육 후 식품안전 영양지식은 모든 항목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식품안전 영역 5문항 중 4문항, 영양 영역 3문항 중 2문항에서는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식행동은 교육군에서 '고기, 생선류는 조리 시 속까지 완전히 익힌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건강신념은 식품안전의 영역에서는 인지된 심각성과 자아효능감, 영양 영역에서는 인지된 민감성, 인지된 장애, 자아효능감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지식, 식행동, 건강신념 변화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강신념의 변화량과 식행동의 변화 가능성 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들이 일반 재가 노인보다 복지관에서 봉사하거나 활동하는 노인이었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교육기간이 5주로 비교적 짧았기 때문에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식행동이 쉽게 변화하거나 개선되기 어려우므로 장기간에 걸친 반복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향후 보건소나 복지관 등을 통해 지속해서 시행 된다면 노인의 식품안전 영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바람직한 식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식이 자아효능감과 질병에 대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 장애 인지 간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dietary self-efficacy and illness beliefs,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 서윤석;석윤희;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4호
    • /
    • pp.324-335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들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으로의 식행동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식이 자아효능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건강신념모델의 구성 요소 중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 인지와 식이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2011년 3월 21일부터 3월 30일까지 대전시와 제천시에 사는 65세 이상 노인 252명 (남자 42.5%, 여자 57.5%)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이 자아효능감은 나트륨 과다 섭취 재발방지 (특정 상황에서의 통제력),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일반적 행동 (음식 선택과 소금 사용), 적극적 행동 (영양표시 확인, 외식시 소금 감량 요구, 자기강화)의 3개 요인에 대해 각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의 2개 요인의 각 7개 문항,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 인지는 각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4점 척도의 질병에 대한 신념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식이 자아효능감 3개 요인의 평균점수의 비교를 위해 일원변량 분석 방법을,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인지의 평균점수 비교에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각 항목 간의 상관분석은 스피어만 상관계수로 구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분포에서 70세 이상 노인이 77%이었다.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가 48.4%이었고, 가족형태는 배우자와 함께 사는 경우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홀로 사는 노인은 20%이었다. 조사대상자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높았고, 식행동의 장애 인지 점수는 낮았다 (p < 0.01). 식행동의 이점 인지 점수가 홀로 사는 노인에서 자녀나 배우자와 함께 사는 노인에 비해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3개 요인별 식이 자아효능감에서는 나트륨 과다 섭취 감량을 위한 일반적 행동요인 점수가 높았고, 적극적 행동요인 점수가 낮았으며, 적극적 행동요인 중에서도 식사일기 쓰기나 영양표시 읽기 항목이 가장 낮았다 (p < 0.001). 3)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그릇된 신념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의 이점 인지 점수가 장애 인지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p < 0.001). 4)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높거나, 그릇된 신념이 낮거나,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높거나, 식행동의 장애 인지가 낮은 군에서 총 식이 자아효능감이 높았다 (p < 0.001). 5)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신념 문항 중에서 올바른 신념 문항 7가지는 총 식이자아효능감과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릇된 신념 7개 문항 중 3개 문항이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6)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의 이점 인지에 대한 문항 5가지는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장애 인지에 대한 문항 5개 중 3개 문항은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7) 조사대상자의 요인별 식이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에서는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나트륨 섭취 감량 행동을 위한 식이 자아효능감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식행동의 장애 인지가 나트륨 재발방지 식이 자아효능감과 높은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부터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높고 장애 인지가 낮을 때 식이 자아효능감이 높게 나타났고, 노인의 일반적 특성 중 교육수준이 식이 자아 효능감,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 식행동의 장애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교육수준이 낮은 노인들도 이해하기 쉬운 내용의 건강신념이나 식행동의 이점인지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융합적 연구 : 건강신념모델 기반 (A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Standard Precautions: Focusing on the Health Belief Model)

  • 김미자;윤선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77-88
    • /
    • 2018
  • 신종 감염병에 직면하고 있는 의료종사자들을 보호하고, 모든 의료 환경에서 전염병 전파를 막기 위한 표준주의는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들에게 감염병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중요하다. 이에 간호대학생들의 표준주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시기는 2016년 5월부터 6월까지이며,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대학생 291명이다.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신념 하위요인 중 지각된 이익(4.2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표준주의 지식점수는 정답률 78.9%이었고, 태도 수준(4점 척도)은 평균 3.63점 이었다.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 자기효능감,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이 표준주의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건강신념의 하위요인 중 지각된 민감성(${\beta}=.152$, p<.05)과 지각된 장애(${\beta}=-.125$, p<.05)가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에 대한 태도(F= 5.680, p<.001)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에 대한 태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 간호대학생에게 건강신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융합적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대장암 조기검진행위와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of Colorectal Cancer Screening Behavior)

  • 이지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179-186
    • /
    • 2019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 HBM)을 이론적 기틀로 대장암 조기검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만 50세 이상 성인 148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신념, 자기 효능감 및 행동의 계기 변수를 포함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square test 및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장암 조기검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민감성, 배우자 대장암 검진 경험 및 가족력이었다. 따라서 대장암 수검율 향상을 위해서는 대장암 조기검진의 중요성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지각된 민감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대상자의 가족력 및 가족단위 검진 주기를 사정하고, 부부의 파트너쉽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화학 사고 예방을 위한 Plant 건설 종사자의 Tool Box Meeting이 재해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ool Box Meeting of Plant Construction Workers on Disaster Prevention Behavior for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 오일환;김상길;조규선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47-6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종사자의 TBM을 통한 건강신념요인이 재해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과 안전의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건강 관련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사회심리학적 건강 행동 변화 모델인 건강신념이론의 주요 변수들을 적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화학 Plant 건설 TBM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 건설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화학 Plant 건설을 활용한 건설종사자의 지각된 심각성은 자기효능감과 안전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학 Plant 건설을 활용한 건설종사자의 지각된 개연성은 자기효능감과 안전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화학 Plant 건설을 활용한 건설종사자의 지각된 장애는 자기효능감과 안전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화학 Plant 건설을 활용한 건설종사자의 지각된 이익은 자기효능감과 안전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TBM을 통해 화학 Plant 건설종사자의 재해예방행동으로 중대 재해를 감소시키고자 한다.

건강의식과 유희성이 체감형 피트니스 게임수용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The Effect of Health Consciousness and Playfulness on Intention to Use Tangible Fitness Game: Extended TAM)

  • 장한진;노기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11
    • /
    • 2017
  • 이 연구는 체감형 피트니스 게임의 수용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건강의식, 유희성이 기술수용모델의 선행변인으로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먼저 기술수용모델의 핵심변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체감형 피트니스 게임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체감형 피트니스 게임이용과정에서의 기술수용모델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건강에 대한 중요성, 신념, 관심을 의미하는 건강의식이 체감형 피트니스 게임에 대한 유용성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유용성을 매개로 하여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희성은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을 매개로 하여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체감형 피트니스 게임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기술수용의 확장모델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이론적 설명력을 풍부하게 하는데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