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짓쌀도둑거저리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초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유충과 성충에 대한 10종 식물 정유의 살충효과 (Insecticidal Activities of 10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Plodia interpunctella and Tribolium castaneum)

  • 이희권;이회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5-360
    • /
    • 2016
  •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 유충 및 성충에 대한 Artemisia vulgaris, Achillea millefolium, Anethum graveolens, Cimicifuga heracleifolia, Citrus paradisi, Chrysanthemum indicum, Eucalyptus dives, Neroli bigard, Nigella sativa, Ruta graveolens 식물체 정유의 살충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화랑곡나방 및 거짓쌀도둑거저리 유충에서는 N. bigard 및 A. graveolens 정유가 각각 139.11 및 $52.87{\mu}g\;cm^{-3}$의 접촉독성으로 가장 우수한 살충활성을 나타냈으며, 화랑곡나방 및 거짓쌀도둑거저리 성충의 경우 A. millefolium 및 A. graveolens 정유에서 각각 0.12 및 $93.14{\mu}g\;cm^{-3}$으로 훈증독성이 가장 우수한 살충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N. bigard, A. graveolens A. millefolium 및 A. graveolens 정유가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 유충 및 성충을 방제하기 위한 친환경 방제 법으로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CATTS를 이용한 저곡해충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castaneum)의 소독 효과 (Control Effect of a Stored Grain Insect Pest, Tribolium castaneum, by 'CATTS' Postharvest Treatment)

  • 손예림;김용;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63-369
    • /
    • 2010
  • 친환경 소독 기술인 환경조절열처리(CATTS: controlled atmosphere and temperature treatment system)는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제 처리의 대체 기술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저장 곡물 해충인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castaneum)를 CATTS를 통해 저장 기간 중 방제가 가능한 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성충은 $46^{\circ}C$에서 열충격 감수성을 보였으며 여기에 CA 조건(15% 이산화탄소, 1% 산소)은 감수성을 현격하게 증가시켰다. CATTS 조건($46^{\circ}C$, 15% 이산화탄소 1% 산소)에서 120 분간 노출시켰을 때 유충(초기, 중기, 말기)과 성충 모두 100% 살충율을 나타냈다. CATTS 처리에 대한 감수성이 거짓쌀도둑거저리 발육 시기에 띠라 상이했고 말기 유충에서 높은 내성을 보였다. 거젓쌀도둑거저리 열충격단백질의 발현이 CATTS에 대한 내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양곡창고내 유칼립투스 페퍼민트와 타임 오일을 이용한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에 대한 살충 실증실험 (Insecticidal activities of Eucalyptus dives and Thymus vulgaris oils against Plodia interpunctella and Tribolium castaneum in the granary)

  • 송자은;이상계;이회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1호
    • /
    • pp.69-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정부양곡창고내에서 유칼립투스 페퍼민트와 타임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을 이용한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살충 실증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정부양곡창고내에서 정유성분을 이용한 저곡해충 방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유칼립투스 페퍼민트 정유성분에 의하여는 화랑곡나방 유충은 72시간 내에 100 % 사충율이 나타났으며, 성충은 3시간 내에 100 % 사충율이 나타났다. 타임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에 의하여는 거짓쌀도둑거저리 유충은 120시간 내에 100 % 사충율을 보였으며, 성충은 120시간 내에 100 % 사충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양곡창고에서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를 방제하기 위해서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오일성분을 이용하여 정부양곡창고내 저곡해충에 대한 방제 가능성을 보여준다.

곡물저장창고에서 LED 트랩을 이용한 어리쌀바구미와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실증 유인효과 (Effect of LED trap on controlling Sitophilus zeamais and Tribolium castaneum in granary)

  • 송자은;이상계;이회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2호
    • /
    • pp.129-132
    • /
    • 2016
  • 곡물저장창고에서 light emitting diode (LED) 트랩의 실증실험을 통하여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어리쌀바구미와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유인효과를 평가하였고, 상업적 대조구 black light bulb (BLB) 트랩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어리쌀바구미와 거짓쌀도둑거저리에 대해 red LED 트랩은 BLB 트랩보다 높은 유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곡물저장창고 외부에서 진행한 실험은 내부 실험보다 약 1.5배 높은 유인활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red LED 트랩이 곡물저장창고에서 친환경 저곡해충 방제기술로써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고농도 탄산가스 충전에 의한 식품 해충 방제: 거짓쌀도둑거저리와 화랑곡나방의 살충효과에 미치는 노출시간과 식품포장 재질의 영향 (Control of Food Pests by $CO_{2}$ Modified Atmosphere: Effects of Packing Materials and Exposure Time on the Mortality of Tribolium castaneum and Plodia interpunctella)

  • 나자현;남영우;류문일;천용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63-369
    • /
    • 2006
  • 고농도 탄산가스 충전을 통한 식품 해충 방제에서 식품 포장재질과 노출시간이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식품포장 재질은 3겹크라프트지(KKK), 2겹 크라프트-1겹 라미네이트 코팅지(KLK), 2겹크라프트-1겹 HD 코팅지였다(KHK). 탄산가스 농도가 85% 로 충전된 실험구(직경 1.2 m)에 투입 하루 후각 재질의 봉투($9.8{\times}9.8cm$) 내 탄산가스 농도는 KKK($26.67{\pm}0.58%$)에서 다른 재질 봉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사망률은 KKK 재질의 봉투에서 다른 재질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실제 식품보관 창고($9{\times}4{\times}3m$)에서 대형 포대(20 kg)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포장재질의 영향은 화랑곡나방 보다 내성이 강한 거짓쌀도둑거저리에서 두드러졌다.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사충률은 누적 농도시간 (${\int}_{0}^{t}c{\times}tdc{\approx}{\sum}$농도${\times}$시간)에 회귀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탄산가스 충전에 의한 방제효과를 식품포장 재질, 식품의 종류, 누적농도시간과 연관하여 고찰하였다.

이산화염소에 대한 거짓쌀도둑거저리의 회피행동과 이를 억제하는 열처리 효과 (Evasive Behavior of the Red 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against Chlorine Dioxide and Its Suppression by Heat Treatment)

  • 김용균;수닐쿠마르;마버버라흐만;권혁;천용식;나자현;김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51-158
    • /
    • 2015
  • 이산화염소($ClO_2$) 훈증제는 살충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일부 곤충은 이산화염소에 대해 회피행동을 보여, 이 훈증제에 대한 방제효율을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산화염소 처리에 열처리를 추가하여 곤충의 이산화염소에 대한 회피행동을 줄여 살충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세웠다. 이산화염소 훈증 처리는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castaneum)에 대해 살충효과를 주었으며, 시험 곤충이 노출된 조건에서 12 시간 처리할 때 유충에 대해서 383.67 ppm (153.63 - 955.78 ppm: 95% 신뢰구간), 성충에 대해서 397.75 ppm (354.46 - 446.13 ppm: 95% 신뢰구간)의 반수치사농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먹이인 밀가루를 충분히 제공한 상태에서 이산화염소를 처리하면, 처리 약제에 반응하여 시험 곤충이 먹이 속으로 들어가는 회피행동을 보이면서 방제효과는 크게 낮아졌다. Y 튜브를 이용한 이 곤충의 먹이 선호성 행동을 분석한 결과 거짓쌀도둑거저리 성충은 이산화염소가 처리된 먹이를 회피하는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촉각을 제거한 경우 이러한 회피행동은 둔화 되었다. 거짓쌀도둑거저리에 6 시간 동안 $46^{\circ}C$ 열처리를 하면 살충효과는 10% 이하로 낮지만, 처리된 성충들이 먹이 밖으로 나와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반면 400 ppm의 이산화염소를 단독으로 6 시간 처리한 결과 회피행동에 따라 전혀 살충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46^{\circ}C$ 열처리와 400 ppm의 이산화염소를 병행하여 6 시간 처리한 결과 살충효과는 95%로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열처리는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이산화염소에 대한 회피행동을 억제하여 살충효과를 증가시켰다.

현미에서의 거짓쌀도둑, Tribilium castaneum(딱정발레목:거저리과)의 발육 (A Note on the Deveolopment of Tribolium castaneum (Coleoptera: Tenebrionidae) on Brown Rice Oryzae sativa L.)

  • 전환구;홍영석;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0-130
    • /
    • 1991
  • 현미를 사료로하여 네가지 정온도조정에서(25, 28, 34, 36$^{circ}C$ $pm$0.5$^{\circ}C$, RH 70%)에서 거짓쌀도둑(Tribilium castaneum Herbst)의 각 충태별 평균발육기간($\pm$SE)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하여 발육임계온도를 추정하였다. 난의 평균발육기간은 각 온도에서 7.6$\pm$0.25, 4.8$\pm$0.10, 3.0$\pm$0.03, 2.5$\pm$0.09일, 유충에서 각각 53.3$\pm$1.49, 33.4$\pm$0.57, 30.6$\pm$0.70, 31.0$\pm$1.18일, 용에서 각각 12.1$\pm$0.17, 7.8$\pm$0.09, 5.0$\pm$0.07일로 산출되었으며, 난에서 성충우화시기까지의 전발육기간은 각각72.3$\pm$1.67, 46.0$\pm$0.05, 39.4$\pm$0.64, 38.7$\pm$1.15일로 산출되었다. 난과 용의 발육기간은 밀과 옥수수같은 다른 식이조건에서와 유사하였으나, 섭식을 하는 유충기의 발육은 밀보다 현미에서 상대적으로 지체되는 현상을 보였다. 한편 현미를 섭취했을 경우, 밀을 섭취했을 때 보다 발육중 치사율이 높아 밀에 비해 현미가 저급의 식물임을 보여주었다. 거짓쌀도둑 난, 유충 용 및 전발육기간의 저온발육임게온도는 각 충태 공히 20.0$^{\circ}C$로 산출되었으며, 유충과 전발육기간의 고온발육임계온도는 각각 40.2$^{\circ}C$와 41.9$^{\circ}C$로 추정되었다. 영기수는 온도에 상관없이 최빈치 7회를 나타냈지만, 온도의 상승에 따라 7회 이상 탈피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성비는 온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