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불감증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익수자 구조요령과 응급대처법

  • 이희택
    • 건강소식
    • /
    • 제32권8호
    • /
    • pp.44-45
    • /
    • 2008
  • 여름 휴가철 물놀이객 증가로 인한 익수 등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하고 침착하게 대처하여야겠다. 수난사고 대부분은 사소한 부주의와 안전 불감증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물가에 갈 때는 항상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조요령과 응급처지 방법에 대해 알아두도록 하자.

  • PDF

한국인 성인의 건강불감증 구조모형 구축 (A Structural Model Development of Health Insensitivity in Korean Adult)

  • 이동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5-365
    • /
    • 2004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e a structural model of health insensitivity and to verify the model of health insensitivity. Method: There were three theoretical variables in the hypothetical model. The endogenous variable was health insensitivity which is a concept including bluntness of health risk perception and unhealthy behavior. The exogenous variables were composed of personal factors and socio-cultural factors. In personal factors, neuroticism, ex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blunting style of information-seeking, deficit of self-efficacy, knowledge deficit related to health, health-related experience, age and education were included. Whereas socio-cultural factors include perceived group size of unhealthy behavior and stereotypes of unhealthy behavior. Result: Personal factors and sociocultural factors were significant in explanation of the health insensitivity.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factors and sociocultural factors was significant, too. However, the optimistic bias as part of health insensitivity was not supported by these data. GFI, AGFI and PGFI were .95, .92, .65, respectively. Therefore, this model was verified to be a good fit to the data and parsimonious. Conclusion: Nursing to change unhealthy behavior has focused on personal factors rather than sociocultural factors. Based on this result, however, the sociocultur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 PDF

산소포화도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안전모 설계 (Design of Digital Safety-helmet for SpO2 Measurement)

  • 이민혜;정동명;신성윤;전태일;최재석;정기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3-165
    • /
    • 2018
  • 대부분의 건설 재해는 공사장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거나 복장 및 보호장비 미착용, 안전 불감증 및 근로자의 건강 등의 인재로 분석된다. 이러한 건설 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현장관리직이 근로자의 건강을 점검할 필요성이 있으나 매 시간 근로자의 상태를 확인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단순한 보호구 기능에서 벗어나 근로자의 산소포화도와 맥박 수를 체크하여 자동으로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디지털 안전모의 설계를 제안하였다.

  • PDF

Hybrid model을 이용한 건강불감증의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Health Insensitivity using Hybrid Model)

  • 이동숙;이은옥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5-17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ty the concept of health insensitivity using Hybrid model, which consists of three phases: theoretical, empirical, and analytic. In the theoretical phase, the definitions of health insensitivity were searched in korean dictionary and examples used in the websites because the concept of health insensitivity has never been studied before. Two dimensions of health insensitivity emerged out from this investigation were cognitive and behavioral. And then a working definition of health insensitivity was established. The sub-concepts and related factors of health insensitivity were identified through the extensive reviews of the literature focusing on two dimensions of cognitive and behavioral. In the empirical phase, in order to obtain description of health insensitivity,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persons who are not related to professional health care.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applied to analyze these qualitative data. In the final analytic phase, theoretical results and empirical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integrated way and a theoretical framework of health insensitivity was established. A refined definition of health insensitivity was that decreased health risk perception in cognitive dimension and conduction of the unhealthy behaviors in behavioral dimension. Sub-concepts of decreased health risk perception were optimistic bias and decreased general fear. Sub-concepts of unhealthy behavior were doing health threatening behavior and not doing desirable health behavior. The contact of health information was a causal condition of health insensitivity. Optimistic dispositio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avoidance coping style were intervening conditions of health insensitivity. Three types of health insensitivity were identified: unconcern or ignorance type, optimistic bias type, and cognitive dissonance type.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further research and nursing practice are discussed.

일부 대학생들의 신종 감염병에 대한 예방인식의 분석 (Analysis on University Students' Prevention Awareness of EIDs)

  • 김승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47-45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일부 대학생들의 신종 감염병에 대한 예방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대학생들이 감염병 예방을 위한 올바른 실천행동을 형성하는데 정책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경북 소재 일개 대학에서 2018년 4월 30일부터 5월 11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해 신종감염병에 대한 심각성, 민감성, 자기효능감, 예방행동의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건강행태를 통제한 후 신종감염병의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 분석하여 살펴보니 최종 모형인 Model 2에서 첫째, 심각성이 높을수록 ${\beta}=.125$, 둘째,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beta}=.709$만큼 예방행동의도가 점차 증가하였다. 하지만 셋째, 민감성은 유의한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신종감염병 예방행동의도에 있어 이론 및 실제적으로 민감성도 중요하게 적용되어야 하는 요소인데 민감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었다는 것은 신종감염병의 이환에 대해 위험성이나 두려움이 낮아 질병안전에 대한 불감증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보다 민감성을 높여줄 수 있는 질병예방 정책을 앞으로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풍자성 연구 -<대화의 차원>과 <이웃>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Satire Shown in Animation -Focusing on and )

  • 최돈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4호
    • /
    • pp.143-161
    • /
    • 2016
  • 이번연구에서는 작가주의 애니메이션의 역할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작가주의 애니메이션은 대중적 기호나 특정한 집단의 이익과 입장에 구애받지 않고 작가의 예리한 시선으로 그 사회의 부조리를 재치 있고 통렬하게 풍자하여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정화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애니메이션을 사회적 의미생산 도구로서 활용한 작가들 중 얀슈반크마이에르(Jan Svankmajer)의 <대화의 차원>(Dimensions of Dialogue, 1982)과 노만 맥라렌(Norman Mclaren)의 <이웃>(Neighbours, 1952)에 나타난 풍자성을 연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과 의미를 알 수 있었다. 첫째, <대화의 차원>은 이미지의 분절에 의한 연출과 옴니버스구성을 통해 인간사회의 부조리한 모순을 상징적이면서도 파격적으로 풍자 한 애니메이션이다. 풍자에 있어서도 역사, 사회, 인간에 대한 냉소적인 공격성이면에는 개량적 교훈의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또한 소외된 세계, 혼돈스러운 형상, 부조리한 것의 유희 등 얀 슈반크마이에르만의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를 통해 작가의 초현실적인 절대적 현실성과 영상의 몰입도를 극대화하였다. 둘째, <이웃>은 인과관계에 의한 사건적 스토리구조로 실사촬영에 의한 픽실레이션기법을 통해 실사영화와는 차별화되는 비실사동영상의 핵심개념을 적용한 텍스트적인 애니메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선한 인간이 물질의 욕망 앞에서 대립과 갈등을 넘어 극한의 폭력적 광기로 변질되는 과정을 슬랩스틱 한 과장된 동작과 유머로 블랙코미디 적으로 풍자하였다. 두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풍자방식은 휴머니즘과 도덕적 불감증에 대한 공격성에 있어, 무겁게 느낄 수 있는 내용을 반어적 웃음을 유발하는 작가의 독특한 이미지스타일과 상징어법을 통해 전달하고 있었다. 즉 작가는 애니메이션을 통해 공격대상 대한 파괴보다는 도덕적 관점에서 부정의 형식을 통해 건강한 사회변화를 위한 긍정의 의지를 담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두 작품에서 나타난 풍자성은 애니메이션의 사회적 기능과 예술적 영향력을 극대화시키는 작가적 알레고리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