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가정

검색결과 1,512건 처리시간 0.029초

구조기능론, 발달론 및 건강가정 관점에서 비교한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 '가족' 관련 단원 내용 분석 (A Content Analysis of the Family-Related Units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Theoretical Viewpoint of Structure Functionalism.Family Development and Healthy Family)

  • 김자영;조병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7-136
    • /
    • 2008
  • 본 연구 목적은 고등학교 1학년 기술 가정교과서의 가족관련 내용이 있는 '가정생활의 설계' 단원에서 가족이 어떠한 관점으로 접근되어 있는지를 구조기능론 발달론 관점과 건강가정 관점으로 비교분석하여 가족 관점에 대한 개선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가족구조, 가족역할, 발달주기, 가족관계, 노후적응, 결혼과 출산이라는 6가지로 분석요소를 구성하였다. 가족구조, 가족역할에서는 본문과 참고자료를 대상으로 심층분석하였고, 사진과 그림, 본문과 참고자료의 가족 예를 대상으로는 계량분석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분석요소에서는 본문과 참고자료를 대상으로 심층분석하였다. 심층 분석에서 건강가정 관점이 구조기능론 관점보다 많게 나온 분석요소는 가족역할, 가족구조, 결혼과 출산, 노후적응순이었고, 구조기능론이 건강가정 관점보다 많이 나온 분석요소는 가족관계였으며 발달주기 분석요소에서는 발달론 관점이 건강가정 관점보다 많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구조 계량분석에서 사진과 그림은 구조기능론 관점으로, 본문과 참고자료는 건강가정 관점으로, 가족역할 계량분석에서 사진과 그림, 본문과 참고자료는 구조기능론 관점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구조기능론 발달론 관점과 건강가정 관점이 비슷하게 나타나서 고등학교 가족 관련 단원은 구조기능론 발달론 관점과 건강가정 관점으로 접근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교과서 개정이 수시로 이루어지고 건강가정 관점으로 교과서를 집필하며 교사는 구조기능론 관점으로 접근된 내용을 건강가정 관점으로 접근하고 건강가정 관점의 학습자료 및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 적용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고등학생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 (The Need for Healthy Families Education in Home Economics Subject of High School Students)

  • 김명자;장지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3-15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으로 어떠한 내용을 요구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의 새로운 교육 방향을 모색하고, 그에 합당한 교육내용을 구성 하는데 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2학년생 550명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등학생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는 남학생이 3.63, 여학생이 3.66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결혼과 부모됨',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양관리', '가정경제', '의복 주거관리', '가정문화' 영역의 순으로 여학생은 '결혼과 부모됨',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양관리', '가정문화', '의복 주거관리' 영역의 순으로 요구도가 높게 났다. 전체적인 요구도는 3.64로 중간 이상의 요구도를 보였으며 '결혼과 부모됨',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양관리', '가정경제', '의복 주거관리', '가정문화' 영역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배경 변인에 따른 고둥학생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는 학교계열, 가족형태,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 가계월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 개발 연구 (Scale Development of Family Strength for Single-Parent Families)

  • 송혜림;고선강;강은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2호
    • /
    • pp.53-70
    • /
    • 2022
  • 이 연구는 다양한 가정의 건강성 증진 이라는 건강가정정책 및 제 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강조점에 주목하여 한부모가족의 건강성 지표를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 지표를 통해 현장의 한부모가족 사업 효율화 및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개발한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는 특히 현장을 방문한 가족이 건강성 지표를 측정하여 강점과 취약점을 발견할 수 있고 이에 근거하여 컨설팅과 사례관리, 교육/상담/자조모임 등 프로그램과의 연계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가족에 대한 맞춤형의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방법과 절차로는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가정의 건강성, 한부모가족의 실태와 요구를 파악하여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의 영역을 검토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건강성 지표 초안을 마련하였고, 본조사의 결과를 통계분석하여 지표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개 영역(기본적 토대, 부모역할, 일-생활 균형, 사회적 네트워크, 라이프스타일, 가정경영과 생애설계)5개 영역, 총 48개 항목으로 구성된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를 확정하였다. 이 연구가 개발하여 제시한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는 생활과학이나 가정관리학, 가정복지학 등의 고유한 관점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가정의 건강성은 생활과학, 가정관리학, 가정복지학 등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해 온 주제이다. 따라서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센터와 같은 현장에서 사업을 할 때 건강성 지표를 활용함으로써 다른 기관 사업과의 차별화를 모색할 수 있다. 나아가 맞벌이가정, 다문화가족, 조손가족, 분거가족 등 다양한 형태의 가정에게 적용할 수 있는 건강성 지표 개발의 선행 자료로서의 유용성도 함께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자녀가 있는 맞벌이가정의 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Scale Development of Family Strength for Dual-Earner Families with Children)

  • 송혜림;고선강;강은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3호
    • /
    • pp.1-19
    • /
    • 2023
  • 이 연구는 가정의 건강성 척도와 관련된 논의 그리고 맞벌이가정의 특성에 주목하여 맞벌이가정에 적용할 수 있는 건강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가정의 건강성은 생활과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 온 주제로서 이론적 근거와 다양한 내용이 축적되어 있다.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 제정을 계기로 가정의 건강성은 현장에서 수행되는 사업에 반영되어, 그 실천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여성의 취업과 함께 맞벌이가정이 증가하고 있는데, 맞벌이가정의 특성상 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심으로 다양한 요소에서의 건강성 측정 그리고 건강성 증진을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가정의 건강성, 맞벌이가정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맞벌이가정의 건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 초안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이에 대한 예비조사를 거쳐 80개 문항으로 맞벌이가정의 건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 초안을 마련하였다.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영유아기/학령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과 남성 80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747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 4개 영역 49문항을 도출하였으며, 신뢰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최종적으로 척도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척도는 기본토대(기본생활, 경제생활, 자원관리), 부모역할(나와 배우자의 부모역할), 사회적 관심과 참여(시민의식과 자원봉사, 여가공유, 지역사회 네트워크) 그리고 일생활균형(일가정 조화, 가족역할공유 및 평등한 역할분담)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건강가정지원센터/가족센터 등 현장에서 맞벌이가정 대상 사업을 실시할 때 초기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기초로 컨설팅, 교육, 상담, 다른 프로그램 연계 등이 이루어져, 현장의 사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향후 여러 다양한 형태의 가정을 위한 맞춤형의 건강성 척도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잘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 척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담당자 양성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나아가 일상생활의 역동적 변화를 반영, 척도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자료의 보완이 필요하다.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개발 연구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of Health and Family Support Center)

  • 손명동;박천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9-380
    • /
    • 2014
  • 현대사회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결혼 출산 양육 노인 부양 등 가정생활과 관련된 각종 사회현상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가족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건강한 가정생활 영위와 가족의 유지, 발전을 위해 건강가정 기본법이 2004년 2월 9일에 제정되었다. 이 법은 가정의 건강성 향상을 통한 가정문제 발생 예방 및 가정 중심의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기반 마련의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 PDF

건강가정기본법의 실천을 위한 건강가정 사업 및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Family Service Program for the Healthy Family Act)

  • 김경신;이승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5호
    • /
    • pp.357-37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ervice program for fami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family function and increase the family well-being. The service program for family is based on The Healthy Family Act. For the purpose, researchers prosed the three approach-the type of service program, family life cycle approach, eco-systemic approach-and the specified program example.

건강가족을 위한 한국가족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 건강가정기본법과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The Paradigm Shift of Family Policy for Healthy Families in Korea : The Basic Code of Healthy Families and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

  • 윤경자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4호
    • /
    • pp.85-101
    • /
    • 2008
  • This paper examines the traits and directions of family policy represented in the Basic Code of Healthy Families.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family policy for family professionals and policy makers to provide integrated services for families and the implications of such strategies are also discussed. A family-friendly and a life course perspective are adopted in order to strengthen and expand family policies and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a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 The perspectives and issues of the Basic Code of Healthy Families are reviewed in the light of a paradigm shift in family policy in Korea, with suggestions for adoption of the family policy also add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